© News1
“재료 다 준비돼 있는데 장소를 정하지 못했습니다.” “저랑 같이 가시죠.” “같이 가요, 저도 이제 그만 고통받고 싶어요.”
한 누리꾼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너무 힘들다. 같이 가실 분 계신가요”라며 올린 게시물에 달린 댓글들이다.
이 게시물에 붙은 댓글 중 안타깝게도 이 남성의 극단선택을 막으려는 이는 아무도 없었다. 되려 “함께 하자”며 카카오톡 아이디를 남기거나 “메시지를 보냈으니 봐달라”는 반응이 주를 이뤘다.
6일 <뉴스1> 취재를 종합하면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 SNS상에 극단적 선택 관련 키워드를 검색하면 여전히 극단선택을 도모하는 글들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2017년을 제외하고 2003년부터 단 한 차례도 ‘OECD 회원국 중 자살률 1위’라는 오명을 벗지 못하는데도 극단선택과 관련된 게시물에는 여전히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이다.
온라인상에서는 규제에 걸릴 수 있는 직접적인 키워드보다 자음만으로 표현하는 등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동반자살’의 자음을 쓴 뒤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적는 식이다.
한 누리꾼은 “ㄷㅂㅈㅅ 수도권 중에 준비물, 장소 있으신 분 연락주세요 꼽사리 낄게요”라는 글을 올려 극단선택을 예고했다.
전문가들은 이런 글을 보는 것만으로도 두려움을 떨쳐내고 자신의 선택을 정당화할 우려가 있다고 입을 모은다.
유현재 서강대 교수는 “극단선택을 고려할 때 일반적으로 두렵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며 “혼자서는 두려움을 갖지만 모르는 사람이 같이 하자고 하면서 방법을 알려주면 심리적 위안을 받게 된다”고 설명했다.
유 교수는 “이런 생각을 너만 하는 것이 아니라고 알려주고 함께라는 것을 강조해 행동으로 이끄는 것”이라며 “스스로를 정당화해 자살이 힘든 삶속에서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라고 생각하게 만들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SNS상에 극단선택을 암시하는 글을 올리는 자체를 ‘골든타임’으로 여길 수 있다고 본다.
유 교수 또한 “온라인이나 SNS에서 극단선택을 언급하는 것은 진짜 속마음을 드러내는 것”이라며 “이런 메시지를 남기는 것은 달리 보면 누군가의 도움을 기다리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극단선택과 관련한 글이 기로에 놓인 타인에게 악영향을 주는 것에 보다 엄정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2019년 7월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자살예방법) 일부 개정안이 시행되면서 온라인상 극단선택 유발 정보에 대한 형사처벌 근거가 마련됐으나 실효성이 있는지 의문이라는 시각이 적지 않다.
여기서 극단선택 유발 정보란 Δ극단선택 동반자 모집정보 Δ극단선택 관련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는 정보 Δ극단선택을 실행하거나 유도하는 내용이 담긴 문서, 사진, 동영상 Δ극단선택 위한 물건 판매 또는 활용 정보 Δ명백히 극단선택 유발을 목적으로 한 정보다.
SNS에 올라온 극단선택 모의 글은 ‘극단선택 동반자 모집 정보’에 해당한다는 분석이 많다.
유현재 교수는 “경찰이 수사해도 이런 글과 자살의 인과관계를 따지는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며 “이런 글을 게시한 사람을 경찰로 인계는 하겠지만 즉시 처벌은 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경찰 관계자는 “극단선택 유발 정보에 엄정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라면서도 “모니터링, 삭제 차단, 교육, 수사, 피해자 보호 조치 과정에서 관계기관이 유기적으로 협업해 종합적·체계적 대응을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으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면 자살예방 핫라인 1577-0199, 자살예방 상담전화 1393,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