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취업 쇼크]1월 취업자 수 98만명 급감 ‘고용 참사’ 코로나 재확산에 거리두기 강화… 청년 비중 높은 서비스업 최악 타격 세금 풀어 만든 공공일자리 끊기자 60세이상 취업자도 1만5000명↓ 홍남기 “재정일자리 90만개+α … 1분기 안에 만들 것” 또 땜질 처방
10일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실업급여를 받으려는 사람들이 줄을 서 상담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이날 ‘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1월 실업자는 사상 처음 150만 명을 넘었다. 김재명 기자 base@donga.com
청년 취업난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가운데 그나마 일자리 수를 늘려주던 60세 이상 노인 일자리까지 약 11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정부가 나랏돈을 들여 공공 부문에서 노인 일자리를 만드는 식의 정부 주도 일자리 대책의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 사라진 일자리의 절반은 2030
10일 통계청에 따르면 1월 20대와 30대 취업자는 1년 전보다 각각 25만5000명, 27만3000명 줄었다. 지난해 12월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사회적 거리 두기가 강화돼 올 1월 서비스업 취업자가 작년 같은 달보다 89만8000명 줄어든 영향이 컸다. 주로 숙박·음식업(―36만7000명), 도·소매업(―21만8000명) 등 대면서비스 일자리가 감소했다. 이 업종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던 청년들이 일자리를 많이 잃은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임시직과 일용직 근로자도 각각 56만3000명, 23만2000명 감소했다.
문제는 잠재된 실업자가 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달 일시 휴직자는 89만2000명으로 늘었다. 코로나19가 한창이던 지난해 봄보다는 줄었지만 1월 기준으론 사상 최대다. 일시 휴직자란 쉬고 있어도 지금은 취업자로 분류된다. 하지만 회사 형편에 따라 언제든 실업으로 내몰릴 수 있다. 취업과 실업의 경계에서 아슬아슬하게 버티는 이들이 많다는 뜻이다.
○ “직접 일자리 90만 개” 또 땜질 처방
정부는 1분기(1∼3월)에 일자리 ‘90만 개+α’를 직접 만들고 6월까지 청년과 여성을 위한 맞춤형 일자리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민간에서 고용을 촉진하도록 규제를 개선하고 벤처 창업도 활성화할 예정이다.
하지만 재정 일자리에 기댄 일자리 정책으로는 청년 일자리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달 고용참사가 벌어진 것도 작년 1월 정부가 노인 일자리 사업을 조기 시행하면서 취업자가 5년여 만에 최대인 56만8000명 증가한 데 따른 기저효과도 있었다. 당시 60세 이상 취업자가 역대 최대인 50만7000명 늘었다. 재정을 투입해 일자리 수를 늘릴 순 있지만 ‘반짝 효과’에 그칠 뿐 지속이 불가능하다는 점이 고용 성적표에서 드러났다는 평가가 나온다.
세종=주애진 jaj@donga.com·구특교 기자
▼ 1월 실업자 157만명-‘그냥 쉬었다’ 271만명 역대 최악 ▼
10일 통계청에 따르면 1월 실업자 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41만7000명(36.2%) 증가한 157만 명으로 집계됐다. 관련 통계가 작성된 1999년 6월 이후 가장 많았다. 이에 실업률은 1.6%포인트 올라 5.7%까지 상승했다. 실업률이 5%를 넘어선 건 2001년 3월(5.1%) 이후 처음이다.
지난 1년간 구직을 시도했지만 포기한 사람(구직단념자)은 1년 전보다 23만3000명 증가한 77만5000명이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실직하거나 경제활동에서 이탈하는 사람이 급증하면서 국내 고용시장 악화가 장기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참고자료를 통해 지난해 1월 이후 누적 실업률은 한국이 0.3%포인트 증가해 미국(4.3%포인트), 캐나다(3.8%포인트) 등 주요국 대비 낮은 편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코로나19 이전부터 청년 취업난과 40대 일자리 감소 등이 이어져 온 상황에서 정부가 예산을 풀어 만든 60대 이상 일자리로 전체 지표를 뒷받침해온 결과일 뿐이라는 지적도 있다.
세종=주애진 기자 jaj@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