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동아DB
“아이스크림이 달달한 거야? 나랑 있어서 달달한 게 아니고?” 최근 인기를 모았던 가족 드라마 ‘한 번 다녀왔습니다’의 ‘달달한’ 대사다. 극 중 ‘사돈 커플’이 ‘꽁냥꽁냥’하며 상처받은 관계를 회복하는 모습에서 공감을 더했다. 그런데 대사 속 ‘달달하다’의 말맛은 앞뒤엣 것이 전혀 다르다. 앞의 ‘달달한’은 맛과 관련된 것으로, 하얀 솜사탕을 떠올리게 한다. 반면 뒤엣것은 잔재미가 있고 아기자기한 분위기나 느낌을 나타낸다. ‘달콤하다’와 일맥상통한다.
‘달달하다’는 요즘 들어 부쩍 입말로 자주 오르내린다. 달달한 드라마, 달달한 음악은 물론이고 낚시꾼들은 물고기를 잡으며 ‘손맛이 달달하다’고까지 한다. ‘달콤하다’란 낱말이 있는데도 달달하다에 또 다른 의미를 더해 쓰고 있는 것이다. 새로운 표현과 낱말을 추구하는 언중의 ‘말 욕심’이라고나 할까. ‘달달구리’도 그렇다. 언중은 ‘달다’와는 또 다른, ‘단맛이 나는 먹거리’라는 뜻의 ‘달달구리’를 입에 올린다. 스트레스를 단맛으로 풀려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퍼진 유행어다. “달달구리는 힐링이다”라는 또 다른 드라마의 대사가 무척 인상적이었다.
우리말샘에 올라있는 ‘꽁냥꽁냥’도 재미있다. 연인끼리 가볍게 장난을 치며 정답게 구는 모양을 일컫는 첩어(疊語)다. 첩어는 한 단어를 반복적으로 결합한 복합어이다.
문제는 이처럼 언중이 즐겨 쓰는 달달하다의 두 가지 뜻이 우리 사전에 없다는 것이다. ‘춥거나 무서워서 몸이 떨리다’ ‘작은 바퀴가 단단한 바닥을 구르며 흔들리는 소리가 나다’는 뜻만 올라 있다. 사전대로라면 추워서 달달 떨거나 손수레를 달달거리며 끌고 갈 때만 쓸 수 있다는 얘기다.
달달하다 못지않게 언중의 말 씀씀이를 무시하는 낱말이 또 하나 있다. ‘꿀꿀하다’다. 우리 사전은 ‘돼지가 소리를 내다’는 뜻만 올려놓았다. 과연 그럴까. 사람들은 너나없이 ‘오늘 기분도 꿀꿀한데 어디 가서 술이나 한잔 하자’거나, ‘날씨가 꿀꿀하다’고 한다. 기분이 별로이거나 안 좋을 때 쓰는 낱말임을 알 수 있다. 돼지 멱 따는 소리와는 결이 다르다. ‘꾸리꾸리하다’를 입에 올리는 이도 있지만 이 또한 비속어 냄새를 풍겨서인지 표제어로 올라 있지 않다. 이제라도 언중의 말 씀씀이를 반영해 달달하다와 꿀꿀하다의 뜻풀이를 더해야 한다.
‘거리 두기’ 설 명절이 낯설고 아쉽기만 하다. 통신 3사가 설 연휴 기간에 영상통화를 무료로 지원한다니, ‘달달한 얘기’로나마 가족 간 정을 듬뿍 나누었으면 한다. 넉넉한 고향에서의 만남은 올 추석으로 잠시 미루고.
손진호 어문기자 songba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