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폭 미투]유명해진 가해자가 상처 건드려 ‘치 떨려도 참을 수밖에’는 옛말, 인터넷-SNS로 과거 아픔 고발 학폭 연예인-운동선수 실제 퇴출… 다른 피해자들도 용기 내 폭로 익명 폭로 글, 거짓 내용도 많아 유니폼 벗은후 오명 벗는 경우도
회사원 A 씨(41)는 서울의 한 중학교에 다니던 시절 같은 반이었던 B 씨로부터 상습적으로 폭행을 당했다. 세월이 흘러 B 씨는 모던록 밴드 멤버로 유명인이 됐다. A 씨는 “그때는 누군가에게 전화를 걸다 통화연결음(컬러링)으로 그 사람 노래만 들려도 치가 떨렸다. 하지만 그냥 혼자 참을 수밖에 없었다”며 “이젠 인터넷 커뮤니티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발달해 적어도 피해자가 자기 목소리는 낼 수 있어 다행이다”라고 말했다.
최근 학교폭력 피해 사실을 폭로하는 ‘학교폭력 미투’(학폭 미투)는 어려서부터 인터넷을 접한 MZ세대(밀레니얼+Z세대)가 주도하고 있다. MZ세대가 인터넷에서 많이 사용하는 게시물 형식 가운데 하나가 ‘썰’이다. ‘말씀 설(說)’에 뿌리를 두고 있는 이 표현은 자기 경험담을 뜻할 때가 많다. 이 썰로 가장 유명한 인터넷 공간 ‘네이트 판’이 학투 운동 중심지로 떠올랐다.
폭로는 치유로 가는 첫걸음이기도 하다.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인 성종호 대한의사협회 정책이사는 “피해자 입장에서 폭로 역시 엄청난 불안감과 공포감이 동반되는 것”이라며 “상처 회복은 폭로만으론 이뤄질 수 없다. 피해자가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해자의 진심 어린 사과가 피해자의 용서로 이어질 때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원래 연예인이 주요 대상이었던 학폭 미투가 체육계 특히, 프로배구 여자부에서 제일 먼저 시작된 건 여자 배구선수의 매체 노출이 많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하지현 건국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피해자들이 잊고 살아 가려고 했던 과거의 상처를 가해자가 자신도 모르게 공공연하게 드러낼 수 있다. 그 상처가 되살아나 강한 심리적 반응으로 나타난다”며 “(피해 사실을 폭로하는 심리는) 가해자들이 꼭 처벌을 받아야 한다기보다 ‘최소한 너무 많은 걸 가지려 하지 말고 조용히 살라’는 것에 가깝다”고 분석했다. 흥국생명 이다영(25)의 경우 너무 활발하게 SNS를 이용한 탓에 피해자들을 자극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익명으로 올라온 폭로를 모두 믿을 수는 없다. 판에는 거짓 내용도 많고 소설 같다고 해서 ‘판춘문예’(판+신춘문예)라는 신조어로 불리기도 한다. 축구 국가대표 골키퍼로 유명했던 김병지 현 대한축구협회 부회장(51)은 판에 올라온 아들의 학폭 관련 의혹 때문에 서둘러 유니폼을 벗어야 했지만 결국 법원에서 무효 판결을 받았다.
학교 체육에서 대물림되는 폭력 사태를 근절하려면 무엇보다 ‘합숙’ 문화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번에 학폭 가해 사실을 인정한 OK금융그룹 송명근 선수(28) 역시 고교 시절 ‘맞는 게 싫어서’ 합숙소를 떠나 사흘간 가출한 경험이 있는 ‘피해자’이기도 했다.
황규인 kini@donga.com·김태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