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일 타계한 고(故)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장과 2002년 대한민국을 한일월드컵 4강에 올려놓은 거스 히딩크 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히딩크 감독이 귀국할 때 인천공항에서 백 선생과 포옹하는 장면을 보고, 두 사람의 뜻 밖의 인연에 대해 사람들은 놀라워했다. 1980년대 민중운동가, 통일운동가로 알려졌던 백기완 선생이 2000년대 들어 문화운동, 축구, 월드컵으로도 젊은이들에게 다가왔던 과정을 백 선생과 동아일보, 개인적인 추억으로 회고해본다.
고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장과 히딩크 전 국가대표팀 감독
그런데 1999년 1월 문화부 기자 시절 백 선생이 무슨 책을 쓰고 있다는 소식을 지인으로부터 들었다. 이후 우연히 대학로를 지나가다가 통일문제연구소가 눈에 띄었다. 허름한 단층집이었던 통일문제연구소 대문에는 ‘한 발자욱만 더’라는 시가 걸려 있었다. 문을 열고 들어가니 싸늘하게 추운 방 안에서 백 선생이 누비 옷을 입고 뭔가를 쓰고 계셨다.
당시 백 선생은 내게 “군부독재 보다 세상의 냉대가 더 무섭다”고 했다. 1992년 대선에서 김영삼(YS) 대통령이, 1997년 김대중(DJ) 대통령이 집권한 이후로 사람들은 민주화가 다 이뤄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1987년, 1992년 대선에서 민중후보로 출마했던 백기완의 존재를 더 이상 생각하지 않았다. 백 선생은 “YS도, DJ도, 386세대 운동권 정치인들도 집권 후에 한번도 나를 찾아온 일이 없다”며 “박정희 때도 청와대로 초청된 적이 있었는데, 민주화 정권에서는 한번도 나를 청와대로 부르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러나 백 선생은 주저 앉지 않았다. 통일문제연구소 문 밖에 ‘한 발자욱만 더’라는 벽시를 내걸고 마지막 희망으로 책을 썼다. 당장 책을 출판할 돈이 없으니, 선주문 형태로 책을 출판하겠다는 계획이었다. 먼저 책 값(5000원)을 송금해주면, 원고가 완성된 후 책으로 보내주는 방식이었다. 요즘 유행하는 ‘크라우드 펀딩’의 시초였던 셈이다. 이런 사연을 있는 그대로 동아일보 문화면에 박스 기사로 실었다.
동아일보 1999년 1월13일자 문화면
동아일보 1999년 1월26일자 문화면
동아일보 2000년 5월15일자 문화면
“마르크스와 레닌은 ‘사회주의 인간형’을 최고의 인간형으로 이야기했지만, 그 실험은 공산권 몰락으로 실패했지. 나는 우리의 전통적 공동체 사상인 ‘노나메기’야말로 인간 발전형태의 최고봉으로 꼽고 있지. ‘노나메기’는 ‘너와 내가 모두 다 잘 살되, 올바로 잘 사는 세상’이야. 미국이나 일본이 잘 산다고 하지만 올바로 잘 살지는 않지. 빈부격차와 환경오염없이 모두 함께 올바로 잘사는 세상이 ‘노나메기’의 세상이야.”
동아일보 2000년 10월23일자 문화면
“그들의 공연을 보고 나서 나 역시 고개를 끄떡였다. 그들의 미적 돌파력의 교묘성과 여성적 공격력의 대담성이다. 그러나 그러면서 긴 한숨을 거둘 수가 없었다. 우리의 전통적 미녀상이라고 하면 ‘나네’를 친다. 여기서 ‘나네’란 말 그대로 언 땅을 지고 일어서는 봄의 새싹, 그러니까 비록 가냘프지만 쌓인 가랑잎과 두엄더미까지 박차고 일어서는 거룩하고 엄숙한 생명력이다.”
고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장과 정몽준 전 대한축구협회장
2002년 2월20일자 스포츠면
▽정몽준〓(앞 부분 생략)그러려면 우선 각국이 긴밀히 협조해 안전한 월드컵을 치르는 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백기완〓좋은 말씀을 하셨는데 이번 공차기큰잔치(월드컵)를 평화스럽게 치르기 위해 우리 민족 내부에서 한번 평화를 가져오는 방법을 모색해보면 어떨까요. 예를 들어 휴전선에 있는 초소를 남쪽이건 북쪽이건 공차기큰잔치 동안만 없애자는 얘깁니다.
▽정〓좋은 말씀 같은데요. 그런데 초소를 없애자…. 하여튼 그런 식으로 해서 우리끼리 군사적으로 대치되고 있는 게 아니라는 걸 바깥에 보여주자는 말씀 아니에요.
“월드컵 기간 동안에 남북이 휴전선에 있는 초소를 없애자”는 백 선생의 파격적인 제안에 정 회장은 “그런데 초소를 없애자…”며 말끝을 흐렸다. 기사에 ‘점점점’으로 표시된 말줄임표에서 정 회장의 당혹스러움이 느껴진다. 월드컵 100일을 앞두고 실린 이 흥미로운 대담은 장안의 화제를 낳았다.
고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장과 정몽준 전 대한축구협회장
이후 히딩크 감독은 월드컵 4강 신화를 쓰고 난 후 인천공항을 떠나면서까지 가장 만나고 싶은 사람으로 백기완 소장을 꼽았다. 결국 두 사람은 공항에서 재회해 감격스러운 포옹을 나눴다. 당시 백 선생은 히딩크 감독에게 “사람은 만났다 헤어지지만 뜻과 뜻은 헤어지는 게 아니라 역사와 함께 나아가는 것”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고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장과 히딩크 국가대표팀 감독
백 선생에게 축문은 어떻게 쓰는 것이냐고 물었더니 닭의 옛 이름인 ‘질라라비’에 관한 설화를 말씀해주셨다. 수천년 동안 인류에 의해 가축으로 길들여져 살던 닭이 옛살라비(고향)으로 돌아가 ‘질라라비’의 본성(本性)을 되찾고 송아지 만한 크기로 커졌다는 것이다. 한반도에 매여 살던 우리 민족이 대륙인으로서의 본성을 되찾고 훨훨 날아보자는 뜻이 담긴 이야기라고 한다. 그래서 결혼식 축문의 마지막 구절에선 새 신랑과 신부가 세상에 나아가 잘 살라고 ‘질라라비, 훨훨~’하고 축원을 한다는 것이다. 내가 축문을 다 읽고 태우는 순간, 경북 예천에서 온 신랑 가족들은 준비해 온 살아있는 장닭을 높이 허공에 날렸다. 시골에서 살다가 고속버스를 타고 온 닭은 예상외로 잘 날았다. 경희궁 뒷쪽 산 속으로 날아간 닭은 결국 찾지 못했다. “질라라비, 훨훨~!”
백기완 선생이 히딩크를 만나서 포옹하게 되는 인연을 맺게 되는 데에 반드시 나의 역할이 있었다고 말하고 싶지는 않다. 수많은 우연들이 쌓이고 쌓여서 그렇게 된 것일 뿐이다. 내가 백 선생과 만나 나눴던 인연은 사회, 정치적 이슈는 아니었고, 문화면과 관련된 분야였다.
18일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빈소에서 백 선생의 영정에 조문했다. 빈소에서 백 선생을 투병생활 끝까지 보좌했던 채원희 통일문제연구소 간사를 만났다. “왜 이제 오셨어요! 백 선생님이 얼마나 외로워하셨는데요.” 해외 특파원 근무를 하면서 최근 몇 년간 찾아뵙지 못했는데 이 말이 가슴에 콕 박혔다.
“대학로 통일문제연구소는 앞으로 어떻게 되나요?” “늘 그랬듯이 어떻게든 헤쳐나가봐야죠. 백 선생님이 늘 하셨던 ‘아리아리~!’라는 응원의 말처럼 힘내서 넘어가야죠.”
전승훈기자 raph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