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티려면 버스라도 팔아야 하는데, 살 사람은 없고… 1년 넘게 운행을 못하니 차들에 부식까지 일어났어요. 말 그대로 주차장에서 썩고 있는 거죠.”
21일 서울 양천구 목동 종합운동장 주차장.
중소여행사 대표인 정모 씨(61)는 한쪽에 늘어선 전세버스 20여 대를 바라보다 한숨을 푹 내쉬었다. 지난해 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된 뒤 여행업계는 직격탄을 맞았다. 행사나 관광 자체가 없다보니 버스들은 기존의 1%도 운행을 하지 못했다고 한다. 정 씨는 “식당은 낮에라도 여니까 손님을 받기라도 하지만, 우리는 버스 대절 관광이 아예 씨가 말랐다”고 전했다.
더불어민주당 임오경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해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여행업계 피해규모는 약 7조4000억 원으로 추정된다. 한국여행업협회는 “지난해 8월 기준 전국 3953개 여행사가 사실상 폐업이나 다름없는 상태에 놓여 있다”고 전했다. 이미 폐업을 신고한 여행사도 202곳에 이른다.
정부의 고용유지 지원금도 별 소용이 없다. 직원이 30여 명인 A여행사를 운영하는 김용동 씨는 “정부 지원금을 받으면 직원들의 4대 보험과 임금 10%를 사업주가 보전해야 한다”며 “매출도 없는데 이마저 버틸 수 없어 지난해 말 일부 직원들을 내보냈다”고 토로했다.
전세버스의 경우엔 여행이나 행사만 없어진 게 아니다. 자택근무와 비대면 수업이 일상화되며 통학·통근 버스도 대부분 운행이 중단됐다. 전국전세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 측은 “국내 단체여행도 끊기며 막막하다보니 일부 업체는 사채를 빌려 차량 대금을 내고 있는 실정”이라며 “전체 전세버스 가운데 82% 이상이 운행 중단 상태”라고 설명했다.
여행업계 전체가 도산위기다보니, 업계 종사자들도 고통에 허덕인다. 프리랜서 관광통역안내사로 일해왔던 박수현 씨(44)는 지난해 단 1건도 투어를 나가지 못했다. 결국 지난해 하반기부터 한 일본어학원에서 아르바이트 강사 일을 시작했다. 박 씨는 “주변 통역사 중에 알바를 안 하는 사람이 없다. 일 자체가 끊겨 생계가 위협받을 지경”이라고 했다.
여행업 비대위는 △4차 재난지원금 및 손실보상법 제정 시 집합금지 업종에 준하는 지원 △무담보 신용대출 확대 및 대출조건 완화 △ 자가 격리 14일 기준 완화 △관광산업 재난업종 지정 등을 요구할 것으로 전해졌다. 비대위 측은 “22일 오전 10시경 청와대 분수대 광장 앞에서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따른 생존권 확보를 위한 집회를 열 계획”이라며 “23~26일까지 1인 피켓시위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오창희 공동위원장은 “방역당국의 여행자제 권고 등으로 영업이 사실상 막혀있는데도 여행업은 일반 업종으로 분류돼 있다. 여행업은 정부 지원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고 호소했다.
이윤태 기자 oldsport@donga.com
남양주=전남혁 기자 forward20@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