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미얀마 군경, 시위대에 무차별 발포… 머리 총맞은 10대소년 숨져

입력 | 2021-02-22 03:00:00

유혈사태 확산… 최소 4명 사망
軍저격수도 시위현장에 배치
로힝야족 학살 자행했던 부대
제2도시 만달레이 진압에 투입



부상자 긴급 이송 미얀마 군경이 20일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에서 열린 쿠데타 항의 시위를 유혈 진압한 가운데 시민들이 부상자를 들어 옮기고 있다. 미얀마 시민들은 22일 전국적인 쿠데타 반대 총파업을 벌일 예정이다. 만달레이=AP 뉴시스


“지금까지는 시위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이제는… 두렵지 않아요.”

20일 미얀마 군부 쿠데타에 항의하는 시위에 나섰다가 진압 군경의 무차별 총격으로 숨진 테 나잉 윈 씨(36) 아내 티다르 닌 씨는 이날 로이터통신과의 전화 통화에서 이같이 말했다. 목수인 윈 씨는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의 야다나르본 부두에서 군경이 쏜 총탄에 흉부를 맞아 병원 이송 중 사망했다. 닌 씨는 로이터통신에 “그들(군경)이 남편의 시신을 시체 안치소로 가져가 버렸다”고 말했다.

20일과 21일 수도 네피도와 미얀마 최대 도시 양곤 등 곳곳에서 대규모 시위와 함께 19일 숨진 먀 트웨 트웨 킨 씨(20)를 기리는 추모 행사가 열린 가운데, 군경의 무차별 발포에 따른 희생도 잇따르고 있다. 20일 만달레이 시위에서는 윈 씨 외에 시위대를 돕던 10대 소년 한 명도 군경의 총탄에 머리를 맞아 현장에서 숨을 거뒀다고 현지 응급의료팀과 매체가 전했다. 양곤에서도 20일 민간 자경단원 1명이 경찰의 총에 맞아 숨져 쿠데타 반대 시위 국면에서 군경의 총격에 사망한 민간인은 적어도 4명에 이른다. 민간 자경단원은 통행금지 시간 이후 배회하는 밴 차량을 잡고 그 이유를 묻다가 차량 안에 있던 경찰의 총에 맞아 숨진 것으로 알려졌다.

외신에 따르면 20일 군부의 쿠데타에 반대해 노동자들이 파업 중인 만달레이의 조선소에 무장 군인과 경찰이 트럭 20대에 나눠 타고 들이닥쳤다. 일부 시위대가 새총으로 맞섰고 군경은 실탄과 고무탄을 무차별 사격했다. 소셜미디어에는 군 저격수들이 배치됐음을 보여주는 사진이 올라왔다.

진압부대가 2017년 소수민족인 로힝야족 ‘인종 청소’를 자행한 부대라는 보도도 나왔다. 현지 매체 ‘프런티어 미얀마’는 2017년 로힝야족 거주지인 인딘 마을 학살에 투입됐던 33경보병사단이 만달레이 경찰의 진압을 지원했다고 21일 전했다.

만달레이에서는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킨 1일 이후 시위대를 향한 군경의 폭력 진압이 적어도 7차례 진행됐으며, 임신부를 포함해 100명 이상이 부상했다고 현지 매체 이와라디가 보도했다. 만달레이는 미얀마 마지막 왕조의 수도였던 곳으로 역사와 전통이 뿌리 깊은 도시다.

킨 씨의 장례식이 열린 21일에도 쿠데타 반대 시위가 미얀마 전역에서 벌어졌다. 킨 씨는 9일 시위 진압 경찰의 총에 머리를 맞아 중태에 빠졌다가 19일 숨졌다. 킨 씨의 시신이 안치된 네피도의 병원에는 그의 죽음을 추모하는 1000여 명이 이날 아침부터 차량과 자전거를 탄 채 모여들었다. 양곤에서도 이날 수천 명의 시위대가 한 고가도로 아래에 모여 “학살을 중지하라, 사람 죽이는 무기 사용을 중지하라”며 시위를 벌였다. 만달레이에서도 수만 명이 집결해 시위를 이어갔다. 정당과 사회 각 분야 25개 단체가 구성한 총파업위원회는 22일 전국적인 총파업을 벌일 예정이다. 미얀마 정치범지원협회(AAPP)는 쿠데타가 발발한 1일부터 20일까지 569명이 체포됐다고 밝혔다.

2015년 이후 미얀마 정부와 휴전협정을 체결했던 미얀마 내 10개 소수민족 무장단체는 21일 쿠데타에 반대하며 군정 타도를 위한 노력을 지지하겠다고 밝혔다.

국제사회도 이날 군부의 유혈 진압을 비판하고 나섰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트위터에서 “평화적인 시위대를 위협, 공격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고 규탄했다. 네드 프라이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군경의 발포, 구금, 공격 보도에 깊이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주제프 보렐 유럽연합(EU) 외교안보정책 고위대표는 “미얀마의 군과 모든 보안병력은 민간인에 대한 폭력을 즉각 중단하라”고 강조했다. 프랑스 영국 일본 등의 외교부도 비판 메시지를 냈다.

조종엽 기자 jjj@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