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흉터 없고 목소리도 살리는 갑상샘암 로봇수술의 권위자

입력 | 2021-03-06 03:00:00

[떠오르는 베스트 닥터]<28> 김훈엽 고려대 안암병원 갑상선센터 교수



김훈엽 고려대 안암병원 갑상선센터 교수(유방내분비외과)는 입안으로 로봇을 집어넣어 갑상샘 수술을 하는 기술을 세계에서 처음 개발했다. 김 교수의 수술법을 배우기 위해 미국에서 이례적으로 의대 교수 면허를 발급해 ‘2국적 의사’가 됐다. 고려대 안암병원 제공


《2013년 말 50대 초반의 여성 A 씨가 김훈엽 고려대 안암병원 갑상선센터 교수(유방내분비외과·47)를 찾아왔다. 갑상샘(갑상선)에 양성 종양이 있는 환자였다. 피부가 울퉁불퉁해지거나 색깔이 달라지는 ‘켈로이드’ 체질인 A 씨는 수술 후 흉터가 크게 남을까 봐 걱정이었다. 김 교수는 흉터가 생기지 않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했다. 로봇을 입안으로 집어넣어 수술하는 방식으로 김 교수가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병원임상연구심의위원회(IRB) 승인 절차가 끝난 상황이어서 때마침 수술에 응할 환자를 찾고 있었다. 》


A 씨는 기꺼이 하겠다고 했다. 수술 결과는 좋았다. 걱정했던 흉터는 생기지 않았고 피부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후 이 수술법은 ‘경구로봇갑상샘 수술’이란 이름으로 불렸다. 이 수술을 배우겠다며 국내는 물론이고 해외에서까지 김 교수를 찾는 의사들이 잇따랐다.

○ 갑상샘 로봇 수술의 신기원 열어

갑상샘암은 ‘순한 암’이라 할 만큼 다른 암보다는 덜 치명적이다. 그래도 갑상샘을 들어내는 수술은 괴롭다. 예전에는 목 아래쪽 피부를 절개해 흉터가 크게 남았다. 로봇 수술이 도입된 후로는 겨드랑이나 가슴에 구멍을 내 수술한다. 이 경우에도 가슴이나 겨드랑이에 흉터가 남아 소매 없는 옷이나 수영복을 입으면 그대로 노출된다.

김 교수가 개발한 경구로봇갑상샘 수술은 말 그대로 경구(經口), 즉 입을 통해 로봇 기구가 들어가는 방식이다. 입 안쪽에 로봇 팔이 들어갈 5mm 크기의 구멍 2개와 카메라가 들어갈 20mm 크기 구멍 1개를 뚫는다. 이 구멍들은 수술 한 달 후에는 사라진다. 물론 외부 흉터는 없다. 김 교수는 “기존 수술보다 통증이 줄어들며 후두 신경 보존에도 효과가 있어 수술 후 음성 변화가 거의 생기지 않는 것도 장점”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환자의 80%를 이 방식으로 수술한다. 나머지 20%는 로봇 수술이 어려운 사례인데, 직접 절개하는 수술을 한다. 이를테면 암세포가 턱 밑의 림프샘(림프절)까지 전이됐을 경우 로봇 팔이 깊은 곳까지 들어가기 어렵다. 게다가 주변 조직까지 암으로 악화할 수 있어 직접 절개해 눈으로 확인해야 한다.

○최초의 미국-한국 동시 의대 교수 기록

김 교수가 개발한 로봇 수술법은 해외에서도 꽤 인기가 있다. 인도, 터키, 중국, 대만 등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김 교수를 초청하거나 의료진이 한국에 건너와 수술법을 배웠다.

미국에서도 김 교수를 찾는 대학이 많다. 2015년에는 미국 존스홉킨스대병원에서 ‘연구 교수’로 1년간 머물기도 했다. 배우는 신분이 아니라 가르치는 자격으로 유학한 것이다. 이후 미국에 김 교수의 수술법이 알려지면서 여러 곳에서 ‘러브콜’이 왔다.

김 교수는 미국 의사 자격증도 획득했다. 미국에서 공부해 시험을 보고 의사 면허를 딴 게 아니다. 일부 주(州)에는 외국 국적이지만 뛰어난 의사들에 한해 예외적으로 면허를 주는 제도가 있다. 그중 하나가 루이지애나주인데, 그곳의 툴레인대 의대가 김 교수에게 의사 면허를 발급했다. 툴레인대 의대는 2명의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를 배출할 만큼 명문으로 알려져 있다.

김 교수는 2019년 10월 현지 의대 교수 계약을 체결했다. 물론 김 교수의 로봇 수술에 관심이 많아서였다. 미국 환자들을 자주 한국에 데리고 올 수 없으니 김 교수를 현지로 초청해 수술도 하고 기술도 배우자는 취지였다. 한국과 미국, 두 나라의 의대 교수로 동시에 활동한 인물은 김 교수가 처음이다. 하지만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터지면서 미국 현지 수술의 길이 막혔다. 한 번 왕복에 최소한 한 달 이상 격리해야 하기 때문이었다.

○ 목소리 살리는 신경 모니터링 첫 도입

요즘에는 ‘로봇 수술의 대가(大家)’로 통하지만 김 교수는 원래 ‘목소리를 살리는 의사’로 유명했다. 수술 도중 신경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목소리를 보존하기 때문이었다.

갑상샘암 수술을 하다 보면 간혹 후두신경이 손상된다. 성대 기능을 담당하는 후두신경이 손상되면 여러 부작용이 나타난다. 목에서 쉰 소리가 나거나 아예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다. 혹은 사레가 자주 들린다. 이런 부작용이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지만 때로는 영원히 해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엔 목소리가 바뀌는 것은 물론이고 목소리 자체를 잃을 수도 있다.

수술 도중에 신경 손상을 찾아낸다면 즉각 대처할 수 있지만 이게 쉽지 않다. 김 교수는 “한 통계에 따르면 신경 손상이 생긴 환자의 10%만이 수술실에서 문제를 파악했고 나머지 90%는 전혀 문제점을 모른 채로 수술실을 나갔다”고 말했다. 2008년 김 교수는 독일과 미국에서 사용하는 ‘신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국내에 처음으로 도입했다. 수술할 때 목에 삽입하는 튜브의 겉에 근육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막을 붙인다. 이어 수술하면서 이 막에 미세한 전기를 흘린다. 신경에 이상이 없다면 ‘삐’ 하는 소리가 나온다. 화면에는 근전도 수치와 파동이 표시된다. 이를 분석해 신경 손상 여부를 바로 파악할 수 있다. 이후 이 시스템을 국내 대학병원 대부분이 도입했다. 2011년에는 대한신경모니터링학회도 창립됐다. 이 학회 또한 김 교수가 주도해 만들어졌다. 김 교수는 이 학회의 부회장을 맡고 있다.

김상훈 기자 corekim@donga.com

갑상샘암 증세와 대처요령
목에 잡히는 혹 갑자기 커지면 의심을
갑상샘암은 1기와 2기에 발견될 경우 10년 생존율이 99%에 이른다. 게다가 이 암은 멀리 있는 장기로 원격 전이되는 확률이 낮다. 이 때문에 다소 늦게 발견되더라도 생존율은 여전히 높다.

다만 주변으로 암이 번질 수는 있어 기도와 식도 일부를 제거해야 하는 등 삶에 큰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조기 발견이 그만큼 중요하다.

김훈엽 고려대 안암병원 갑상선센터 교수(유방내분비외과)는 갑상샘암을 조기에 발견하려면 갑상샘 초음파를 찍을 것을 권했다. 다만 이 암은 진행 속도가 느리며 갑자기 악화되지는 않는 편이라 매년 검사를 받지 않아도 된다. 김 교수는 4, 5년마다 검사받을 것을 권했다.

어떤 사람들이 갑상샘암 발병 위험이 높을까. 일단 방사선에 과도하게 노출된 사람들을 들 수 있다. 어렸을 때 방사선 치료를 받은 적이 있다면 일단 갑상샘암 위험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여자가 갑상샘암에 걸릴 확률은 남자보다 4∼5배 높다. 요오드가 들어있는 음식을 지나치게 많이 먹거나 반대로 지나치게 적게 먹었을 때도 발병률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갑상샘암을 예방하는 음식은 없다. 김 교수는 “다양한 음식을 골고루 먹는 게 오히려 더 좋은 예방법”이라고 말했다.

만약 갑상샘에서 혹이 발견되면 어떻게 해야 할까. 당장 정밀검사를 해야 할까. 김 교수는 “이 경우 혹의 크기, 위치에 따라 대처가 달라질 것”이라며 “만약 신경이나 기도, 식도와 접해 있다면 종양이 여기로 침범할 우려가 있어 정밀 검사를 통해 정확한 상태를 파악해야 한다”고 말했다.

어떤 때 갑상샘암을 의심해야 할까. 겉으로 증세가 드러나면 암이 꽤 진행됐을 경우가 많다. 초기에는 거의 증세가 드러나지 않는다. 그래도 자신의 목 주변을 잘 관찰할 필요가 있다.

우선 최근에 목 주변에 단단한 것이 만져졌다면, 그리고 그게 갑자기 빨리 커졌다면 갑상샘암을 의심해야 한다.

또 과거와 달리 음식물을 삼키는 게 어려워졌을 때도 암일 확률이 있다. 호흡 곤란이 나타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