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들이 LH가 자체 공급하는 토지를 사들여 5000만 원이 넘는 차익을 챙겼지만 경고 수준의 징계만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LH 직원 투기의혹과 관련해 정부가 14일 LH통제방안을 내놓았지만 투기에 관대한 LH 내부의 문화를 뜯어고치지 않으면 어떤 제도 개편도 임시방편에 그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날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알리오)’에 공개된 LH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직원 A 씨는 2014년 8월 한 사업지구 내 LH의 점포 겸용 단독주택용지 1필지(253㎡)를 4억5540만 원에 매입했다. 또 다른 LH 직원인 B 씨 권유에 따른 투자였다.
A 씨는 LH 공급 토지를 수의계약으로 매입하고서도 LH에 신고하지 않다가, 매각 후에야 뒤늦게 신고했다. 특히 토지 전매 제한 기간이 끝나기 전인 2015년 4월에 매각해 신고했다. 매입일로부터 약 8개월밖에 지나지 않은 시점이었다.
매도 계약서도 허위로 작성했다. A 씨는 실제 해당 토지를 5억810만 원에 팔아 5270만 원의 차익을 거뒀다. 하지만 계약서에는 4억5540만 원의 매입 금액 그대로 팔았다고 적었다. 계약일 역시 전매 제한 규정을 의식한 듯 실제 계약일보다 4개월 뒤인 2015년 8월로 기재했다.
이런 사실은 A 씨가 토지를 매도한 후 3년이 지난 2018년에서야 국무조정실 공직기강 점검을 통해 드러났다. LH는 국무조정실로부터 해당 내용을 통보받고 나서야 감사에 착수했다.
LH 감사실은 A 씨가 전매 제한 규정을 위반해 징계(견책·감봉·정직·강등·해임·파면) 사유에 해당한다고 판단했지만, 실제로는 경고 처분을 내리는 데 그쳤다. 2018년 당시만 해도 내부 인사 규정상 전매 제한 위반에 따른 징계 시효가 ‘발생일로부터 2년(2019년부터 3년으로 개정)’이어서 징계 시효가 지났다는 이유에서였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LH가 과거에도 제대로 된 대응을 하지 않은 결과가 지금의 땅 투기 의혹을 낳았다고 입을 모았다. 이창무 한양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오랜 기간 관행처럼 쌓여오던 각종 불법행위가 3기 신도시 땅 투기 의혹을 기점으로 외부에 알려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직원 한둘의 일탈이라면 모를까, 관습화된 것이라면 단기간 해결이 어려울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순구 기자 soon9@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