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코로나로 건강도 ‘양극화’…소득 낮은 가구 건강 더 나빠져

입력 | 2021-04-01 11:20:00

31일 오전 서울역 광장에 마련된 중구 임시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시민의 검체를 채취하고 있다./뉴스1 © News1

코로나 이후 식습관과 건강 변화(서울시제공)© 뉴스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소득에 따라 건강변화 양극화 양상이 나타났다. 월평균 소득이 낮은 가구는 코로나19 이후 건강상태가 나빠졌다고 응답한 반면 높은 가구는 좋아졌다고 답했다.

서울시가 지난해 9월25일~10월30일 지역 내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3833명, 2000가구를 대상으로 서울시민 먹거리 현황과 코로나19 이후 식생활변화 등을 조사해 1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시민의 69.2%가 일주일에 적어도 한번은 혼밥을 하고 있고, 일주일 평균 혼밥 횟수는 3.44회로 조사됐다. 혼밥빈도가 높은 집단은 집밖보다 집에서의 혼밥 빈도가 높게 확인됐다.

코로나19 이후 증가한 식품소비는 ‘배달 및 포장음식’이 49.2%, ‘온라인 식품구매’가 39.1%였다. ‘손수음식 조리’도 43.4% 증가해 가정에서의 음식섭취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 건강상태는 대부분(76.7%) 변화가 없지만 ‘나빠졌다’(14.2%)는 응답이 70대 이상(25.2%), 월평균 가구소득 200% 미만(20.5%)에서 높게 나타났다.

월평균 가구소득 700만원 이상은 ‘좋아졌다’는 응답은 27.7%였다. 서울시는 이를 코로나19 이후 소득에 따른 건강변화 양극화 양상이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먹거리가 보장된(다양한 식품을 충분하게 섭취) 시민은 76.6%, 양적으로 충족되나 질적으로 미보장 상태는 17.8%, 양·질적 모두 미보장 상태는 5.7%로 조사됐다.

먹거리 공동체 분야는 ‘지역공동식당 인지도’ 9.5%, ‘마을부엌 인지도’ 7.3%, ‘텃밭과 주말농장 이용 경험’ 8.0%로 낮게 나타났다.

‘도시와 농촌 상생’에 대한 관심도는 10점 기준 평균 4.52점으로 비교적 낮았다. 친환경 농산물을 월 1회 이상 구매하는 서울시민은 45.7%로 확인됐다.

서울시는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계층별로 먹거리와 관련된 삶의 질에 대해 심층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먹거리 취약계층은 20·70대, 1인가구, 학생, 사회적으로 완전고립형으로 밝혀졌다. 이들은 먹거리 미보장(다양한 식품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는 상태), 먹거리 이해력 부족, 낮은 행복도 등 모든 분야에서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유미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이번 조사에서 먹거리를 둘러싼 환경뿐만 아니라 먹거리 관련 행동이 먹거리·식생활의 만족도와 연계돼 있고, 나아가 삶의 행복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결과를 토대로 취약계층의 식생활·먹거리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질적인 먹거리 지원을 확대하고, 지역사회 먹거리 공동체 참여 프로그램 개발로 모든 시민이 먹거리보장과 행복도를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