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은 올해부터 모든 건설현장에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 기술(RPA)을 적용한다고 1일 밝혔다.
RPA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물리적 실체는 없지만 사람의 일을 대신한다는 의미에서 ‘로봇’이란 명칭이 붙었다.
대우건설은 2019년부터 을지로 본사에 RPA를 도입해 인사, 재무, 조달 등 15개 팀 업무를 자동화했고, 향후 건설현장까지 활용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 운정신도시파크푸르지오, 춘천센트럴타워푸르지오 등 실제 현장에서도 RPA로 단순업무를 처리 중이다.
대우건설은 모든 현장에 RPA를 적용하면 연간 2만5000시간의 업무처리 시간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한다.
대우건설은 RPA와 AI 기반 문자인식 기술을 접목해서 거래처 계좌번호를 자동 추출해서 시스템에 등록하는 방식도 시행하고 있다. 음성인식기술, 채팅 로봇 등 기술과도 연계할 계획이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직원들의 단순 반복 업무를 줄이고 핵심적이고 창의적인 업무에 몰두할 수 있도록 RPA를 개발했다”며 “업무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앞으로 RPA를 지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