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60년 베이징을 점령한 서양 군대는 청나라 황실의 정원인 원명원을 파괴했다. 이 사건은 조선에도 큰 충격을 줬다. 사진 출처 단파겔러닷컴
박훈 서울대 동양사학과 교수
에도 막부 말기인 1864년 영국 미국 프랑스 네덜란드 4개국 연합함대가 시모노세키 전쟁을 통해 조슈번 포대를 점령했다.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日 도쿠가와 막부, 美와 통상조약
한국근대사에서 권력의지와 정치역량으로 볼 때 이하응을 능가할 인물을 찾긴 힘들 것이다. 1820년생이었으니 40대 중반, 한창 나이에 권좌에 올랐다. 그는 사상 최초로 왕의 생부가 아직 생존해 있는 ‘살아있는 대원군’이었다. 아들 고종이 11세였으니 권력은 그의 것이었다. 흥선대원군 이하응이 그 후 10년간 감행한 개혁은 실로 파격적인 것이었다. 그의 빼어난 능력, 외우내환의 위기의식 없이는 생각하기 힘든 것들이었다.
먼저 전국 서원 대부분을 철폐했다. 유림의 근거지 서원을 없애는 일은 거칠게 비유하자면 중세유럽에서 교회를, 혹은 도쿠가와 시대 일본에서 절을 문 닫게 하는 일과 진배없었다. 정신적 비중으로 치자면 지금의 명동성당을 넘어설 만동묘를 한방에 날렸다. 송시열의 뜻에 따라 명나라의 황제를 제사 지내려고 세운 곳이다. 한술 더 떠 양반에게는 군포(軍布)도 매겼다. 기세등등한 혁명적 조치에 양반세력은 제대로 저항해 보지도 못했다. 조선은 다른 나라에 비해 국가권력이 약했던 걸로 평가된다. 국가권력은 양반을 제대로 제어하지도, 그들을 뚫고 사회기층을 장악하지도 못했다. 이런 상황에서 대원군의 정책은 조선왕조에서 드문 국가주의적 기획이라고 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美-佛-러와 접촉 나선 대원군
흥선대원군
전쟁 패한 日, 부국강병에 매진
같은 시기 일본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났던가. 대원군 집권 약 5년 전 막부는 서양 각국들과 통상조약을 체결했다. 그러자 여기서도 강력한 배외주의가 등장했다. 이른바 존왕양이(尊王攘夷·천황을 받들어 오랑캐를 몰아내자) 운동이다. 막부가 이를 탄압하고 나서는 과정에서 막부 수반 이이 나오스케가 백주대낮에 암살당했다. 병인양요 전에 일본도 마찬가지로 서양과 전투를 치렀다. 1863년 영국은 사쓰마번을, 1864년 서양연합군은 조슈번을 초토화시켰다. 척화와 양이를 부르짖던 이들은 즉각 서양과 화해하고 대신 부국강병에 매진했다. 막부는 서양과의 전쟁을 회피하고 군비증강에 진력했다. 1864년 대원군이 집권한 때는 일본에서는 막부와 반막부파(사쓰마번, 조슈번)가 부국강병과 근대화경쟁에 나서기 시작한 해였다. 누가 이겨도 일본의 갈 길은 정해져 있었다. 부국강병과 서양화로. 4년 후 메이지유신이 발발했다.
조선, 정치리더십 잃고 사분오열
대원군은 집권 10년 만인 1873년 실각했다. 그 스스로 왕이 되지 못한 한계였다. 배후조종은 언제나 위험하고 한계가 있다. 그를 대신한 고종과 민씨 정권은 힘겹게 노력했지만 대원군 같은 강력한 정치리더십이 없었다. 그 후로 조선이 망할 때까지 그만한 강력한 지도자는 나오지 않았다. 리더십은커녕 60년에 가까운 긴 시간 동안 조선의 정치리더십은 철저히 분열했다. 수구파와 개화파 간에, 온건개화파와 급진개화파 간에, 급진개화파 서로 간에 마치 핵분열이라도 하는 듯 분열에 분열을 거듭했다. 대원군 같은 지도력과 김옥균 같은 정책이 결합하는, 볼 만한 장면은 끝내 나타나지 않았다.
박훈 서울대 동양사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