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요즘 10대 절반이 104세까지 산다는데…지금처럼 키우는게 맞을까? [서영아의 100세 카페]

입력 | 2021-04-04 09:00:00

하버드 의대 박사 “조만간 150살까지 살 수 있다” 공언
“오늘날 60세는 과거 40세”
100세 시대, 학업-직장-은퇴의 3단계 생애 공식 잊어야




‘100세 카페’ 기사에 달린 댓글 중 “100세는 과장”이라거나 “주변에 100세까지 사는 사람 거의 못 봤다”는 의견이 적지 않았다. 그래서 찾아봤다. ‘100세 시대’라는 표현, 근거가 있는 얘기인가. 우리가 100살까지 살 확률은 얼마나 될까.
 

○살아갈수록 수명이 연장된다

1960년대 필자가 태어났을 때 한국인 기대수명은 60세가 채 안 됐다. 기대수명이란 출생부터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수명을 말한다. 통계청 조사가 시작된 1970년의 신생아(남녀 평균)의 기대수명은 62.3세였다. 2019년 태어난 신생아의 기대수명은 83.3세다(통계청 2019 생명표). 50여년 만에 수명이 무려 21년이나 늘었다. 여성이라면 1970년 기대수명은 65.8세였고, 2019년에는 86.3세로 늘어났다.


신생아의 기대수명만 늘어난 게 아니다. 같은 통계에서 2019년에 60세인 여성의 기대여명(남은 평균수명)은 28.1세다. 이 여성은 88.1세까지 살 것이 기대된다는 얘기인데, 2019년생 신생아보다 수명이 더 길다. 같은 해 80세 여성 생존자의 기대여명은 10.7년으로 90세를 가뿐히 넘긴다. 살아가면서 수명이 연장되는 셈이다.


100세 인생을 논할 때 많이 거론되는 통계는 미국 UC버클리와 독일 막스플랑크인구통계연구소가 공동으로 내놓는 인간수명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한 통계다. 런던경영대의 린다 그래튼 교수와 앤드루 스콧 교수의 공저 ‘100세 인생(2016)’도 첫머리에서 이 통계를 인용했다. 책에 따르면 인류의 기대여명은 1840년 이후 매년 3개월씩 늘어왔다. 10년마다 2~3년씩 늘었다는 뜻이다.

강동영 기자 kdy184@dongacom




○인간 수명 500세 연장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오늘날 선진국의 기대수명은 80~85세로 추정되지만, 코호트 분석을 통하면 100세가 넘는다고 ‘100세 인생’은 지적한다. 가령 2007년 선진국에서 태어난 아이들이라면 104세까지 살 가능성이 50%나 된다. 만약 그 아이가 세계 최고의 장수국가 일본에서 태어났다면 107세까지 올라간다. 이어 10년 단위로 보자면 1997년생이 101~102세, 1987년생은 98~100세, 1977년생은 95~98세, 1967년생은 92~96세까지 살 가능성이 50%라고 한다.


그렇다면 수명은 끝없이 늘어날 것인가. 노화와 장수 분야의 권위자인 하버드 의대 데이비드 싱클레어 박사는 인간은 조만간 150세까지 살 수 있다고 ‘공식적으로’ 주장한다(노화의 종말·2020). 최근에는 인공지능(AI)과 생명공학 기술의 힘으로 영생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믿는 의과학자들도 적지 않다. 구글이 2013년 설립한 바이오기업 칼리코(Calico)는 인간 수명을 500세까지 연장시키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이런 노력들에 힘입어 당분간 수명연장 속도는 더 빨라질 수 있다.

강동영 기자 kdy184@dongacom




○의학과 공중보건이 수명 연장에 기여
인류의 평균수명이 연장된 데는 공중 보건과 의료기술 발달이 큰 기여를 했다. 가장 먼저 영유아 사망률이 급속도로 줄었다. 한국에서도 과거 아기의 100일 잔치나 돌잔치는 살아남았음을 축하하는 행사였다. 영유아 사망률이 워낙 높다보니 아기가 태어나 돌을 넘겨야 호적 신고를 했다는 식의 얘기도 많다.

그 다음은 중년의 각종 질병을 다스리게 됐다. 건강 검진과 위생 향상, 식생활 개선, 생활습관 개선 등을 통해 40대, 50대에 급환으로 사망하는 사람의 숫자는 극적으로 줄었다.

마지막 단계는 노년 질환인데, 암, 치매, 뇌나 심장 등 까다로운 질환들이 적지 않다. 위에 언급한 하버드 의대 싱클레어 박사의 경우 노화 자체를 질병으로 보고 치유의 길을 찾고 있다. 질병은 노년으로 갈수록 다스리기 까다로워지고 돈도 많이 든다.


개발도상국의 경우 출발은 늦었지만 영 유아 사망률부터 빠른 속도로 개선되고 있다. 가령 1900년 인도인의 기대수명은 24세, 미국인은 49세였다. 1960년 미국인의 기대수명이 70세가 됐지만 인도인은 41세에 머물렀다. 하지만 2014년 인도인의 기대수명은 67세로 70대 후반인 미국과의 격차는 급격히 좁혀졌다.

수명 혁명 프로젝트를 진행중인 하버드 의대 싱클레어 박사.




○급속도로 달라진 장수에 대한 감각

한국의 100세 이상 노인은 2019년 기준 1만8505명으로 인구의 0.03%에 불과하다. 노인대국 일본에서는 지난해 100세 이상 생존자가 8만 명을 넘어섰다.


수명에 대한 감각 차이는 세대 간에도 확연히 다르다. 1960년대 초반 태생인 A씨가 1980년대에 갓 환갑을 치른 부친에게 유학을 가고 싶다고 했다. 이 부친은 “아비가 육순을 넘겨 언제 저 세상 사람이 될지 모르는데 어딜 가겠다고 하느냐”며 역정을 냈다. 아버지는 그 뒤 30년을 더 살다가 세상을 뜨셨다. 1980년대만 해도 시골에서 60대는 언제 어찌될지 모르는 노인이었다는 얘기다. 실제 1985년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68.9세였다.


하지만 요즘 60세는 청년이라 환갑은커녕 생일잔치조차 하기 민망하다고 한다. 아마도 2007년생들이 100세가 되는 2107년에는 이들의 100세 생일잔치가 요즘 환갑처럼 인식될 것이다.

‘어르신 생활체육 경연대회’에서 선보인 어르신들의 난타공연. 노년의 활력은 운동과 사람들과의 교류를 통해 커진다. 동아일보DB



○청년 노인이 늘고 있다
수명이 늘어나는 현상과 함께 노인들이 젊어지고 있다. 과거 60세와 요즘 60세는 건강 상태가 확연히 다르다. 대개 사망에 이르기 전 질병에 시달리는 유병 기간도 압축되는 추세라고 한다. 건강한 노인 시절을 살아가는 기간이 늘고 있다는 뜻이 된다.


장수시대에는 자기 나이에 0.7을 곱해야 과거 선배들의 나이와 비슷해진다는 말이 있는데, 린다 그래튼 박사도 같은 주장을 한다. 그래튼 박사는 2017년 62세였던 당시 일본인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오늘날의 60세는 과거 40세와 건강 상태가 비슷한데 과거 40세보다 20년분 많은 경험을 했다”며 일에서 나이로 인한 차별은 사라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명 연장은 삶의 스케줄도 늦추고 있다. 결혼하고, 아이 갖고,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나이가 갈수록 늦춰지고 있는 것이다. 한국의 평균 초혼 연령은 1960년 남성 25.4살, 여성 21.6살에서 2015년 남성 32.6살, 여성 30.0살로 높아졌다.

일본노인들이 만 100세에 선물받는 은배. 총리대신의 이름으로 보내진다.




○흔해진 장수…순은제 술잔이 도금 술잔으로

일본은 1963년 9월 15일을 ‘경로의 날’로 정하고 100세를 맞이한 고령자에게 총리와 자치단체장 등이 기념품을 보냈다. 자치단체장 선물이야 제각각이었지만 총리 기념품은 순은으로 만든 술잔 사카즈키(銀杯)로 정해져 있었다. 잔 한가운데에 ‘목숨 수(壽)’자가 새겨져 있고 겉면에 날짜와 총리대신 글자가 새겨져 있다. 첫해에 153명이 은배를 받았다.

그런데 이 은배가 2015년 6월 전문가 회의에서 논란의 대상이 됐다. 새로 100세를 맞는 고령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었기 때문이다. 새로 100세 생일을 맞는 고령자는 2003년에 1만 명, 2009년 2만 명, 2015년 3만 명을 각각 넘어섰다. 지난해에는 4만 명을 넘었다.

결국 은배는 2016년도부터 디자인은 유지하되 동과 아연 등 합금에 도금한 것으로 바뀌었다. 가격은 개당 7600엔(약 8만원)에서 절반으로 떨어져 후생노동성 관련 사업비도 2.7억 엔(2015년도)에서 1.5억 엔(2016년)으로 줄었다. 일본에서는 다음에 이 은배가 도마에 오를 때는 아예 다른 기념품으로 대체될 것으로 전망한다.

‘100세 인생’의 저자 린다 그래튼 런던경영대 교수.



○학업-직장-은퇴의 3단계 생애 공식 잊어야
100세 시대에는 일하는 방식과 인생 로드맵이 확 달라져야 한다. 린다 그래튼 박사는 기성 세대에게 당연했던 ‘학업-직장-은퇴’라는 3단계 인생 모델은 의미를 잃었다고 지적한다. 대학 교육까지 20여 년 기간을 거친 뒤 취직해 65세까지 근 35~40년 일하고 은퇴한 뒤 10여 년 유유자적(悠悠自適)하는 식의 인생 설계가 통하지 않게 된 것이다.


대신 100세 시대에는 서로 다른 세대들이 뒤섞여 일하고 공부하는 사회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누구나 길어진 삶을 위해 젊어서부터 인생을 신중하게 설계해야 하고 평생 여러 개의 직업을 갖고 더 오래 일해야 한다. 그러려면 인생 중간 중간에 재교육이 필수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사실 100세 시대는 사회가 거대한 시험대에 오르는 일이 될 수 있다. 교육, 취업, 연금, 재교육 등 사회 프로그램 전반에 대한 재검토가 불가피해진다. 개인으로서는 인생이 길어질수록 신중함이 필요해진다. 일부 청년들이 취업을 위한 탐색 기간을 길게 갖고, 결혼과 출산을 늦추는 것도 이런 맥락에서 해석할 수도 있다. 배우자든 직장이든, 잘못된 선택이 더 오랜 기간 고통을 안겨주는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징검다리 역할 기성세대, 젊은 세대에 부담 떠넘기지 말아야

결국 현재 30~40대라면 100세, 50~60대라면 90세는 넘긴다고 각오하고 인생 설계를 하는 게 바람직할 듯하다. 자식 세대의 도움을 기대하기도 어렵다. 자식 세대는 그들 앞에 주어진 100년 이상의 인생만 해도 버겁기 때문이다. 요즘 태어나는 세대의 미래는 상상도 못할 정도로 기성세대와 다를 것이다. 그 아이들 앞에서 ‘라떼는 말이야’는 명함도 못 꺼내는 시대가 와 버렸다.

특히 저출산으로 인해 젊은 세대는 숫자가 적어 사회복지 비용에 대한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적어도 이들에게 부양 부담이나 빚을 떠넘기지 않는 것이 가장 도와주는 길이 아닐까 싶다. 그래서 ‘한국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 재정적자 비중이 적은 편’이라며 나라 빚을 더 늘려도 된다는 소리가 더욱 무책임하다.


일본 노년심리학자 사토 신이치는 ‘나이든 나와 살아가는 법(2020)’에서 70대는 타인의 도움을 받아가며 ‘세대 전승(傳承)을 생각하는 시기’로 규정했다. 세대 전승은 자식이나 아랫세대에게 이어주고 남겨줄 것이 무엇인지 생각하고 실천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늙음을 상실이 아니라 새로운 세계를 개척할 기회로 만들어준다고 강조한다. 4월 2일자 한 일간지 에 실린 104세 할머니는 코로나19 백신을 맞는 이유를 ‘손자들에게 옮기지 않으려고’라고 했다. 인간이 살았던 흔적은 결국 후대에 대한 사랑으로 남겨진다.


서영아 기자 sya@donga.com
※인생 후반, 더 중요해지는 ‘돈 건강 행복’풍요로운 100세 인생을 맞기 위해서는 반드시 지켜야 할 것이 돈과 건강, 그리고 행복입니다. 이 모든 것은 어느 날 갑자기 갖춰지는 게 아니고 30~40대부터 차근차근 조금씩 준비해나가야 합니다. ‘100세 카페’에서는 특히 인생 2막을 잘 맞이하기 위해 미리미리 준비해야 할 돈과 행복 이야기를 나눠보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