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의 직격탄을 맞은 중소 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이 한목소리로 요청하는 것이 바로 금융권의 지원이다. 최근 동아일보가 연재하고 있는 ‘리빌딩 대한민국’ 시리즈는 한국이 코로나 불황을 헤쳐 나가는 데 금융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코로나 불황의 와중에서도 수출업종이나 ‘언택트’ 소비업종은 매출이 크게 늘고 있다. 하지만 영업제한과 영업금지 등의 불이익을 직접적으로 당하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은 빚을 내서 겨우겨우 버티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작년 말 자영업자들의 금융대출 잔액은 803조500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118조8000억 원이나 늘어났다. 예년의 갑절 수준이다. 대출 원리금이 소득의 40%를 넘고 부채가 자산보다 많은 ‘고위험 자영업자 가구’도 작년 3월에 비해 76%나 증가했다. 3월 말 종료 예정이던 원리금 상환유예가 6개월 연장되지 않았다면 당장이라도 무너질 자영업자가 많다는 뜻이다.
과거 한국의 금융권은 경제위기가 닥칠 때마다 “비 올 때 우산을 빼앗는다”는 비판을 받았지만 지금은 많이 달라졌다. 일례로 2019년 KB 신한 하나 우리 NH IBK기업 등 6개 은행의 사회공헌 지출은 대기업의 갑절이 넘는 9.2%에 이른다. 그러나 중소기업과 서민경제의 절박함, 금융 본연의 공익적 기능을 감안할 때 금융권의 어깨는 더욱 무거울 수밖에 없다.
다행인 것은 금융회사들이 코로나19 상황에서도 탄탄한 실적을 바탕으로 굳건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KB 신한 하나 우리 등 4개 금융지주사들은 1분기에 평균 10% 이상 순이익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권이 공존금융의 노력을 한층 가속화함으로써 경제의 혈맥이 막힘없이 잘 돌도록 하는 심장 역할을 해주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