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주초 靑참모진부터 물갈이… 홍남기 포함 경제부처 대거 개각 유력

입력 | 2021-04-12 03:00:00

[재보선 이후]文대통령 ‘민심 수습’ 인적쇄신 속도




문재인 대통령이 이번 주에 정세균 국무총리와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을 포함한 개각과 최재성 대통령정무수석비서관 등 청와대 참모진 개편에 나서기로 한 것은 4·7 재·보궐선거에서 드러난 민심에 대한 수습 성격이다. 여기에 사실상 문 대통령 임기 내 마지막 개각을 통해 새 진용으로 남은 임기 동안 국정을 끌고 가겠다는 의미도 담겼다. 앞서 문 대통령은 선거 참패에 대해 “더욱 낮은 자세로, 보다 무거운 책임감으로 국정에 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청와대는 개각이 늦어질수록 국정 쇄신의 메시지가 옅어지고 후임 장관 임명 시점이 지연되는 만큼 이른 시일 내에 인사를 통해 공직사회 기강을 확립하고 레임덕(임기 말 권력 누수 현상)을 막겠다는 방침이다. 문 대통령은 인사와 함께 이번 주 확대경제장관회의를 직접 주재하며 정책 성과 창출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 이르면 이번 주초 靑 참모진 교체 가능성

문 대통령은 정 총리가 이란에서 귀국한 뒤 사의를 표명하면 16일경 후임 총리를 지명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 관계자는 “이미 정 총리의 사퇴가 기정사실화된 상황에서 인사를 더 늦출 필요가 없다는 분위기가 있는 데다 이번 주를 넘기면 쇄신 효과가 줄어든다”고 했다. 다만 장관 교체를 먼저 발표하고 19일부터 21일까지 예정된 국회 대정부 질문이 끝난 뒤 총리 인선을 단행할 수도 있다. 정 총리 후임으로는 4선 의원 출신인 김부겸 전 행정안전부 장관, 노무현 정부 청와대에서 대통령경제수석비서관을 지낸 김영주 전 한국무역협회장 등이 거론된다. 대구 출신인 김 전 장관은 친문(친문재인) 색채가 옅다는 점이, 김 전 회장은 경제 분야 경험이 각각 특징으로 꼽힌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경제사령탑인 홍 부총리를 비롯해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 등 장기간 근무한 경제 부처 장관들도 교체할 것으로 보인다. 홍 부총리 후임으로는 구윤철 국무조정실장, 노형욱 전 국무조정실장, 정은보 한미방위비분담금 협상대사 등이 거론된다.

문 대통령은 개각에 앞서 이르면 이번 주초 참모진 개편도 단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야 하는 국무위원과 달리 청와대 참모진은 즉시 임명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적 쇄신의 신호탄을 청와대에서 시작하겠다는 의도도 있다. 교체 대상으로는 최 수석과 김외숙 인사수석 등이 꼽힌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이번 선거 전부터 물러나겠다는 뜻을 내비쳤던 최 수석이 선거 참패 뒤 ‘책임을 지겠다’며 사의를 표했다”면서 “유영민 비서실장, 이호승 정책실장이 최근에 임명된 상황에서 결국 선거 패배의 책임을 최선임 수석인 최 수석이 질 수밖에 없다”고 했다. 민주당 초선 의원들이 청와대 인사 원칙에 대해 공개 비판에 나서면서 김 수석도 교체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도 있다.

○ 文, 인적 쇄신과 더불어 정책 성과 강조
문 대통령은 12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특별방역 점검회의를 시작으로 15일 홍 부총리 등 경제 부처 장관들을 불러 확대경제장관회의를 개최하고 전략산업 대응 방안 등을 직접 챙긴다. 개각 및 청와대 참모진 교체와 함께 정책 성과 창출을 위한 기강 다잡기에 나서는 것. 문 대통령이 코로나19 방역상황 점검회의를 소집한 것은 지난해 12월 이후 4개월 만이고, 확대경제장관회의를 주재하는 것은 2019년 12월 이후 1년 4개월 만이다.

재·보궐선거에서 나타난 극심한 민심 이반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경제 성과가 중요하다는 절박한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회의에 대해 “국정 현안을 다잡아 나가기 위한 첫 번째 행보”라며 “문 대통령은 국민의 절실한 요구를 실현시켜 나가기 위해 더욱 낮은 자세와 보다 무거운 책임감으로 국정에 임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청와대의 이런 인적 쇄신과 정책 행보가 이번 선거에서 드러난 들끓는 민심을 달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청와대는 이번 선거의 핵심 요인이었던 부동산 실정(失政) 등 국정 전반의 정책 기조 변화에 대해서는 신중한 태도다. 한 여당 의원은 “누구를 임명하느냐에 따라 인적 쇄신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며 “이번에도 ‘친문 인사’ ‘회전문 인사’ 등의 꼬리표가 붙는다면 여권 전체가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했다.


박효목 기자 tree624@donga.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