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흙과 불 만나 아름다움 탄생… 가마터 기운도 흠뻑!

입력 | 2021-04-17 03:00:00

[여행이야기]경기 이천



달 항아리들로 기하학적 모습을 연출한 실외 작품. 도예 공방 ‘흙으로 빚은 달’에 설치돼 있다.


가마터는 도자기를 만들어 내는 곳이다. 가마터에서는 도자기의 원료인 태토(胎土)의 질, 적절한 불의 세기, 공기의 조합 등이 도자기의 완성도를 결정짓는 중요한 변수가 된다. 여기에 하나 더 보태면 가마터가 위치한 자리다. 옛 도공들은 가마터를 아무 곳에나 만들지 않았다. 풍수적으로 명당 터에다 요지(窯址·가마터)를 조성했다. 명당 가마터에서 명품 도자기가 탄생한다는 믿음에서다.

수도권에서 명당 가마터를 확인할 수 있는 곳이 있다. 한국의 대표적 도자(陶瓷)도시이자 2019년 유네스코 창의도시(도자기 공예 부문)로 선정된 경기 이천시의 가마터다.

특히 수광리의 오름가마는 우리나라 근현대의 가마 제작 기술을 잘 보여주는 곳이다. 야트막한 산자락 경사진 곳에다 계단식으로 줄지어 12칸 가마를 만들어 놓은 이 오름가마(등록문화재 제657호)는 근대에 세워진 요지로는 보기 드물게 명당 터에 자리 잡고 있다. 지금도 땅에서 솟아나는 생기(生氣)를 느낄 수 있을 정도다.

이 가마는 1963년 고(故) 조소수 광주요 설립자가 조선 왕실에 진상하던 관요(官窯)의 전통을 잇기 위해 설립한 것이라고 한다. 설립자의 아들인 조태권 광주요 회장은 “선친이 일제강점기의 문화말살 정책으로 명맥이 끊어지다시피 한 조선 도자기를 재현하기 위해 원래 있던 이 가마터를 찾아 전통 그대로 재현한 것”이라고 말했다.

● 명당 가마터에서 명품 도자기 나와

이천에는 수광리 오름가마처럼 전통 가마를 갖춰놓고 도자기를 제작 및 판매하는 마을인 ‘사기막골 도예촌’(사음동)과, 도자기 문화에 관광과 여가 기능을 덧붙인 현대식 마을인 ‘예스파크’(이천도자예술마을·신둔면)가 있다.

사기막골 도예촌은 ‘사기그릇을 굽는 막(幕)이 있던 골짜기 마을’이라는 뜻이다. 지명답게 이곳은 산제당골산 골짜기를 따라 여러 공방이 옹기종기 들어서 있다.

이천 수광리의 조선식 오름가마. 경사진 지형을 따라 가마가 칸을 이루며 설치돼 있다.

역사도 깊은 편이다. 이 도예촌은 조선시대에 한창 번성했다가 일제강점기 때 침체된 이후 1970년대부터 도자기 공방이 하나둘씩 모여들어 지금의 마을을 이루게 됐다고 한다. 토월요, 송월요 등 전통 가마에서 도자기를 만들어 내는 공방과 도소매 형태로 생활자기를 판매하는 가게들이 혼재돼 있다.

마을의 규모가 크지 않아 반나절 정도면 이 일대를 여유 있게 돌아볼 수 있다. 어슷비슷한 전통 가마를 둘러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또 전통 가마터란 산에서 땔감이 풍부하게 나고, 골짜기를 따라 부는 바람의 방향이 좋으며, 좋은 토질을 갖춘 곳에 자리 잡아야 한다는 점을 실감나게 해주는 장소이기도 하다. 그런데 이곳 가마터는 대개 인위적으로 경사면을 조성한 뒤 오름식 가마를 하고 있다는 점이 다소 아쉽기는 하다.

역사적으로 우리의 전통 가마터는 한결같이 자연 그대로의 명당 터에 조성돼 왔다. 충북 진천 산수리의 ‘백제 요지’, 경남 창녕의 가야 시대 대형 가마터, 전남 해남의 고려청자 가마터, 전국 곳곳에 산재한 조선시대 백자 가마터 등이 대부분 그런 명당에 자리 잡고 있다. 정유재란 당시 일본에 끌려간 조선 도공 심수관가(家)의 가마터 또한 명당에 조성돼 있는 점도 이를 증명한다. 규슈(九州) 남단 가고시마(鹿兒島)현 미야마(美山) 마을에 있는 이 가마터는 일본을 세계적 도자기 강국으로 만드는 데 큰 기여를 했는데, 지금도 조선식 오름가마를 유지하고 있다. 그래서 전통 가마터 여행은 도자기 예술을 즐기는 동시에 명당 기운을 체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 도자 관광 산업의 메카, 예스파크

기타 형태의 건물. 예스파크(이천도자예술마을)에는 예술가의 취향과 목적에 따라 지은 다양한 형태의 건물이 또 다른 볼거리다.

산의 계곡을 따라 길쭉하게 공방들이 들어서 있는 사기막골 도예촌과 달리 이천시가 최근에 조성한 예스파크(藝’s Park)는 수평으로 널따랗게 조성된 도자기 테마파크다. 이천시가 야심 차게 기획한 국내 최대 규모의 공예타운으로, 40만6000m²(약 12만3000평)의 부지에 현재 350여 개의 공방이 들어서 있다.

사기막골 도예촌을 상징하는 조형물.

각 공방은 창작 활동 공간, 전시 및 판매 공간, 주거 공간을 한꺼번에 갖추고 있다. 500여 명의 예술인이 거주 생활과 창작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건물 구조가 짜여 있다. 이 때문에 전시 공간(갤러리)에 들어서면 작가로부터 직접 작품의 창작 의도와 과정을 들을 수 있고, 작품을 감상하거나 구매할 수 있다.

마을이 워낙 크다 보니 하루를 다 써도 전체를 둘러보기가 어렵다. 마을 입구에서 한옥으로 꾸민 관광안내소에 들러 답사 계획을 짜는 게 좋다. 관광안내소에서는 테마별로 가마마을, 회랑마을, 별마을, 사부작마을 등 4개의 소마을에 분산 배치된 각 공방들의 특징과 체험 프로그램 정보를 구할 수 있다.

마을 지도를 들고 거리로 나서면 서구식 세련된 건물들과 전후좌우로 반듯하고도 깨끗한 도로가 이국적 분위기를 물씬 풍긴다. 특히 예술가들이 취향에 따라 독특하게 지은 건물들은 눈요깃거리다.

이천은 조선시대에 옹기 항아리 등으로 유명했다.

예스파크를 가로지르는 생태하천 북쪽에 조성된 가마마을은 야트막한 산등성이 자락에서 학암천을 바라보는 배산임수형 명당 터에 자리 잡고 있다. 이 중 달항아리로 유명한 신철 작가의 공방 ‘흙으로 빚은 달’에서는 전통 가마터처럼 장작으로 불을 지피면서도 실용성을 가미한 현대식 가마를 구경할 수 있다. 이 가마에서 구워낸 현대의 백자, 즉 거대한 달항아리들도 감상할 수 있다.

달항아리로 유명한 신철 도예가의 작업 공간.

한편으로 예스파크에는 주축을 이루는 도예 공방 외에 유리, 고가구, 옻칠, 조각, 회화 등 다양한 분야의 예술 공예 공방들이 둥지를 틀고 있다.

예스파크 내 공방 플럭스의 아트 유리 작업.

각 공방에서는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별마을의 유리 공방 ‘플럭스’에서는 일반인들을 상대로 유리 공예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회랑마을의 ‘토즈스토’는 입체 도자기 인형 위에 자신만의 캐릭터를 새겨 넣는 아트토이 프로그램을, 사부작마을의 도예 공방 ‘들꽃마을’은 작가가 도자기 교육을 하면서 전통 도자기 만들기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프로그램 참여는 예약이 필수이므로 미리 문의해야 한다.

숲과 계곡을 따라 공예점들이 옹기종기 들어선 사기막골 도예촌.

예스파크가 종합 예술문화단지로 입소문이 나면서부터 평일에도 직접 물레를 돌려 도자기를 빚어보는 젊은 커플, 자기가 그린 그림이 새겨지는 그릇 만들기에 도전하는 어린이를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예스파크에서는 각 마을마다 도자기 명장들이 빚어낸 명품 도자기를 찾아내는 재미도 빼놓을 수 없다. 도자기는 그 자체의 성분과 함께 작가의 정성과 혼이 들어간 ‘기물(氣物·기운이 담긴 물건)’이라고 할 수 있다. 기운이 밴 도자기일수록 사람을 끌어들이는 힘이 있다.

일찌감치 조선의 도자기를 흠모해온 일본인들은 이런 기운에 민감하게 반응해 왔다. 특히 차를 좋아하는 일본인들은 가마에서 깨지지 않고 변형된 채로 구워진 다완(茶碗·찻사발)일수록 높게 평가한다. 가마의 뜨거운 기운까지 버텨낸 다완은 그만큼 강력한 기운이 배어 있다는 믿음에서다. 이천시의 전통 도예촌은 한때이런 도자기를 구하려는 일본인 관광객들로 넘쳐났을 정도다.

도자기의 기운은 풍수에도 이용할 수 있다. 우리 선조들은 일찌감치 도자기를 공간의 기운을 보충하는 ‘비보(裨補·모자라는 것을 채움)’ 풍수 소품으로 활용해 왔다. 사대부집 사랑방과 안채 등에 장식한 청자나 백자는 예술품 감상용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도자기의 기운으로 실내의 공간 기운을 보충하려는 풍수적 조치이기도 했다. 이천의 도자기 마을로 여행가면 마음이 가는 도자기 하나쯤 구해 집 안에 장식해 보기를 추천한다.




이천=안영배 기자 ojong@donga.com·풍수학 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