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사업재편 나선 씨티銀… 국내 금융시장 지각변동 예고

입력 | 2021-04-19 03:00:00

‘소매금융 철수’ 결정 파장
디지털 전환 가속화 구조조정 속도…씨티그룹 “아시아 자산가에 집중”
통매각? 분리매각? 업무폐지? 소매금융 출구전략 향방놓고 촉각
지방은행-제2금융권서 관심…노조 “뱅크런” 은행측 “사실 아냐”




‘씨티은행, 한국에서 소매금융 손뗀다.’

‘씨티그룹, 홍콩과 싱가포르에서 2300명 뽑는다.’

아시아 시장에서 미국계 금융사인 씨티그룹의 행보가 엇갈리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전 세계 금융사들의 디지털 전환이 더욱 가속화되고 글로벌 사업 재편이 시작되면서 국내 금융 시장에도 지각변동이 예고된다.


○ “소매금융 손떼고 아시아 자산가에 집중”


17일(현지 시간) 씨티그룹의 피터 바베지 아시아태평양지부 최고경영자(CEO)는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2025년까지 아시아 지역 고객 운용 자산 규모를 4500억 달러(약 503조 원)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기술·운영 인력 1200명과 프라이빗뱅커(PB) 등 1100명을 홍콩과 싱가포르에서 더 충원하겠다고 설명했다. WSJ는 “씨티그룹이 아시아에서 운용하고 있는 부유층 자산 규모를 50% 더 늘리겠다는 것”이라며 “아시아에서 늘고 있는 부유한 기업가들과 그들의 사업에 더 집중하겠다는 의미”라고 전했다.

씨티그룹의 한국 소매금융 사업 철수에는 부진한 실적이 자리 잡고 있다. 씨티그룹은 15일 지속적인 사업 전략 재편의 일환으로 한국을 포함해 중국, 인도, 호주 등 13개 국가에서 소매금융 사업을 접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씨티그룹이 소매금융에서 손을 떼겠다고 밝힌 13개 국가에서 지난해 전체 순이익은 ‘제로(0)’였다.

세계 금융사들의 구조조정에 따라 우리나라도 타격을 받기 시작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코로나19로 디지털 전환이 강화되며 구조조정 속도가 빨라졌다는 얘기다. 실제로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글로벌 은행을 대상으로 올해 3대 과제를 조사한 결과 ‘디지털 뱅킹 전환’이 최우선 순위로 선정됐다.


○ DGB, OK금융 등 인수 후보로 거론


국내 소매금융에서 한국씨티은행이 차지하는 비중은 3%밖에 안 되지만 국내에서 철수한단 소식이 보도된 뒤 문의가 25% 늘었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 한국씨티은행지부는 16일 입장문을 내고 지점마다 수백억 원의 뱅크런(예금 대량 인출)이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한국씨티은행 관계자는 “뱅크런은 전혀 사실이 아니며 은행의 수신액은 평소 변동 범위 안에 있다”고 설명했다. 기존의 예금, 대출 등은 그대로 제공되고 있다. 금융당국은 소비자 불편을 최소화하고 고객 데이터 보호 등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검토해 나갈 예정이다.

금융권에선 한국씨티은행의 구체적인 출구 방식을 두고 다양한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한국씨티은행이 자산관리(WM) 부문에 강점을 갖고 있는 만큼 인수에 나서는 이들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은행업 라이선스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지방금융지주는 수도권 진출, 제2금융권 회사들은 시중은행화 등의 효과를 누릴 수 있어 매력적인 매물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며 “일본씨티은행의 매각처럼 사업군별로 분리 매각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유력 후보군으로는 DGB금융지주, OK금융그룹 등이 꼽힌다. 하지만 이들 모두 현재까지는 “공식적으로 결정된 건 없다”는 입장이다. 업계에선 한국씨티은행 소매금융 부문의 ‘몸값’을 2조 원대로 보고 있다.

2013년 HSBC가 국내에서 소매금융을 접을 때처럼 매각 없이 인력 구조조정과 고객 자산 이전 등으로 정리될 가능성도 있다. 소매금융의 실적이 수년간 부진했고 인력 등의 비중도 전체 시중은행으로 보면 매우 미미한 수준이기 때문이다.

신지환 jhshin93@donga.com·박희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