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협의중’ 한미 백신스와프 어떤 내용일까…다른 나라 사례보니

입력 | 2021-04-20 13:13:00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20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 여야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2021.4.20 © News1


우리 정부가 미국 측으로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지원받기 위한 이른바 ‘백신 스와프’ 관련 협의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져 그 내용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20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한미 간 코로나19 백신 협력, 특히 ‘백신 스와프’에 관한 박진 국민의힘 의원의 질문에 “지금 미국 측과 (백신 스와프에 대해) 상당히 진지하게 협의하고 있다”며 “지난 17~18일 존 케리 미 대통령 기후특사가 (한국에) 왔을 때도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논의했다”고 답했다.

한미 간 ‘백신 스와프’는 작년 12월 박 의원이 처음 제안한 것으로서 미 정부가 우리나라에서 필요로 하는 코로나19 백신 물량을 긴급지원해주면 이후 우리나라 제약사들이 미국 기술을 도입해 국내에서 생산한 백신을 미국에 되갚아주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박 의원은 당시 보건복지부·질병관리청 등 관계부처뿐만 아니라 미 정부 및 현지 싱크탱크 관계자들과도 이 같은 제안을 소개하고 현실화 가능성을 논의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국민의힘은 정부·여당을 향해 ‘한미 백신 파트너십을 통한 백신 스와프’ 방안을 당 차원에서 공식 제안하기도 했다. 미국·영국 등에선 작년 12월 말부터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됐다.

그러나 당시 질병청에선 “미국·영국 등 국가로부터 (코로나19) 백신을 차용할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고, 박 의원의 제안 또한 ‘유야무야’되는 듯했다. 그랬던 정부가 이날 정 장관의 국회 답변을 통해 ‘미국으로부터 코로나19 백신을 공급받기 위한 협의를 진행해왔다’는 사실을 공식 확인한 것이다. 이는 최근 세계 각국에서 코로나19 백신 수급난을 겪고 있는 상황과도 무관치 않아 보인다.

정 장관은 “한미 간의 백신협력은 다양한 단계에서 이뤄지고 있다. (지난 3월)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 방한시에도 논의했다”며 “(내달 하순) 한미정상회담이 개최되기 전까지 (미국과의 백신 협력에 관한)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미 정부는 올 3월 기준으로 자국 인구 모두에 접종할 수 있는 양의 코로나19 백신을 확보했다는 판단에서 멕시코·캐나다에 영국 아스트라제네카(AZ) 개발 백신 여분 총 400회 접종분을 지원한 뒤 추후 같은 양의 백신을 돌려받는 내용의 계약을 맺었다. 멕시코가 미국으로부터 공급받기로 AZ 백신은 250만회, 그리고 캐나다가 공급받은 백신은 150만회 접종분이다.

따라서 앞으로 한미 간 백신 스와프가 성사될 경우 멕시코·캐나다 사례와 유사한 방식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미 정부가 이들 두 나라에 공급하기로 한 AZ 백신은 아직 미 식품의약국(FDA)로부터 승인을 받지 못한 상태다.

게다가 미국과 ‘백신 스와프’ 협정이 체결되더라도 실제 공급을 받으려면 Δ우리나라에 대한 백신 공급 ‘시급성’과 Δ미국의 백신 ‘여유분’ 등 전제조건이 충족돼야 한다.

최근 미 정부가 코로나19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 백신의 추가 접종(부스터샷)을 추진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백신 여유분이 생기더라도 그 양은 그리 많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한국형 백신스와프’ 가능성이 제기된다. 한국에서 백신을 만들고, 미국에서 백신을 공급하는 형태이다.

이런 가운데 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의 손영래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정 장관의 ‘한미 간 코로나19 백신 스와프 논의’ 발언에 대해 “다각적으로 논의하고 있지만, 현재까진 설명할 내용이 없다”면서 “(협상에) 진전이 있으면 그때 설명하겠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