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내달초 대권 출마 선언까지 ‘정통성’ 부각시키는데 중점… DJ 사저 찾고 봉하마을 방문 계획 이낙연, 호남 시작 전국 비공개 민생 순회 총리-전남지사 시절 찾았던 현장서 민심 듣고 반전 계기 마련할 의도
왼쪽부터 정세균, 이낙연
정 전 총리는 전당대회 기간 중에는 여의도와 거리를 둔 채 ‘민주당 직계’ 이미지를 강화할 수 있는 행보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정 전 총리는 “이번 주말 경남 김해 봉하마을을 찾아 노무현 전 대통령 묘소를 참배하고 권양숙 여사와 면담할 계획”이라고 했다. 정 전 총리 측 관계자는 “‘범친노(친노무현)’로서 민주당 내에서의 정통성을 내세우면서 당내 친노, 친문 인사들을 두루 접할 것”이라고 했다. 그가 16일 사임 후 첫 공식 일정으로 김대중(DJ) 전 대통령의 일산 사저를 찾은 것 역시 ‘DJ 후계자’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서인 것으로 풀이된다. 1995년 DJ의 제안으로 정계에 입문한 정 전 총리는 페이스북에 “‘다시 김대중’으로 돌아가기 위한 다짐”이라고 적었다.
정 전 총리가 본격 대선 행보에 나서면서 그동안 물밑에서 지원해 온 김영주 안규백 이원욱 의원 등 당내 이른바 ‘SK계’ 의원들도 본격적인 세력 구축에 착수했다. 정 전 총리와 가까운 한 의원은 “정 전 총리가 기업인 출신이라는 강점이 있기 때문에 ‘포스트 코로나’ 경제 재건에 대비할 수 있는 자질 등을 강조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 전 대표는 16일 자가 격리에서 해제된 직후 국립대전현충원을 찾아 세월호 사태 당시 순직한 고 김초원 교사의 부모를 위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고향이자 옛 지역구였던 전남 영광으로 향해 청년농업인 등을 만났다. 또 2020년 8월 집중호우로 피해를 입었던 섬진강 일대 현장도 다시 찾아 이재민들의 고충을 듣기도 했다. 한 여당 의원은 “총리 시절 현장 목소리를 직접 듣고 정책에 반영했듯이 다시 현장에서 반전의 계기를 만들겠다는 취지”라고 전했다.
두 사람의 경쟁에 대해 여권 관계자는 “정 전 총리는 여전히 한 자릿수로 미미한 지지율을 끌어올려야 하고, 이 전 대표는 연초부터 하락세로 접어든 지지율을 다시 반등시켜야 한다”며 “다음 달까지 두 사람 중 누가 먼저 눈에 띄는 지지율 변화를 만들어내는지가 첫 번째 승부가 될 것”이라고 했다.
김지현 기자 jhk85@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