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에 갈무리해놓았던/곤드레나물을 꺼내 해동시킨 후/들기름에 무쳐 밥을 안치고/달래간장에 쓱쓱 한 끼 때운다/강원도 정선 비행기재를 지나/나의 위장을 거친 곤드레는/비로소 흐물흐물해진 제 삭신을/내려놓는다/반찬이 마땅찮을 때 생각나는 곤드레나/톳나물,/아무리 애를 써도/조연일 수밖에 없는/그런 삶도 있다
―김지헌(1956∼)
만나고 돌아섰을 때 두고두고 생각하고 싶은 사람이 있다. 그런 사람은 나에게 좋은 사람이다. 시집도 비슷하다. 덮었을 때 두고두고 생각나는 시가 있다. 사람이나 사람이 낳은 시나 별반 다르지 않다. 나중에도 생각나는 시가 나에게 좋은 시다.
김지헌 시인의 ‘곤드레밥’이 바로 그런 시다. 왜 좋으냐를 따지자면 첫 번째는 ‘그냥’이다. 사람이 사람 좋아하는 데 이유가 없는 것처럼, 마음이 시를 좋아하는 데 이유 없다. 그래도 더 말해보라 하시면, 이 시는 마치 영화의 한 장면과 같다고 대답하겠다.
곤드레와 주인공, 그리고 인생의 조연은 각각의 셋이면서 결국은 하나다. 셋을 하나로 만드는 힘이 이 시에는 있다. 그 하나를 붙잡고 살아내는 힘도 이 시에는 있다. 그래서 자꾸 돌아보게 된다. 저 부드러운 곤드레밥이야말로 세상에서 가장 귀해야지 싶어서 말이다.
나민애 문학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