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DB.
● 혈전 논란, 화이자 추가계약 영향
서울 A 의원은 하루 40명씩 코로나19 백신 접종 예약을 받는다. 사회필수인력과 보건의료인, 취약계층 돌봄 종사자를 대상으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한다. 이 병원 김모 원장은 “예약자 중 10% 정도는 예약을 취소하거나, 병원에 나타나지 않고 있다”며 “지난 주말 화이자 백신 추가 구매 소식이 나오며 (혈전 논란이 있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지 말고 좀 더 기다려보자는 분위기가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이러한 기류는 접종 예약률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지난 2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최초로 맞기 시작한 요양병원 및 시설의 65세 미만 입소자와 종사자의 경우 각각 91.1%와 95.8%가 접종에 동의했다. 하지만 사회필수인력의 경우 27일 0시 기준 접종 예약자의 비율이 65.4%에 불과하다. ‘노쇼’가 늘 경우 실제 접종률은 더 떨어질 수 있다.
● 백신 선택권 없는데…기피 막을 대책 절실
동아일보 DB.
이 때문에 75세 미만 일반인 접종이 시작되는 다음 달부턴 ‘노쇼’ 현상이 더 큰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일반인들은 사회필수인력이나 방역 인력, 의료진 등에 비해 백신 접종에 대한 사회적 의무감을 상대적으로 덜 느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부작용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면 ‘노쇼’가 늘 수 있다”며 “정부가 백신 접종 후 부작용에 대해 좀 더 포괄적으로 인정해줄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백신 선택권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확보한 백신 물량이 충분해진 만큼 당사자가 원하는 백신을 맞을 수 있게 해달라는 것이다. 그러나 정부는 백신 선택권을 부여할 계획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지운 기자 easy@donga.com
이지윤 기자 asap@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