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vel 아트로드]광주 양림골목비엔날레
광주 남구 양림동 언덕에 지난해 개관한 이이남 스튜디오 1층에서는 발광다이오드(LED) 화면을 통해 빛과음악과 미술이 만나서 엮어내는 미디어아트 영상이 뿜어져 나와 지나가는 사람들의 눈길을 붙잡는다. 동서양의 명화들이 움직이는 디지털 영상으로 표현된 이이남 작가의 작품을 감상하며 커피를 마시려는 젊은이들의 발걸음이 이어진다.
양림동은 100여 년 전 미국인 선교사들이 들어와 병원, 학교, 음악, 미술 등 최초의 근대 문화를 전파한 지역으로 ‘광주의 개화 1번지’로 통한다. 광주의 근대 역사 문화가 본격 시작된 양림동은 호젓한 골목길을 걸으며 예술가의 작업실과 카페를 구경할 수 있는 핫플레이스로 뜨고 있다. 마침 요즘엔 광주 비엔날레 기간에 맞춰 ‘제1회 양림골목 비엔날레’도 열리고 있다.
○ 젊은이들이 몰려드는 양림동 골목
올해 시작한 ‘양림골목 비엔날레’는 양림동 마을 전체가 하나의 전시장이 되는 축제다. 양림동에 거주하는 작가와 상인들이 직접 만든 이 축제는 카페와 음식점, 거리에서도 전시를 연다. 거리를 걷다 보면 기발한 아이디어에 여기저기서 피식 웃음이 터진다.
1914년 지어진 오웬기념각은 유진 벨과 함께 양림동에 첫 교회를 설립한 오웬(클레멘트 오언) 선교사를 기려 동료들이 세운 것이다. 이 건물에서 광주의 첫 오페라, 첫 독창회, 첫 연극 공연이 열렸고 첫 시민단체(YMCA)가 태동했으니 개화기 광주 신문화의 요람 노릇을 톡톡히 한 셈이다. 이렇듯 일찍부터 서양 근대 문물을 접한 양림동은 수많은 예술가들이 활동한 공간으로 ‘광주의 몽마르트’로 불린다.
남도의 화려한 상류층 한옥을 엿볼 수 있는 이장우 가옥.
버려진 폐품으로 만든 예술작품이 골목 구석구석에 장식돼 있는 펭귄마을.
양림동에서 요즘 젊은이들이 몰려드는 가장 힙한 명소는 ‘이이남 스튜디오’다. 시원스럽게 펼쳐진 통유리창으로 쏟아질 듯 회오리치는 발광다이오드(LED) 영상은 사람들의 발걸음을 끊임없이 불러들인다. 제약회사 사옥으로 쓰였던 건물을 개축한 이 스튜디오에서는 전통 회화를 움직이는 디지털 영상으로 표현한 그의 미디어아트 작품을 보면서 차를 마실 수 있다. 유리 천장으로 이어지는 나선형 계단에는 ‘다시 태어나는 빛―피에타’ 작품이 설치돼 있고, 루프톱에서 조망할 수 있는 짙푸른 무등산의 풍경이 근사하다.
양림동에서 태어나고 자란 서양화가 한희원(66)은 양림동의 과거와 현재를 주제로 한 작품을 만들기도 했다. 한희원 미술관 벽에는 재개발로 무너진 주택가에서 주워온 격자 창틀을 액자로 삼아 그린 그림이 걸려 있다. 창틀에 그려진 밤하늘 별이 빛나는 풍경화의 이름은 ‘남광주역을 떠나는 막차’다. 갤러리 내부에는 광주천에서 철거된 ‘뽕뽕다리’(공사장에서 쓰는 구멍이 숭숭 뚫린 철판)를 주워와 만든 테이블도 놓여 있어 미소를 자아낸다.
유기 고양이를 기르는 최순임 작가의 조각품 ‘꿈의 여행’이 설치돼 있는 카페 ‘힐사이드 양림’.
카페 내부에 동굴이 있는 ‘CAVE’.
○‘생명’과 ‘죽음’을 묵상하는 비엔날레
호남신학교 선교사 사택을 개조한 호랑가시나무 언덕 게스트하우스. 아름드리 거목이 자라고 있는 이곳은 광주 비엔날레를 찾는 해외 예술감독들이 즐겨 묵는 명소다.
일제강점기 한센병 환자를 비롯해 수많은 아픈 이들을 살렸던 선교사들이 세운 제중원이 있던 양림동 골목 비엔날레의 이번 전시 주제도 ‘생명’이다. 호랑가시나무 아트폴리곤에 설치된 작품 주제는 ‘당신의 ㅅㅈㅅㅈ’이다. ‘시간, 죽음, 슬픔, 장례식’이란 4개 단어의 초성으로, 세계적인 미래학자인 자크 아탈리(78)가 코로나19 팬데믹을 겪고 있는 인류의 새로운 문화예술 주제로 꼽은 4개의 키워드다. 타인과의 단절과 고독, 방어막 없는 죽음, 울어주는 이 없는 장례식이 현실화된 상황에서 생명과 죽음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양림동의 화가들
‘무등산 작가’로 불리는 이강하(1953∼2008)도 양림동의 대표적인 화가. ‘이강하 미술관’에서는 광주 비엔날레 연계 프로그램으로 남도 풍경과 무등산, 영산강을 그린 이강하의 대표작을 만날 수 있다. 무등산의 봄 풍경에 전통적인 단청 문양, 여성의 누드가 결합된 그의 그림은 초현실적 새로운 풍경으로 다가온다.
양림동의 좁은 골목길을 걷다 보면 20여 년 동안 수채화만을 그려온 한부철 작가의 작업실도 만난다. 한옥의 문살을 본뜬 철제 대문과 아담한 정원이 예쁜 작업실이다. 한 작가가 요즘 그리는 ‘담다’ 시리즈에는 장독대에 놓인 정화수 위로 꽃잎이 흩날린다. 어머니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 고향의 자연으로부터 위로받는 마음을 담은 수채화다.
QR코드를 스캔하면 광주 양림동의 다양한 모습을볼수있습니다.
글 ·사진 광주=전승훈 기자 raph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