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정책 총괄기구 신설
석탄을 태워 전력을 생산하는 석탄화력발전소의 발전 모습.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국내 석탄발전 비율을 줄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동아일보DB
강은지 정책사회부 기자
앞서 정부는 지난달 27일 국무회의에서 ‘2050 탄소중립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안’을 의결했다.》
위원회는 기존 녹색성장위원회와 국가기후환경회의를 통합한다. 위원장은 국무총리와 민간전문가가 공동으로 맡는다. 민간위원장에는 윤순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가 내정됐다. 공석인 국무총리가 임명되면 정식 출범한다. 정부는 30, 31일 서울에서 열리는 ‘P4G(녹색성장 및 글로벌 목표 2030을 위한 연대) 정상회의’ 개최 전 위원회를 출범시킬 계획이다.
○ 탄소중립 ‘대전환’ 이끌 컨트롤타워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탄소중립위원회 구성 계획을 밝혔다. 당시 문 대통령은 “탄소중립은 적어도 30년을 내다보고 일관된 방향으로 힘 있게 추진해야 할 과제”라며 “우리 정부 임기 안에 탄소중립으로 나아가는 기틀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위원회가 출범하면 탄소중립 추진과 관련된 한국의 미래를 예측하고, 전 분야의 탄소중립 전환을 독려하게 된다. 크게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산업 생태계 조성을 이끌고 국가 비전 및 이행계획, 정책 추진 과정에서 소외될 계층과 지역에 대한 대책 등을 마련한다. 단순히 미래 환경정책을 만드는 게 아니라 산업구조 개편과 그로 인한 미래 한국사회의 ‘밑그림’을 짜야 한다.
○ 영국 기후변화위원회(CCC)가 모델
탄소중립위원회의 위상과 역할은 영국 기후변화위원회(CCC·Climate Change Committee)를 통해 가늠할 수 있다. CCC는 2008년 제정된 영국 ‘기후변화법’을 근거로 만들어졌다. 영국 정부는 탄소중립 관련 정책을 결정할 때 반드시 CCC에 자문하고 그 결과를 최우선으로 고려한다.
그 결과 영국은 2030년 국가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1990년 대비 68% 줄이겠다고 지난해 밝혔다. 기존 목표(40%)에서 대폭 늘어난 수치다. ‘기후변화의 속도가 예상보다 빠르고 영국은 여기에 대응할 역량이 있다’는 CCC 권고를 정부가 받아들인 결과다.
○ 에너지 전환 등 민감한 현안 산적
한국의 산업구조는 에너지 소비가 많은 철강 석유화학 자동차 등 제조업 중심이다. 전체 산업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30%다. 그만큼 온실가스 감축이 쉽지 않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에 참여 중인 기업 684곳(응답 기업 403곳)을 대상으로 ‘2050 탄소중립’ 목표에 대해 물어본 결과 응답 기업의 57.3%는 “어렵지만 가야 할 길”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42.7%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답했다.
○ 독립성 확보와 공감대 형성이 관건
그런 점에서 탄소중립위원회의 독립성 유지가 중요하다는 의견이 많다. 2050년까지 계획을 만드는 만큼 정권이나 산업계의 이해관계에 흔들림 없이 운영돼야 한다.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 연구원은 “탄소중립위원회가 정부가 제출하는 안만 협의하는 식으로 운영된다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혁신적으로 줄이는 건 논의할 수 없을 것”이라며 “독립적이고 공개적으로 운영하면서, 위원회가 과학적 근거로 내린 방안에 책임을 지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은지 정책사회부 기자 kej09@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