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이건희 컬렉션’에 포함된 피카소와 연인 ‘도라 마르’ 이야기 [김민의 그림이 있는 하루]

입력 | 2021-05-16 11:00:00



피카소와 도라 마르, 1937년. 사진: 만 레이


 
‘한국에서의 학살’이 70년 만에 한국에서 전시되고, ‘이건희 컬렉션’의 국가 기증이 화제가 되면서 인기 작가였던 피카소의 이름이 다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건희 컬렉션’에는 피카소의 도자기 작품과 ‘도라 마르의 초상’이 포함되어 있다고 하는데요. ‘도라 마르’는 바로 위 사진 오른쪽에 앉아 있는 여성의 이름입니다.

먼저 사진을 볼까요. 역시 20세기 유명 예술가인 만 레이가 찍어준 이 사진 속에서 피카소는 정면을 응시하고 있습니다. 두툼한 손가락 사이엔 담배가 끼워져 있네요. 렌즈를 잡아 먹을 듯 뚫어져라 쳐다보는 모습은 열정 넘치는 마초의 성격을 그대로 보여 줍니다.

그런데 오른쪽 여인은 심드렁한 듯 턱을 괴고 먼 곳을 바라보고 있네요. 1937년 당시 도라 마르는 피카소의 연인이었습니다. 순간 포착된 그녀의 모습은 연인의 옆이지만 어딘가 불안하고 동요하는 것 같은 분위기네요. 1년 전 한 전시로 그녀의 삶의 조각을 알게 된 저는 그 이유를 짐작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이야기를 오늘 해보려고 합니다.


■ 피카소의 그늘에 가려진 여자


피카소, 도라 마르의 초상, 1937년. 프랑스 피카소미술관 소장. 사진출처: Flickr/Gautier Poupeau



촉망받는 사진가였던 도라 마르는 28살이던 1935년에 영화 촬영장에서 프로모션을 위한 스틸컷을 찍다가 피카소를 만납니다. 이 때 피카소는 마리-테레즈 월터와도 연인 관계였죠. 그럼에도 당돌한 도라 마르의 태도에 반한 피카소는 그녀와도 애정 관계를 이어갑니다. 이 관계는 8년 간 지속되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피카소의 가장 유명한 그림 중 하나인 ‘우는 여자’가 탄생합니다. 이밖에 피카소는 도라 마르를 만나는 동안 그녀의 초상을 60여점 그렸다고 해요. 마르는 피카소의 초상에 대해 묻는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고 합니다.

“나에 대한 모든 초상은 거짓이다. 그것은 피카소가 만들어낸 피카소의 모습이지, 단 한 점도 내 모습이 아니다.”

피카소, 우는 여인, 1937년, 영국 테이트모던 미술관 소장




그림 속에서 마르는 고통받고 불안한 모습으로 자주 등장합니다. 마치 만 레이가 찍은 사진 속 모습을 극대화한 것처럼 말이죠. 당시 스페인 내전에 대해 많은 생각을 했던 피카소는, 전쟁 속 고통 받는 사람들의 모습을 도라의 얼굴로 승화시키곤 했다고 합니다. 다만 이에 대해 도라는 그다지 달가워하지 않아 했던 것 같습니다. 왜 그럴까요?

그녀의 작품을 다룬 영국의 현대 미술관 테이트모던 회고전을 작년 초에 보고 저는 피카소의 연인이자 모델인줄만 알았던 도라를 완전히 다시 보게 되었습니다. 전시장에서 만난 그녀는 대담한 실험을 할 줄 알았던 사진가이자, 사회에 관한 관심을 잃지 않았던 넓은 시야를 갖고 있었으며, 피카소와 헤어진 뒤에는 조용히 자신의 길을 찾아갔던 주체적인 여자였습니다. 이 모든 것이 피카소라는 거대한 그늘에 가려져 있을 뿐이었습니다.


■ 피카소에게 사회와 정치를 알려 준 여자


도라 마르, 무제(손-조개), 1934년. © ADAGP, Paris and DACS, London 2019



위 사진은 도라 마르의 1934년 작품입니다. 소라 껍데기에서 뻗어 나오는 매니큐어가 칠해진 손이 감각적이죠. 구름과 빛이 휘몰아치는 배경과 모래 바닥까지. 미스터리한 분위기가 물씬 풍기는 사진입니다.

이렇게 소라껍데기와 손처럼 서로 전혀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대상을 조합해서 낯선 효과를 만들어내는 것은 전형적인 초현실주의 예술의 방법입니다. 지금은 합성 기술을 이용해 누구나 이것 저것 조합해 볼 수 있지만, 당시만해도 기술적인 부분에서나 개념적인 측면에서도 새로운 시도였습니다. 우선 카메라를 사용하게 된 것도 100년이 채 되지 않았던 시대였습니다.

게다가 프로이트의 ‘꿈의 분석’이 발간된 것을 비롯해 ‘무의식’의 발견이 유럽 지식인들의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던 시기이기도 합니다. 인간의 사고 속에 스스로 인식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는 것, 우리가 늘 이성과 논리에 의해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충동과 본능에 좌우된다는 발견은 큰 사건이었죠. 이 때 받은 충격과 영감을 예술로 승화한 것이 초현실주의 예술이고, 앙드레 브르통이나 살바도르 달리 같은 예술가가 대표적이죠.

도라 역시 파리에서 이들 예술가와 어울리며 전시에도 참여하는 동등한 일원이었습니다. 만 레이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는 그녀의 사진 작품을 보면 그럴 수 있다고 짐작해볼 수 있지요.

도라 마르, 무제(패션 사진), 1935년 경.



도라는 상업 사진으로 전향해 스튜디오를 차리고 돈을 벌었습니다.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과도 함께 공부하며 알게 돼 평생 친구로 지냈지요. 상업 사진에서도 과감한 구도나 기술적인 시도를 통해 능력을 인정 받았습니다. 피카소의 ‘게르니카’가 완성되는 과정을 사진으로 기록한 것도 바로 도라입니다. 프랑스 파리 피카소미술관의 큐레이터 에밀 부바르는 2018년 아트넷 인터뷰에서 “도라의 초현실주의적 사진 작품이 피카소의 ‘게르니카’에 영향을 주었다”는 가능성도 제기했습니다.

전시장엔 이런 감각적인 사진만 있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초현실주의 사진 이전에는 길거리를 다니며 사회 문제를 기록하는 성격의 사진도 남겼습니다. 1933년 스페인 카탈루냐 지방과 런던을 여행한 도라는 그곳의 줄 지어 선 실업자나 빈민가의 아이들을 기록으로 남깁니다.

도라 마르, 무제(배급품을 기다리는 파리 노동자들), 1934년 경.



도라는 피카소와 만나기 전부터 파리 지성들과 교류하고, 사회적 이슈에도 활발히 참여했습니다. 특히 이 때 유럽은 글로벌 대공황으로 고통받고 있었고, 이로 인해 파시즘의 망령이 고개를 쳐들고 있었는데요. 1934년에는 파시즘에 반대하는 성명 ‘Appel a la lutte’에 이름을 올렸고, 1935년에는 철학자 조르주 바타유가 이끄는 반파시스트 그룹 ‘Contre-Attaque’에도 참여했습니다.

이런 도라를 만나면서 피카소도 스페인 내전 문제를 비롯한 당대 정치적 이슈에 대한 관심을 더욱 고조 시켰습니다. 또 피카소에게 사진과 판화를 결합하는 기술인 ‘클리셰 베르’를 알려준 것도 도라라고 합니다.


■ 도라는 왜 숨어들고 말았을까


1년 만에 다시 떠오른 이름 피카소와 도라, 특히 도라의 일생을 곰곰이 되새겨보며 생각이 많아졌습니다. 첫 번째 사진 속 얼굴처럼 그녀에게 피카소와의 관계는 그닥 행복한 사건이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피카소와 결별하고 8년 뒤, 한 전기 작가와의 전화 통화에서 도라는 “나와 세상의 관계, 내 남은 삶의 관계는 내가 과거에 피카소를 만났다는 것과는 별개의 일”이라고 토로했다고 합니다. 도라와 만날 때도 피카소는 이미 첫 번째 부인 올가, 그리고 또 다른 연인 마리-테레즈 월터와의 관계를 지속하고 있던 상황이었죠.

어떤 글에서는 피카소가 도라가 그림을 그리려 하는 것을 은근히 방해하거나, 자신이 그리는 큐비즘을 강요했다는 추측도 나오는데요. 도라는 정말로 피카소와 결별한 뒤 자신만의 그림을 그리기 시작합니다. 그런데 그 그림들을 세상에 내놓지 않아 그녀가 죽고 나서야 빛을 보게 되었다고 해요.

피카소를 지우고 싶어했던 도라는 왜 자신의 작품으로 더 활발히 활동하지 않고, 마치 소라처럼 안으로만 파고 들었던 걸까. 자신의 빛나는 재능을 더 펼쳐 보이지 못했던 걸까. 이런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었습니다. 애정 관계는 당사자가 아닌 이상 함부로 추측할 수 없는 정말 복잡한 것이지만, 저는 과연 두 사람의 관계가 한쪽만 억압을 당하는 것이었을까?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지금은 여성이 주체적인 삶을 살 수 있는 시대가 되고 있지만, 100년 전에는 확연히 달랐을 겁니다. 어쩌면 도라의 마음 한 켠엔 피카소라는 큰 그늘에 기대고 싶은 마음도 자리하고 있지 않았을까요? 과거의 여자에게 남자란 자신을 보호해주는 울타리나 지붕 같은 것이었을지도 모르고요.

그러나 울타리 속 여자로만은 만족할 수 없었던 깨인 여성이었던 도라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비록 먼 곳을 바라보지만 결국 피카소의 곁을 떠나지는 못하는 만 레이의 사진 같은 상태가 아니었을까, 싶었습니다. 그 이유는 여자가 혼자서는 커리어를 이어가는 것을 상상하기 어려웠던 사회적인 분위기, 그리고 개인적인 이유 등 여러 가지가 복합적이겠지요.

도라 마르, 대화, 캔버스에 오일, 1937년.




결국 사람과 사람의 관계란 무엇일까라는 질문까지 해보게됩니다.

인간은 절대 혼자서는 살 수 없다는 말에 저는 공감합니다. 모든 사람은 늘 마음 한 켠의 허전한 곳을 누군가가 채워줄 때 기쁨을 느낀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그 누군가가 채워주기를 바라는 마음이 강해질 수록 허전함이 더욱 커질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아이러니하게도 내가 스스로를 채우지 못하면, 영원히 세상에 존재하지 않을 누군가를 위해 떠돌아 다니며 괴로워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는거죠.

조금은 쓸쓸한 결말이지만, “내가 나를 사랑하지 않는다면, 누구도 나를 사랑해줄 수 없다”는 지인의 말이 떠오릅니다. 혼자서는 살 수 없는 나약한 인간이지만, 그것에 슬퍼하지 말고 오늘만큼은 혼자서 나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그것을 채워보자. 소라 껍데기 속에서 누군가를 기다리기 보다는 스스로를 사랑으로 채우고, 그 사랑을 다른 사람에게도 베풀 수 있는 사람이 되어보자고 다짐해 봅니다.

참고한 자료테이트(https://www.tate.org.uk/whats-on/tate-modern/exhibition/dora-maar)

위키피디아(https://en.wikipedia.org/wiki/Dora_Maar)

가디언(https://www.theguardian.com/artanddesign/2019/nov/15/dora-maar-picassos-weeping-woman)

파이낸셜타임스(https://www.ft.com/content/0ee21c42-05a6-11ea-9afa-d9e2401fa7ca)

아트넷(https://news.artnet.com/art-world/dora-maar-revealed-picassos-muse-guernica-show-1244849)

김민 기자 kimmi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