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미국도 아이 안낳는다… 출산율 41년 만에 최저치

입력 | 2021-05-20 03:00:00

[글로벌 현장을 가다]




지난해 5월 미국의 한 병원 신생아실에 갓 태어난 아기들이 누워 있다. 하락세를 보여온 미국의 출산율은 지난해 코로나19 여파까지 겹치며 1979년 이후 41년 만에 최저점까지 떨어졌다. 출산율 급락을 뜻하는 ‘베이비 버스트(baby bust)’ 현상으로 미국도 고령화에 진입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AP 뉴시스

이정은 워싱턴 특파원

《“아이를 갖는 건 현재 상황에서는 가능한 아이디어가 아닌 것 같아요. 지금 우리가 버는 것으로 기본적인 양육조차 제대로 해낼 수 있을지 잘 모르겠어요. 아직 학자금도 못 갚았는데 연금에 부어야 하는 돈도 많고…. 지난해 팬데믹으로 경제적 타격을 받았을 때 정부에서 받은 지원금을 갚아야 하는 때가 오면 더 궁지에 빠질 거예요."》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 사는 리사 우시다 씨(35)는 아이를 갖지 않기로 남편과 합의했다.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자신이 운영하던 마사지숍에 손님이 끊긴 뒤 경제적으로 빠듯해지면서 내린 결정이다. 70, 80대인 양가 부모님을 모셔야 하는 부담까지 생각하면 아이는 엄두가 나지 않는다. 일본계인 남편은 고령의 부모를 모시는 데 신경을 많이 쓴다.

필라델피아 외곽에 사는 캐리 씨(31)도 상황은 비슷하다. 의료 분야 연구소에서 일하는 그는 코로나19 사태 전까지만 해도 자녀 셋을 낳고 가정을 꾸릴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지난해 1월 남편이 실직한 이후 불확실해진 미래와 악화된 재정 상태가 이 부부를 짓눌렀다. 캐리 씨는 결국 임신을 기약 없이 미뤘다. 남편의 구직을 기다리고 있는 그는 “아이를 가질 준비가 돼 있었는데 이를 미루는 것은 가슴 아픈 일”이라고 했다.

미국 공영방송 PBS가 최근 소개한 이들의 사정은 하락세가 가팔라진 미국의 출산율을 설명하는 이유 중 하나다. 이달 초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보건통계에 따르면 미국의 출산율은 지난해까지 6년 연속 감소하며 1979년 이후 41년 만에 최저점까지 떨어졌다. 과거 인구 성장을 지속해 왔던 미국에서조차 사회 고령화에 대한 우려가 고개를 들기 시작했다.


본격 시작된 ‘베이비 버스트’

교외에 잔디가 깔린 마당이 있는 2층짜리 주택에서 자녀들과 함께 반려동물을 키우며 사는 가정은 지금까지 전형적인 미국 중산층의 모습이었다. ‘풀하우스’ 같은 1990년대 시트콤에는 최소 서너 명의 자녀가 만들어내는 에피소드로 가득했다. 그랬던 미국도 이제는 저출산의 초입에 들어서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에서는 지난해 306만5201명이 태어났다. 출산율은 전년 대비 4% 감소했고, 12월 한 달에만 8%나 줄었다. 15∼44세 여성 1000명당 출생아 수로 따지는 출산율은 2007년 최고점 기준으로 19%나 떨어졌다. 특히 20대 초반은 2007년 이래 40%, 10대는 63%나 줄었다. 2010년만 해도 23세였던 미국 여성들의 출산 평균 연령은 현재 27세까지 올라와 있다.

미국의 합계 출산율은 1.7명(2019년 기준)이다. 인구통계학 전문가인 조지프 샤이미는 “미국만의 문제는 아니다”며 한국(1.0명) 스페인(1.3명) 일본과 폴란드(1.4명) 캐나다와 헝가리(1.5명) 등을 언급했다. 저출산의 함정에 빠진 국가들에 비하면 미국은 그나마 나은 수준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1.7명이라는 숫자는 미국 내 추이로만 보면 35년래 최저다.

미 언론들은 ‘베이비 버스트(baby bust)’ 현상이 본격화하기 시작했다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1946∼64년에 나타났던 ‘베이비붐(baby boom)’ 현상과 정반대로 출생률이 급격히 떨어지는 시대가 왔다는 것이다. 인구 고령화로 인한 각종 경제적, 사회적 문제에 이어 ‘미국의 글로벌 영향력이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트위터에서는 아이를 낳지 않는 게 여성 책임인지를 놓고 공방까지 벌어졌다.

이미 자녀가 있는 경우에는 추가로 자녀를 갖지 않는 이가 늘고 있다. 웨스트버지니아주의 영어 교사인 테스 잭슨 씨(28)는 고등학교 때 임신해 낳은 열 살짜리 아이가 있다. 둘째는 갖지 않기로 결정한 뒤 불임 시술을 받았다. 그는 “우리 엄마나 할머니는 자녀가 없는 삶은 상상도 하지 못했지만 이제는 그런 사회적 요구가 점점 줄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도 고령화 진입하나

출산율 저하의 원인은 복합적이다. 고학력 여성들의 라이프스타일 변화, 불안한 경제 사정, 전통적인 가족 가치의 약화, 양육비와 교육비 부담 등의 이유들은 미국도 크게 다르지 않다. 자녀가 공립학교를 가기 전 유치원 비용만 워싱턴의 경우 한 달에 1700달러(약 190만 원) 안팎에 이른다. 타일러 카우언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미국기업연구소(AEI) 세미나에서 “자녀 양육을 더 편하게 하거나 비용을 줄이지 않으면 우리는 큰 문제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코로나19가 출산율 감소세를 더 가파르게 한 원인이라는 데 전문가들은 이견이 없다. 전례 없는 팬데믹으로 일자리를 잃는 사람들이 속출하면서 미래의 경제적 불안감으로 여성들이 출산을 꺼리는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뉴욕타임스는 “이런 변화들이 다른 요인들과 함께 종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미국의 인구는 18세기 이래 두 번째로 낮은 팽창률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1930년대 대공황 시기에도 미국의 출산율은 급락했다. 브루킹스연구소에 따르면 대공황 당시 출산율은 9% 하락하며 신생아가 40만 명이 줄었다. 그러나 이후 경기가 회복되면서 신생아 수가 다시 늘어났다. 반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이어진 미국의 출산율 감소 추세는 경제 상황이 개선된 이후에도 쉽게 반등하지 않았다. 인구 감소가 단기적 현상이 아닌 장기 추세로 자리매김하게 되면 202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가 15세 미만보다 많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미국 내 코로나19 사망자는 현재 60만 명을 넘어선 상태다. 50개 주의 절반인 25개 주에서는 지난해 사망률이 출생률을 앞질렀다. 2019년엔 사망률이 출생률보다 높은 주가 불과 5곳뿐이었다. 올해 신생아 수는 2년 전보다 13% 하락해 50만 명이 더 줄어들 것이라고 인구통계학자들은 전망한다. 뉴햄프셔대 케네스 존슨 교수는 “출산율 반등은 여성들이 어느 시점에 다시 아이를 가질 것인지가 관건”이라며 “반등이 없을 경우 이 현상은 미국의 출생 구조에 영구적으로 고착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민자의 감소도 미국의 인구 지형을 바꿔 놓는 또 다른 원인이다.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의 반(反)이민 정책으로 이민자들이 줄어들면서 캘리포니아주의 경우 매년 인구 증가율의 0.4∼0.5%를 차지했던 이민자 비중이 지난해에는 0.1%보다도 적은 것으로 집계됐다. 포브스에 따르면 올해 신규 이민자 수(불법이민자 제외)는 60만1660명(추산)으로 5년 전인 2016년의 118만3505명에 비해 49%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이런 변화들을 놓고 ‘인구적 시한폭탄’이라고 표현했다. 노동력 감소와 재정 증가, 연금 부족, 대학 등록 비율 감소 등 미국이 여러 문제에 직면할 것이라는 경고도 함께 내놨다.

인구 추이는 정치 판도를 바꿀 수도 있어 정치권도 주목하고 있다. 435명의 하원 의석과 538명의 대통령 선거인단 규모가 주별 인구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인구가 줄어드는 뉴욕 캘리포니아 일리노이 미시간 펜실베이니아(이상 민주당 우세), 웨스트버지니아 오하이오(이상 공화당 우세)는 내년 중간선거에서 의석수를 1개씩 잃게 된다.

이정은 워싱턴 특파원 lighte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