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한국의 대일투자 2조원 넘어 정치갈등-코로나에도 교류 이어져 미래 친환경산업 등 공동대응 필요
한일 갈등 속에서도 지난해 한국의 대일(對日) 투자가 일본의 대한(對韓) 투자를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지리적, 문화적으로 인접한 양국 갈등을 해소하고 미래지향적인 경제협력이 필요하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이 23일 발표한 ‘미래지향적 한일 경제협력 방안의 모색’에 따르면 신고 기준으로 지난해 한국의 일본 내 투자는 18억7500만 달러(약 2조1140억 원)였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집계한 일본의 대한 투자 7억2700만 달러의 2배를 넘어선 수치다. 2018년에도 한 차례 한국의 대일 투자가 일본의 대한 투자를 2억200만 달러 앞선 15억300만 달러였던 적이 있었지만, 이번에 격차가 더 커진 것이다. 2019년에는 일본의 대한 투자가 14억2900만 달러로, 한국의 대일 투자보다 4900만 달러 더 많았다.
2012년 45억4100만 달러에 달했던 일본의 대한 투자는 점차 감소하다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과 맞물려 서비스업과 제조업 투자 모두 줄었다. 특히 유통업과 금융·보험업 등이 부진하며 서비스업 투자 규모가 11억 달러에서 5억 달러로 쪼그라들었다.
연구원은 양국 간의 정치적 갈등과 코로나19 상황 속에서도 경제교류가 이어지면서 향후 미래 지향적인 경제협력 관계를 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치적 갈등이 장기화하면 양국 모두 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711억 달러에 이른 양국 교역에서 중간재 및 자본재로 구성된 ‘산업재’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등 두 나라 경제구조는 상호 보완적이다.
우선 코로나19 백신 공동구매, 상호 간의 관광 자유화(트래블버블) 등 코로나19 극복을 비롯해 동북아시아 지역의 외교, 군사, 재난 등 지정학적 불안 요소에 대한 공동대응 등이 협력 분야로 꼽힌다. 4차 산업혁명 시대로의 세계적인 산업 지형의 급변과 탄소중립(배출되는 탄소만큼 흡수해 최종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처럼 양국 공통의 해결과제도 산적해 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한일은 코로나19 방역을 비롯해 4차 산업혁명과 탄소중립 사회에서의 경쟁력 확대가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며 “방역 협력을 통한 관광교류 회복, 동북아 위험 요소에 대한 공동연구, 미래 친환경 산업에 대한 공동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형석 기자 skytree08@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