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분야 드론의 쓰임새가 확대되면서 관련 사업을 수행할 조종 인력 양성도 활발해지고 있다. 한국교통안전공단 제공
같은 날 오전 9시경 보령시에서 치매를 앓고 있는 B 씨(86)가 실종됐다는 신고가 들어왔다. 보령소방서는 2시간 반 만에 실종 장소에서 1km 떨어진 마을 수로에 누운 자세로 갇혀 있는 B 씨를 발견했다. B 씨는 발견 당시 수로 물에 옷이 젖어 있어 자칫 저체온증 등 심각한 상황을 맞을 수도 있었다. 드론이 인명 구조에 활용된 경우다.
드론은 열차 안전과 직결되는 ‘까치와의 전쟁’에도 쓰인다. 코레일은 전차선 단전 사고를 일으키는 까치집을 관리하기 위해 드론을 띄운다. 과거에는 현장 유지보수 직원이 걸어 다니며 찾거나 기관사의 육안 점검을 통해 작업을 벌여왔지만 이제는 작업자가 접근하기 쉽지 않은 곳까지 드론을 띄워 전차선 까치집을 찾아낸다.
과거에는 점검자가 외부 전문가와 함께 도보로 접근이 가능한 곳을 중심으로 육안으로 확인할 수밖에 없었다.
이처럼 무인항공기 드론의 활약상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고공 촬영과 배달, 농약 살포, 공기 질 측정, 안전 점검 등 용도가 무궁무진하게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드론의 영역 확장은 실종자 수색, 수난 구조, 화재 점검, 고속도로 집중 단속 등 국민 안전 및 편의와 관련된 공공 분야에서 두드러진다.
국토부는 2019년부터 교통안전공단과 함께 공공 분야 드론 조종 인력 양성 사업을 통해 실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인력을 배출하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 공공기관 소속 직원들을 대상으로 수색 및 탐색, 지적 조사, 대기오염 관리 등 임무특화형 교육을 통해 전문성을 높였다. 교육 대상자 일부에게는 드론 영상 분석 등 후처리와 소프트웨어 교육도 했다. 이렇게 지난해 10개 분야 49개 기관에서 486명의 공공 분야 조종 인력이 교육을 마쳤다. 올해에는 교육 대상을 505명으로 늘린다.
지난해 11월 경기 시흥에 ‘드론복합훈련교육센터’를 세우기도 한 교통안전공단 권용복 이사장은 “드론의 다양한 활용을 통해 안전 관리를 강화하고 산업을 활성화하는 데 기여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서영아 기자 sy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