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명훈·대전충청취재본부장
계획은 순탄치 않다. 충북도에 이어 지난해 7월 국토교통부도 KTX세종역 신설 불가 방침을 명확히 했다. 이 시장이 추가로 꺼내든 카드가 ITX세종선이다. 정부세종청사에서 내판역(경부선철도)까지 일반철도를 새로 놓아 ITX가 세종∼조치원∼서울을 오가게 하겠다는 계획이다.
시는 정부가 향후 10년에 걸쳐 추진할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에 이를 반영하기로 하고 지난해 12월 ‘정부세종청사∼내판역 일반철도 신설’을 국토부에 건의했다. 하지만 국토부는 지난달 22일 한국교통연구원을 통해 발표한 국가철도망 계획안에서 수용하지 않았다. 국토부 계획안은 ‘대전 반석∼정부세종청사∼조치원∼오송’ 광역철도였다. 대전시와 세종시가 공동 건의한 ‘대전 반석∼정부세종청사 광역철도’와 충북이 건의한 ‘조치원∼오송 광역철도’는 수용한 반면 세종시 건의안은 수용하지 않았다.
시가 최근 기자에게 보내온 공식 입장은 이 시장의 브리핑 내용과 다르다. 브리핑 내용이 맞는지 확인해 달라는 기자의 요청에 따른 이 답변서는 “일반철도를 건의했는데 광역철도가 반영됐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다만, 시는 ITX세종선 가능성이 열려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세부 노선 및 투입 차량은 추후 예비타당성 조사와 기본계획 수립 과정에서 결정된다면서 “국토부 계획안과 시 건의안의 시종점(정부세종청사∼조치원)이 같은 만큼 ITX 병행 운행 방안을 정부에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 반응은 호의적이지 않다. 교통연구원 관계자는 “ITX 병행 운행은 전력체계가 달라 어렵다”며 “(기술적인 문제가 해결되더라도) 광역철도 시격(배차 간격)이 20∼30분은 돼야 병행 운행이 가능한데 그러면 시민 민원이 굉장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부가 정한 광역철도 최대 시격은 30분이다. 러시아워를 피해 ITX를 투입하는 방안에 대해선 “그러면 하루 2∼3번 KTX가 서는 수도권 도시와 다를 바가 뭐냐”고 했다.
ITX 병행 추진이 악수(惡手)가 될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소요 예산이 증가하고 사업이 복잡해지면 예타 통과가 어렵거나 통과돼도 후순위로 추진이 밀릴 수 있다는 것이다.
지명훈·대전충청취재본부장 mhje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