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으로 진정성 인정받으며 글로벌 시장서 존재감
한국암웨이가 이번 달로 창립 30돌을 맞는다. 성인이라면 암웨이라는 이름을 다들 한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제품력에 공감하는 충성 소비자도 많고, 직접 사업에 뛰어든 이들도 꽤 된다. 누군가는 아직도 막연한 거부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호불호를 떠나 객관적 수치만 놓고 보면 존재감은 확고하다. 암웨이는 한국에서 1조 원이 넘는 매출로 업계 부동의 1위를 수년간 유지하고 있다. 가입 회원 수는 100만 명이 넘는다. 최근 건강기능식품 열풍을 이끄는 ‘뉴트리라이트’는 이미 인기 브랜드 반열에 진입했고, 가전제품이나 주방용품 일부는 연예인 등 유명인들이 사용하면서 입소문도 탔다. 뷰티 브랜드 ‘아티스트리’는 부산국제영화제의 메인 스폰서로 자리매김했다. 치약 브랜드 ‘글리스터’는 각종 제품 평가에서 상위 랭킹을 차지한다.
시장 진입 당시 분위기는 지금과는 사뭇 달랐다. 갖은 우여곡절과 난관을 겪어야만 했다. 30년이라는 세월 동안 한국암웨이만큼 드라마틱한 여정을 겪은 기업 사례는 드물다. 초창기 멤버들이 지금의 상황을 보면 격세지감을 느낄 만하다. 오늘날의 한국암웨이를 있게 한 주요 역사적 지점들을 되짚어본다.
초창기 (1991-1997년)
오해와 편견 속에서 뿌리를 내리다1991년 한국암웨이 주식회사 창립
문제는 한국 사회가 아직 직접판매 방식을 수용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는 데 있었다. 기대만큼이나 우려 또한 컸고, 생소한 사업 방식과 더불어 해외 자본에 의한 국내 경제 잠식에 대한 반발도 심했다. 나중에 오해를 풀었으나, 대표이사가 잠시 구속되는가 하면 각종 시민단체의 표적이 되기도 했다.
이러한 소동은 1992년 방문판매법이 제정되고, 1995년 개정되면서 어느 정도 일단락이 됐다. 한국암웨이는 최초의 픽업센터를 서울 양재에 오픈했다. 현재 암웨이 비즈니스&브랜드 센터의 원조 격이다. 이어 충북 음성에 생산공장을 짓고 주요 거점 지역을 확대하는 한편 1996년 소비자보호센터를 여는 등 비즈니스의 기초를 탄탄하게 다지기 시작했다.
성장 과도기 (1998-2009년)
어려운 시장 환경, 상생의 가치로 진정성을 알리다1998년 원포원 프로젝트 출범
한국암웨이의 이러한 상생 철학은 최근까지 꾸준하게 이어지고 있으며, 올 4월 중소벤처기업정책학회가 개최한 춘계학술대회에서 모범 사례로 언급됐다.
위기는 여러 곳에서 튀어나왔다. 외환위기가 잠잠해지고 어느 정도 극복 시그널이 보일 무렵인 2000년대 초반 직접판매의 형태만 빌린 대형 사기 사건이 잇따라 터지면서 업계 전체가 요동을 쳤다. 한국암웨이의 매출도 이 시기 급전직하했으나 이내 조정 시기를 거쳐 10년 넘는 연속 성장으로 분위기를 반등시켰다. 당시 위기 시점에서 일부 무리한 형태의 사업이라는 곁가지를 쳐내면서 탄탄한 기틀을 마련한 것으로 업계는 평가하고 있다.
당시 암웨이는 업계 1위로서의 책임감도 확고하게 보여줬다. 시장 질서를 빠르게 회복하고 건전한 비즈니스 풍토를 조성하기 위해 공제조합 설립에 앞장선 것이다. 소비자 구제 및 보호를 주목적으로 한 조합을 2002년 출범시키며, 당시 한국암웨이 대표이사가 초대 이사장을 맡았다.
기업시민으로서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고민도 본격화됐다. 한국암웨이는 2003년 아동센터를 설립하면서 어린이 복지 캠페인을 시작했으며, 2007년에는 아동 영양 교육 프로그램 ‘건강지킴이’를 론칭한다. ‘건강지킴이’는 이후 2020년까지 총 343개 기관에서 약 16만 명의 어린이가 참여하는 규모로 발전해 2016년과 2020년 교육기부 대상을 수상했다.
가치 성장기 (2010-2019년)
해외로 뻗어 나가는 한국의 위상을 함께 보여주다2010년 아시아 물류 허브센터 유치
대표적인 것이 2010년 부산신항 ‘아시아 물류 허브센터’ 유치 사례다. 암웨이의 아시아 최초 물류 기지인 부산 물류 허브센터는 미국 본사와 일본, 대만, 싱가포르 등 아시아 시장을 잇는 거점 역할을 담당한다. 지역 내 직간접적 고용 창출을 포함해 상당한 부가적 경제 가치를 지닌 투자로 평가된다.
중소기업과의 협업 방식 또한 글로벌 시장 진출로 확대했다. 2014년에 출범한 ‘글로벌 오픈 이노베이션’이 대표적이다. 당시 한국암웨이는 실력 있는 국내 중소기업들 제품을 ‘원포원’ 형식으로 국내에 출시하는 것과 별개로 암웨이 글로벌 본사 및 해외 지사와 연계하는 프로젝트를 론칭했다. 유산균, 마스크 시트 등 다수의 성공 사례를 거두며 한국의 역량을 세계에 알리는 데 일조했다.
한국암웨이의 글로벌 진출 전략은 특히 뷰티 분야에서 빛을 발했다. 오늘날 ‘K뷰티’의 뼈대로 불리는 중소기업들과 적극 협력하는 과정에서 2013년 서울에 ‘아시아 뷰티 이노베이션 센터’를 설립했으며, 15개국에 16개의 뷰티 제품을, 14개국에 9개의 뷰티 디바이스를 출시하는 등 좋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
성공 사례가 쌓이자 암웨이 글로벌 본사는 2020년 뷰티 사업을 재편하며 한국에 ‘이스트 뷰티 혁신센터’를 설립한다. 이스트 뷰티 혁신센터는 제품 콘셉트부터 효능, 솔루션에 이르기까지 뷰티 제품 개발 및 생산 전 영역을 담당하는 기관인 만큼 한국 중심의 주도적인 프로젝트 추진이 가능해졌다.
2012년부터 현재까지 부산국제영화제 후원
2018년 환경경영시스템 인증(2020년 재인증)
현재 (2020년~)
변화에 대한 적극 수용 및 혁신으로 ‘지속 가능 성장’ 기틀 다진다2020 한국암웨이-카카오엔터프라이즈 업무협약
2019년 취임한 배 대표이사는 한국암웨이의 첫 여성 최고경영자(CEO)로, 한국암웨이 직원 최초로 본사 최고마케팅책임자(CMO)를 지내며 57개국 1300여 명의 직원과 함께 다양한 마케팅 캠페인을 성공적으로 이끈 전력이 있다. 다년간의 비즈니스 경험과 글로벌 트렌드에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는 감각을 바탕으로, 혁신에 기반한 체질 개선 작업을 강조한다.
2020년 SNS 비즈니스 에이 클릭스 론칭
이와 더불어 산업통상자원부 규제 특례 사업의 일환으로 맞춤형 건기식 시장을 주도하고, 다양한 국내 중소기업들과의 협업을 확대하는 등 경쟁력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