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차이 CEO 국내 언론 단독 인터뷰
18일(현지 시간) 온라인으로 열린 ‘구글 개발자 대회(I/O)’에서 강연하고 있는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 그는 27일 동아일보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 7개 언론사와 공동으로 진행한 화상 인터뷰에서 “민주주의의 근본인 저널리즘을 구현하는 언론사를 돕는 건 구글의 책임”이라며 “정보를 유용하게 쓸 수 있도록 하겠다는 사명으로 컴퓨터 기술, 특히 인공지능(AI)을 발전시키려 한다”고 강조했다. 구글 제공
피차이 CEO는 유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연구 분야로 언어를 꼽았다. “언어는 인류의 근간”이라며 “구글은 언어를 더 잘 이해하는 AI와 같은 진보적 기술 개발에 노력해왔고, 많은 진전이 있었다”고 했다. 그는 18일(현지 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마운틴뷰 본사에서 생중계된 ‘구글 개발자 대회(I/O)’ 기조연설에서도 “언어의 풍부함과 유연함은 인류 최고의 도구이자 컴퓨터 과학의 가장 큰 과제”라며 차세대 AI 대화모델 ‘람다(LaMDA)’를 공개했다.
람다는 이미 학습한 데이터에서 답을 찾는 기존 AI와 달리 사고와 추론을 통해 자연스럽고 창의적인 답변을 할 수 있다. 람다는 구글 개발진과의 대화에서 자신을 명왕성이나 종이비행기로 의인화해 자연스럽게 대화를 이어갔다. 농담과 격려까지 주고받는 모습이 화제를 모았다.
피차이 CEO는 증강현실(AR) 및 웨어러블 기술 개발에 대해서는 “인간이 컴퓨터를 이용해 세상을 보다 총체적인 시각으로 보고 인지할 수 있도록 돕고 싶다”고 의지를 드러냈다. 그는 “AR가 구현되면 구글 지도를 보며 시내를 돌아다니고 현장에서 바로 저녁 식사 장소를 검색할 수 있다. 통역 기능을 갖춘 무선이어폰 ‘픽셀 버즈’도 인터페이스 변화를 경험할 수 있는 사례”라고 했다. 그는 특히 카메라로 사진을 찍으면 사물을 인식해 번역이나 검색 등을 돕는 ‘구글 렌즈’가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구글 렌즈는 인간의 전문성을 돕는 기능도 한다. 그는 “AI 스캐닝이 유방 촬영 엑스레이를 더 잘 판독해 유방암을 찾아낼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며 “모든 것은 이미지 인식에 기반하고 있다”고 했다.
구글이 10년 내 구축을 목표로 공을 들이고 있는 ‘양자컴퓨팅’(양자역학에 기반해 연산 속도를 높인 미래형 컴퓨터 기술)에 대한 기대도 드러냈다. 피차이 CEO는 “자연은 복잡하고 예측이 어려워 전통적인 컴퓨터로는 의미 있는 날씨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어렵다. 자연이 기본적으로 양자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자컴퓨터를 활용하면 진정한 의미에서 자연을 시뮬레이션하고 이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양자컴퓨팅을 통해 탄소 배출량이 많은 비료를 대체할 친환경 비료를 생산하거나,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이 발발하기 전에 막는 표적 의약품 등의 개발도 가능해질 것으로 봤다. 또 양자 암호 기술은 2, 3년 안에, 양자 클라우드 기술은 4, 5년 안에 금융기관을 시작으로 활용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뉴스 사용료와 개인정보 보호 등 구글이 직면한 문제에 대해선 ‘이용자 선택권’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그는 “이용자들은 서비스의 가치를 이해하고 본인에게 맞는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유튜브가 프리미엄 서비스(광고 없는 유료 멤버십)를 제공하는 것처럼 뉴스 콘텐츠를 돈 내고 볼지도 뉴스의 가치를 아는 이용자가 결정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애플이 ‘사생활 보호’를 내세우며 페이스북에 제공되는 정보를 제한하는 등 이슈화시킨 개인정보 보호에 대해 “구글도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는 쪽으로 가고 있지만 선택권을 이용자에게 주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소비자들이 현재보다 쉽게 자신의 정보 이용을 허락할지 판단하고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다.
‘타깃 광고’에 쓰이는 정보의 범위를 제한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기도 했다. 그는 “자동차 광고 업체에 필요한 정보는 대상자가 자동차에 관심 있는지일 뿐”이라며 “이름 등 개인정보 없이도 충분히 효과 있는 타깃 광고를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피차이 CEO는 코로나19가 끝나더라도 근무형태가 과거로 회귀하기보단 다양해지고 유연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코로나19 이후 구글의 근무 형태에 대해 “협업을 중시하는 구글의 문화가 바뀌진 않겠지만 좀 더 목적 지향적으로 바뀔 것”이라며 “1주일에 2, 3일 정도 특정 목적으로 사무실로 출근하고, 필요하면 다른 지역 사무실로 출근해 원격근무를 하는 등 유연성이 커질 것”이라고 했다.
신동진 기자 shin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