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성추행 파문’ 윗선 확산
군 검찰이 4일 성추행 피해를 호소하다 극단적인 선택을 한 공군 이모 중사 사망 사건과 관련해 공군본부 군사경찰단 등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다. 이날 충남 계룡대 공군본부에서 경계 근무를 서고 있는 장병의 모습. 계룡=뉴스1
성추행 사건이 발생한 지 43일 만이자 피의자 장모 중사가 군 검찰에 기소 의견으로 송치된 지 일주일 뒤인 4월 14일 이 중사 사건 보고를 받은 이 총장은 수사나 피해자 보호를 위한 별다른 지시를 내리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총장은 이후 41일 만인 지난달 25일에야 서 장관에게 2차 가해 등 사건 전반을 전화로 보고했다. 이 중사가 지난달 21일 극단적 선택을 하고 22일 숨진 채 발견될 때까지 38일 동안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가 사망 사건 발생 4일 뒤에야 장관에게 보고했다는 것. 서 장관은 보고를 받은 뒤 부실 수사로 일관한 공군에 사건을 계속 맡겼다가 이달 1일에야 뒤늦게 수사 주체를 국방부 검찰단으로 변경할 것을 지시했다.
○ 靑 “최고 지휘라인 누구도 예외 아냐”
일각에선 이 총장의 사퇴가 향후 불거질 수 있는 ‘서 장관 책임론’에 대한 ‘꼬리 자르기’ 차원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 전출 부대서 극단 선택 배경도 수사
1일 사건을 이관 받은 국방부 검찰단은 사흘 만인 4일 공군본부 군사경찰단, 15특수임무비행단에 대해, 국방부 조사본부는 20전투비행단 군사경찰대대에 대한 압수수색에 착수했다. 합동수사단에 공군 인력은 모두 배제됐다.국방부 검찰단은 공군본부 군사경찰단이 작성한 이 중사 사망 사건과 관련한 내부 보고문서가 국방부에 보고한 문서와 다른 대목을 일부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20전투비행단 군사경찰이 강제추행이 이뤄진 차량 블랙박스에서 “하지 말아 달라”는 이 중사 음성을 확보해 놓고도 장 중사를 사건 발생 15일 뒤에야 처음 조사한 경위 등 초동 부실 수사도 들여다보고 있다.
이 중사가 지난달 18일 15비행단으로 부대를 옮긴 뒤 사흘 만에 극단적 선택을 하기까지 부대 간부들의 2차 가해 정황도 향후 수사로 밝혀질 것으로 보인다. 유족들은 2일 서 장관과의 면담에서 전출 부대 간부들의 실명을 거론하며 이 중사의 정신적 고통이 컸다고 호소한 것으로 전해졌다. 유족 측은 4일 합동수사단에 이 중사에 대한 부대 간부들의 2차 가해 정황이 담긴 녹취파일 등을 증거자료로 제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