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정상회의 참석차 영국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영국 콘월 카비스베이에서 열린 기후변화 및 환경‘ 방안을 다룰 확대회의 3세션에 참석하고 있다. (청와대)
영국 콘월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참여국 정상들이 채택한 대(對) 중국 견제 성격의 ‘G7 공동성명’과 ‘열린 사회 성명’ 등에 우리 정부가 뜻을 같이 한 것 아니냐는 일부 지적에 대해 청와대는 “특정 국가를 겨냥한 게 아니다”라고 14일 밝혔다.
G7 정상회의 준비 과정을 잘 아는 정부 관계자는 이날 G7 정상회의를 마치고 오스트리아로 향하는 전용기 안에서 기자들과 만나 관련 질문을 받고 이같이 밝혔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 13일(현지시간 G7 정상회의 두 번째 확대회의인 ‘열린 사회와 경제’ 세션에 참석, ‘열린 사회 성명’을 채택했다.
특히, 성명은 “가짜 정보와 자의적 구금 등 인권, 민주주의, 법치주의에 대한 공동의 위협에 대해 정보를 교류하고 효과적 대응을 조정한다”, “개방된 시장에 기초하고 다자 협력, 국제 규칙 및 기술 표준에 의해 공유하는 경제 모델을 재확인하고 세계무역기구(WTO) 개혁을 통해 경제 개방성을 촉진, 경제적 위협에 반대한다”는 내용 등 중국을 겨냥한 내용들이 대거 담겼다.
이후 G7 정상들은 폐막 공동성명에서 중국을 겨냥해 “우리의 가치를 증진하겠다”며 공동 대응을 천명했다. 성명에는 코로나19 기원, 신장 위구르 자치구, 홍콩, 대만, 비시장 관행 등 중국이 민감해 하는 사안이 다수 포함됐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중국 압박 성명이 강한 ‘열린 사회 성명’, ‘G7 공동성명’ 등에 우리 정부의 입장이 반영된 것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됐다.
이에 대해 정부 관계자는 “(성명) 내용을 읽어보면 특정 국가를 겨냥하는 내용은 전혀 없다”며 “오히려 이 성명에 참여한 이유 중 하나는 이 성명이 그야말로 온 세계가 직면하고 있는 위협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이라며 중국 압박 의도가 아니라고 강조했다.
어느 특정 국가를 겨냥한 게 아닌 전 세계 공통으로 겪고 있는 민주주의의 어려움을 다지고, 지도적 위치에 있는 국가들이 공동협력해 시정하자는 차원에서 만든 성명이라는 게 정부측 설명이다.
아울러 정부는 중국에 대한 강도 높은 비판이 담긴 G7 정상성명에 대해 문 대통령이 G7 회원국이 아니라 초청국 정상이라 정상성명에는 참여하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한편, 우리 정부는 G7이 지난 2~3년간 세계가 필요로 하는 리더십을 발휘하지 못한 데 반해 올해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처음으로 주요국 정상들이 대면회의를 가졌다는 점, 미국의 행정부가 바뀐 이후 첫 다자간 대면회의라는 점 등에서 의미가 컸다고 평가했다.
실제 코로나 위기와 관련 G7은 리더십을 발휘해 올해와 내년에 걸쳐 10억개의 백신을 제공하기로 결정했다. 한국 역시 올해 1억달러, 내년 1억달러에 해당하는 금액이나 백신 등을 제공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와 함께 G7 정상들은 공동성명을 통해 한반도 문제와 관련해 “우리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북한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의 검증 가능하고 불가역적인 포기를 촉구한다”고 명시했다.
북핵문제 관련 문안 자체는 지난달 열린 G7 외교장관회의에서 나온 성명의 내용을 토대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G7 외장장관 회의 공동성명에도 북핵과 관련,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포기’라는 표현이 등장한 바 있다.
(빈·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