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에듀칼럼]비대면시대 진로교육 모델 나와야

입력 | 2021-06-24 03:00:00


이종승 기자

진로교육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 탓에 관심 밖으로 멀어지고 있다. 진로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간과되는 데다 진로교육 효과가 수치로 확인할 수 없는 성질이라는 것이 요인인 듯하다.

진로교육은 인성 협업 소통 열정 창의성 도전 등을 강조한다. 이런 덕목은 학생들이 서로 만나 접촉하면서 길러진다. 모든 교육의 기본인 독서와 글쓰기도 성적을 최우선하는 분위기와 비대면 교육이 일상화한 환경에서 실천하기는 힘들어 아쉽다.

한국 교육은 진학을 최우선으로 한다. 점수가 중시되고 줄 세우기가 벌어진다. 교육부도 학력 저하에는 신경을 쓴다. 정부가 올 2학기 각급 학교의 전면 등교를 추진하는 것도 학력 저하가 심해졌기 때문이다. 유은혜 교육부총리는 2일 ‘202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결과를 공개하며 “국·영·수 모든 과목에서 ‘기초학력 미달’ 수준이 전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증가한 반면, ‘보통학력’ 이상 수준 학생 비율은 전반적으로 감소했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전면 등교를 통해 학력 저하를 막겠다’는 것이다.

2학기 전면 등교는 진로교육을 위해서도 잘한 결정이다. 전면 등교는 학력 저하 문제 해결에도 중요하지만 중단됐던 진로교육의 지속을 의미한다. 문승태 한국진로교육학회장(순천대 교수)은 “사회성은 관계의존성이 크기에 아이들이 또래와 어울리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전면 등교는 원격수업에서 부족했던 인간관계를 회복시켜 줄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서울시교육청이 스포츠 가치를 교육에 확산시키려는 것도 ‘말뿐인’ 전인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함이다. 성적이 아닌 학생의 역량을 강조하는 것은 대학으로도 확산된다. 부산 동명대는 내년 두잉(Do-ing)대학을 신설한다. ‘어떤 세상이 와도 헤쳐 나갈 수 있는 역량’을 키워주기 위해서다. 기업에서도 지식보다 인간만이 가진 역량을 중시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국내 기업이 정기 공채보다 수시 채용을 늘리는 이유는 스펙보다 경험과 역량이 기업에 도움이 된다는 판단에서다.

강소기업으로 꼽히는 마이다스아이티는 인간의 본태(본디 모습)를 게임으로 측정하는 입사시험을 보고 있다. 이용우 사장은 “대학에서 배운 지식 위주 교육은 누구든 3∼6개월이면 충분히 커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소통 공감 배려 창의력 등 인간만이 가진 본성이 더 중요하다는 소신과 경험 때문”이라고 게임 시험을 도입한 까닭을 설명했다.

교육환경은 이제 대면과 비대면을 넘나든다. 학력 격차와 저하 문제는 필연적이다. 이의 해소와 더불어 진로교육도 중요하다는 공감대가 확산돼야 한다. 비대면 교육이 주가 됐던 지난 한 해 진로교육은 거의 이뤄지지 못했다. 2학기 전면 등교에 맞춰 진로교육 활성화대책이 나와야 한다. 비대면 속에서도 진로교육을 하려고 애쓴 일선 교사들 의견에 귀 기울여 비대면 시대 진로교육 모델을 정립해야 한다.
이종승 기자 urisesa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