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와 직접적 관련 없는 참고사진. pixabay
“결혼식도 미뤘고 자연히 임신도 미뤘어요. 집 살 돈도 부족한데…”
미국 시카고에 사는 사만다 베라파토 씨(27)는 결혼을 앞둔 남자친구와 석 달째 집을 찾고 있다. 둘이 모은 30만 달러(약 3억9000만 원)에 대출을 보태 신혼집을 마련하려고 알아봤지만 쉽지 않았다. 평수는 좁히고 교외로 범위를 넓혀도 마땅한 집을 구하지 못한 베라파토 씨는 “집 사는 것 외의 모든 ‘작은’ 일들은 보류되고 있다”고 했다.
롱아일랜드에 사는 매튜 리바시 씨(35)는 최근 배우자와 살 집을 구하다가 잠시 부모님 집에서 지내고 있다. 한 푼이라도 더 모으기 위해서다. 그는 “대출까지 끌어모아 약 50만 달러(약 5억6500만 원)를 마련했지만 (나 같은) 젊은 부부가 들어가서 살 만한 집이 없다는 현실이 숨 막힌다”고 했다.
WSJ는 최근 팬데믹으로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며 넓고 쾌적한 중대형 주택 선호가 강해지는 가운데 스타터 홈의 공급이 줄어 밀레니얼 세대의 내 집 마련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미국 젊은층이 생애 첫 집으로 마련하는 약 130㎡(39평) 이하의 소형 주택, 이른바 ‘스타터 홈(starter home)’은 품귀현상을 보이며 가격이 급등했다. WSJ는 미 주택담보대출 회사 프레디맥을 인용해 미 주택 공급 부족이 5년째 심화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소형 주택 공급은 50년 새 최저치 수준이라고 전했다. 1970년대 말 연간 41만8000세대씩 공급되던 소형주택은 지난해 6만5000세대가 지어지는 데 그쳤다. 2000년대 주택시장 활황으로 신규 주택 공급이 늘어날 때도 소형주택 건설은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청년층의 생애 첫 집 마련 시기가 점점 늦어지며 자산 양극화가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미국 부동산중개협회에 따르면 첫 주택 구매 평균 연령은 2010년 30세에서 지난해 33세로 증가했다. 미 연구소 어반인스티튜트의 분석에 따르면 25~34세 첫 주택을 마련한 사람은 60세 초반까지 부동산 자산 중위값을 축적했지만 35~44세에 내 집 마련을 한 이들은 중위값보다 약 7만2000달러 적은 부동산 자산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예윤기자 yeah@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