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유력 대선주자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6일 오후 대전 유성구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열린 ‘탈원전 반대 2030 의견청취’ 간담회에서 원자핵공학과 석·박사 과정 학생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윤 전 총장은 현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비판하는 이날 간담회를 시작으로 ‘윤석열이 듣습니다‘ 전국 순회 민생 행보에 본격 돌입했다. 2021.7.6/뉴스1 © News1
잠행을 끝내고 대권 도전을 공식화한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지난 일주일 키워드는 ‘반문’과 ‘보수’였다. 범야권 대권주자에서 확실한 보수야권의 대권 주자로서 입지를 강화하는 데 집중했다는 평가다.
윤 전 총장은 지난달 29일 서울 서초구 매헌 윤봉길 의사 기념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권도전을 공식 선언했다. 검찰총장을 사퇴한 지 117일 만이다.
오랜 잠행을 깬 윤 전 총장은 정부에 날을 세웠다. “반드시 정권교체를 이루어내겠다”며 정권교체를 다짐했고, 정부를 향해 ‘국민 약탈’ ‘이권 카르텔’ ‘선동가’ 등 강도 높은 발언을 이어갔다.
또 “정권교체를 이루지 못하면 개악과 파괴를 개혁이라고 하고, 독재를 민주주의라고 말하는 선동가들과 부패한 이권 카르텔이 판치는 나라가 될 것이다. 그야말로 부패완판 대한민국이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보수야당과 소통에도 적극 나섰다. 출마 기자회견 당시 입당에 대한 구체적 입장은 밝히지 않았지만, “정치철학면에서 국민의힘과 제가 생각을 같이 한다”며 국민의힘과 연대 가능성을 열어뒀다.
원희룡 제주도지사, 권영세 대외협력위원장 등 국민의힘 소속 정치인들과 ‘연쇄 회동’도 가졌다. 권 위원장은 ‘윤 전 총장이 경선(8월) 전 입당하기로 동의했는지’에 대해서는 “묵시적으로 동의했다고 본다”며 국민의힘 측은 기대를 전했다.
이같은 행보를 두고 정치권에서는 보수지지층을 겨냥한 행보란 평가다. 윤 전 총장은 문재인 정부에서 서울중앙지검장, 검찰총장 등을 역임했지만, 정부의 검찰개혁에 맞서며 범야권 인사로 분류됐다.
여권의 유력 대권주자인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역사관을 두고 설전을 벌인 것 역시 이같은 행보의 연장선으로 보인다.
이 지사는 지난 1일 경북 안동 이육사문학관을 방문해 대한민국 정부 수립 과정을 언급, “친일 청산을 못 하고 친일세력들이 미(美) 점령군과 합작해서 다시 그 지배체제를 그대로 유지하지 않았나. 깨끗하게 나라가 출발하지 못했다”라고 말했다.
이에 윤 전 총장은 “온 국민의 귀를 의심하게 하는 주장”이라며 “광복회장의 ‘미군은 점령군, 소련군은 해방군’이라는 황당무계한 망언을 집권세력의 차기 유력후보 이재명 지사도 이어받았다”고 정면 비판했다.
윤 전 총장 측은 문재인 정부와 날을 세우면서도 중도와 반문 진보진영으로 외연확대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윤 전 총장 측 한 인사는 “지난 일주일 보수주자로서 입지를 다졌다면 향후에는 외연을 확장하는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