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둥이가 뛰니까 숭어가 뛴다는 말을 하는 분들도 많다.”
동아일보 DB
때아닌 정치권의 물고기 공방에 정작 놀란 건 망둥이가 아닐까 싶다. 사실 물고기의 세계에서 망둥이의 존재는 초라하기만 하다. 어물전에서도 잡어 취급을 받을 정도니. 우리나라 최초의 어류도감인 ‘자산어보(玆山魚譜)’에서는 망둥이를 ‘조상이 없는 고기(無祖魚)’라고 불렀다. 성어(成魚)가 되면 어미를 잡아먹는 고약한 녀석이어서다.
동아일보 DB
사람 사는 세상이라고 다를 리 없다. 망둥이의 어수룩함을 닮은 듯한, 얼간망둥이 같은 표현들이 넘쳐난다. ‘저 어리버리 왜 왔냐?’ ‘어리버리한 놈’처럼 입말로 즐겨 쓰는 ‘어리버리(하다)’가 그중 하나다. 언중은 말이나 행동이 다부지지 못하거나 그러한 사람을 가리킬 때 어리버리하다고 한다. 한데 우리 사전엔 ‘어리버리(하다)’가 없다. 그 대신 ‘어리바리’가 표제어로 올라 있다.
더욱 이상한 건, 언중은 어리바리하다와 어리버리하다를 ‘말과 행동이 얼뜨다’로 비슷한 뜻으로 쓰는데 사전은 그렇지 않다는 점이다. 어리바리를 ‘정신이 또렷하지 못하거나 기운이 없어 몸을 제대로 놀리지 못하고 있는 모양’이라고 한다. 실생활에서 쓰는 ‘어리바리’와 사전적 정의가 다르다.
사전이 입말 어리버리와 비슷한 뜻으로 올려놓은 표제어는 ‘어리보기’다. 한데 이 말, 아는 이가 별로 없다 보니 화석어로 굳어져 간다. 오히려 어리보기의 뜻풀이에 동의어로 올라 있는 ‘머저리’나 얼뜨기, 꺼벙이가 쉽게 와닿는다.
손진호 어문기자 songba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