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며 국내외 통화정책에 변수가 발생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과 경기 회복세에 따라 금리 인상 등 긴축 기조를 시사한 중앙은행들의 행보에 돌발 변수가 생기면서 당초 연내 금리인상을 시사했던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향방에도 관심이 모이고 있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은 13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코로나 확산세가 매우 엄중한 상황”이라며 “변이 바이러스 확산 등에 따라 주요국의 방역 재강화 조치가 이어지며 회복속도가 둔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차관은 변이 바이러스 확산으로 주요국의 방역 재강화 조치가 이어지며 글로벌 통화정책에도 변화가 감지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유럽 중앙은행은 8일 통화정책전략에서 중기 인플레 목표를 2%로 상향하며 완화적 기조를 유지하는데 방점을 두고 있다”고 했다.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한 한은의 고민도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이주열 한은 총재는 “연내 늦지 않은 시점에 현재의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정상화해야 한다”고 했다. 초저금리 기조가 장기화하며 가계 빚이 늘고 자산가격이 급등해 양극화가 심해지고 경기 회복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판단에서였다.
하지만 코로나 4차 유행으로 내수가 침체되고 글로벌 경제마저 타격을 입으면 한은이 섣불리 기준금리를 올리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한은이 금리를 올리려 했던 건 글로벌 금리 기조에 발을 맞추기 위하려 했던 목적도 있다”며 “경기 상황 등을 면밀히 검토해 금리 인상 여부를 정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한편 정부는 “코로나 2, 3차 확산에도 국내 금융시장이 제한적 영향을 받으며 수일 내로 빠르게 회복되는 복원력을 나타냈다”면서도 “변이 바이러스 불확실성이 상존해 향후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리스크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 차관은 “변이 바이러스에 따른 시장 변동성 확대와 미 연준 등 주요 정책당국의 대응 기조, 그간 누적된 금융불균형 리스크 등 시장에 영향을 줄 요인들에 대해 관계기관과 폭넓고 심도 깊게 분석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송충현 기자 balgu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