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원구 아파트 단지의 모습/뉴스1 © News1
올해들어 5월까지 10대가 전세보증금을 승계하며 서울 주택을 매입한 사례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실상 부모의 증여자금과 세를 낀 갭투자거나, 자녀의 명의를 빌린 부모의 투자일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19일 더불어민주당 박상혁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광역 시·도별 연령대별 자금조달계획서 제출 건수 자료에 따르면 올해 1~5월 10대가 서울에서 보증금 승계 및 임대 목적으로 주택을 구매한 것은 69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7건)보다 10배에 육박한다.
업계에선 소득이 없는 10대가 집값 상승폭이 높았던 상반기에 집을 구입할 수 있었던 것은 부모의 증여자금과 자금조달계획서에 명시된 ‘보증금 승계’를 바탕으로 한 갭투자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10대 갭투자 건수는 1월 12건, 2월 11건에서 정부의 2·4 공급대책 이후인 3월에는 7건으로 줄었다가 4월 18건, 5월 21건으로 다시 늘어나는 추세다. 상반기 서울집값 상승폭의 추이와 맞물린다.
한편 서울의 10대 갭투자는 세금과 규제가 빈번하고 가격대가 비싼 아파트보단 상대적으로 저렴한 빌라 등 비아파트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10대의 서울 비아파트 갭투자는 61건으로 10대 서울 갭투자의 88.4%에 달했다.
10대 갭투자 증가 추세는 수도권역인 경기도와 인천도 마찬가지다.
같은 기간 인천의 10대 갭투자는 36건으로 이 중 아파트는 19건, 비아파트 17건이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엔 10대 갭투자가 전무했다.
지방에선 부산과 대구의 10대 갭투자 건수가 많았다. 이중 부산은 총 22건으로 아파트는 13건, 비아파트는 9건이었다.
대구의 경우 10대 갭투자는 아파트 12건, 비아파트 2건 등 14건이었다. 두 지역 모두 지난해 같은 기간엔 10대 갭투자 건수가 전무했다.
(세종=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