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신규확진 1896명, 일주일만에 최다 경신 "지난 유행보다 활동량 많고 전파 규모 더 커" "델타 변이 등 변수로 유행 정점 예측 힘들어" 전문가 "운영 제한 등 강화…피해보상 확실히"
수도권에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를 시행한 지 2주가 넘었지만, 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 수는 역대 최다 규모를 경신하는 등 확산세가 이어지면서 4단계 조처만으로 유행을 줄일 수 없다는 주장이 계속 나오고 있다.
방역 당국은 이번 4차 유행이 앞선 유행 때보다 지역사회 전파 규모가 크고, 이동량이 증가해 당초 예상했던 2주 안에 거리두기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고 봤다. 여기에 전파력이 높은 델타형 변이 때문에 유행 정점을 예측하기 힘들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우선 현재 거리두기 단계를 유지하면서 대규모 접종을 통해 예방접종률을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유행 확산세를 줄이기 위해 당장 방역 조처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4단계 2주 지나도 유행 안 잡혀…“활동량↑, 전파 규모↑”
29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전날인 28일 0시 기준 국내 일일 신규 확진자는 유입 이후 최다인 1896명이다. 이 가운데 지역사회에서 발견된 확진자는 1823명, 일주일간 하루 평균 확진자는 1495.0명이다.
정부는 4차 유행 확산세를 줄이기 위해 지난 12일 0시부터 수도권 지역에 거리두기 4단계를 시행 중이다. 당초 2주간 ‘짧고 굵게’ 시행해 확산세를 줄인다는 계획이었지만, 유행이 좀처럼 줄어들지 않으면서 8월8일까지 2주 더 연장했다.
구체적으로 4단계 시행일인 12일 1063명이었던 국내 발생 일일 신규 확진자는 2주간 증가세를 보였다. 주말 검사량 감소 영향으로 매주 월~화요일엔 1200~1400명대로 줄었지만, 21일 1725명에 이어 일주일 만인 28일 역대 최다인 1823명을 기록했다.
박영준 방대본 역학조사팀장은 “활동량·이동량이 과거 2·3차 유행보다 더 많고, 지역사회 전파 가능 규모가 높은 상황에서 (4단계가) 시행돼 기간이 좀 더 소요될 수 있다”며 “아직은 정점 시기나 그 규모가 어느 정도일지 예측하는 건 설명하기 어렵다. 감소 예상 시기와 규모도 다양한 요소가 있어 예측이 불가능하다”고 분석했다.
방대본은 4차 유행이 하루 신규 확진자 발생이 300~500명대로 정체되다가 600명대로 급증한 6월23일 시작했다고 보고 있다. 시작 당시 환자 규모는 하루 평균 신규 확진자가 각각 10명 내외, 100~200명대를 보였던 지난해 8월 2차, 12월 3차 유행 시작 때보다 크다.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환자 비율도 29% 안팎에 달한다.
―
4차 유행의 끝은…“델타 변이 등 변수 많아 예측 어렵다”
거리두기 4단계 효과를 알 수 없는 상황에서 4차 유행 정점과 규모도 현재로선 정확하게 예측하기 힘들다.
앞서 방대본이 지난 7일을 기준으로 3차 유행이 확산하던 시기 전파력(감염재생산지수 1.71)을 가정해 이번 유행을 모델링한 결과 2주 뒤인 21일에 2140명의 확진자가 나올 것으로 예측된 바 있다.
그러나 거리두기 이행력, 예방접종률 등에 따라 유행 상황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게 방역 당국의 설명이다.
여기에 더해 전파력이 영국에서 처음 보고된 알파형 변이보다 1.6배 높은 델타형 변이도 유행해 예측이 쉽지 않다. 방대본이 지난 18일부터 24일까지 확진자 일부를 대상으로 바이러스 유전자형을 분석한 결과 48%가 델타형 변이였다. 전주 33.9%에서 14.1%포인트 증가했다.
―
정부, 예방접종과 거리두기 병행…전문가들 “거리두기 강화해야”
정부와 방역 당국은 예방접종을 통해 집단면역을 확보하되, 그전까지는 거리두기를 통해 확진자 발생을 줄이겠다는 복안이다.
이 같은 전략은 앞서 예방접종을 빠르게 진행했던 국가들에서도 델타형 변이 확산으로 다시 확진자가 증가하는 상황을 고려한 것이다.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백신을 맞지 않은 이들에게 공공장소 옥내에서 마스크를 착용하고, 접종 완료자도 다수가 밀집하거나 감염 중심지에 위치한 실내에서도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정부는 우선 4단계 기한인 8월8일까지 수도권 하루 평균 환자 수가 거리두기 3단계 기준인 500~1000명 이내로 안정화하지 않을 경우 위험시설 집합금지, 운영 시간 제한 강화 등 강화된 방역 수칙을 검토할 계획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선제적으로 방역을 강화하지 않으면 유행 확산세를 쉽게 낮출 수 없다고 우려했다. 지금이라도 시설 운영을 제한하되, 방역 강화로 인한 피해도 확실하게 보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기석 한림대성심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교수는 “방역을 강화하지 않고 질질 끌다가 600명대 밑으로 확진자 발생을 내리지 못하면 확진자 발생 하한선이 또 올라가고, 겨울 무렵 5차 유행이 올 수 있다”며 “수도권이든 비수도권이든 추가적인 조처가 없으면 힘들 것”이라고 우려했다.
엄중식 가천대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애초에 새로운 거리두기 지침에 의한 4단계가 이전 거리두기와 비교했을 때 그렇게 강력하지 않다는 지적이 계속 있었다”며 “그럼에도 다른 대안이 없기 때문에 시행한 건데, 썩 효과적이지 않았다는 게 확인됐다. 새로운 방법을 결정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엄 교수는 이어 “저녁만 통제한다고 될 문제가 아니다. 재택근무 의무화와 같이 주간에도 통제를 어떻게 하느냐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며 “(자영업자·소상공인에게) 확실한 보상을 해주고 운영을 제한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