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룡의 깃털이 비대칭이어서 하늘을 날 수 있었다지만 /이렇게 갑자기 날지는 않았겠지 / 가끔은 적에게 쫓겨 죽은 척도 하고 / 잠시 잠깐 죽는 연습도 하며 / 이 무거운 별에서 이륙하기 위해 죽어라 달리다가 / 덜커덕 죽기도 했겠지 / 한 마리의 익룡이 하늘을 날기까지 겪었던 무수한 실패와 / 단 한 번의 성공을 / 나는 지금 날아가는 비행기 안에서 다 보고 있는데 / 모든 별들이 살아 있는 죽음을 나르는 칠성판 / 영원히 사는 인생이 어딨어 / 내 머릿속의 별들도 조용히 제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게 / 혼자서 스스로의 장례를 치르며 두 팔을 활짝 벌리네
― 김점용(1965∼2021)
남들은 잘도 피서를 간다. 질 수 없으니 나도 간다. 에어컨이 제일 시원한 곳, 이번 피서지는 병원이다. 사실 7월 말 8월 초는 아프기 좋은 계절이다. 일감은 적고 일하기는 싫다. 한 일주일 사라져도 그러려니 한다. 병원 가면 더 읽고 싶은 시집이 있다. 바로 김점용의 ‘나 혼자 남아 먼 사랑을 하였네’이다.
이 시인은 뇌종양을 앓다가 올봄에 돌아가셨다. 한참 투병할 때 나온 것이 이 시집이다. 김점용 시인의 뇌에는 아스트로싸이토마라고 하는, 별무리 모양의 성상세포종이 자랐다고 한다. 남들은 그걸 ‘악성’이라고 부르며 미워했다. 그러나 시인은 그걸 ‘내 머릿속의 별들’이라고 불렀다. 영원히 살 것처럼 살았는데, 한쪽으로 치우쳐서 살아왔는데, 그러지 말라는 깨우침을 주기 위해 그 별들이 찾아왔다고 말했다.
나민애 문학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