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 ‘혁신성장 종합지수’서 전국 17개 시도 중 12위로 평가 첨단산업 인프라 대폭 확충하고 글로벌 기업 본사 유치에 앞장
박형준 부산시장(왼쪽)이 12일 시청에서 권혁주 캐나다 워털루대 교수(오른쪽)와 인공지능(AI) 기술을 지역 산업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워털루대 AI 연구소는 제조업 응용 AI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 연구기관으로 평가받는다. 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재도약을 위해 ‘혁신 성장’을 시정의 최우선 목표로 제시했다. 이는 부산의 성장 동력이 열악하다는 사실이 각종 지표에서 드러난 데 따른 것이다.
17일 산업연구원(KIET)의 ‘지역별 혁신 성장 역량의 공간분포와 정책 대응 기본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부산의 혁신 성장 종합지수는 전국 17개 시도 중 12위로 평가됐다. 연구 단지를 기반으로 과학 기술에 집중한 대전이 1위로 꼽혔고 서울, 경기, 인천이 뒤를 이었다.
부산은 광역시 중 유일하게 ‘혁신 성장 취약형’으로 분류됐다. 보고서는 “취약형에 분류된 부산, 강원, 전남 등은 저출산, 고령화로 소멸 위기에 직면해 있거나 청년 등 생산 가능 인구의 유출로 혁신 성장 주체인 ‘사람(노동력)’ 부족 현상이 발생 중인 곳”이라고 밝혔다.
부산의 위기 상황은 다양한 분야에서도 감지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부산의 1인당 지역내총생산(GRDP)은 약 2741만 원(2019년 기준)으로, 전국 7개 특별·광역시 중 꼴찌를 기록했다. 인구도 올 상반기에만 1만여 명이 빠져나갔고 지난달 말 기준 인구의 19.89%가 65세 이상으로 나타났다. 광역시 중 처음 65세 이상이 총 인구의 20% 이상인 ‘초고령 도시’로의 진입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도시의 신성장 동력인 창업 부문도 열악하다. 부산상공회의소가 5월 발간한 ‘부산지역 스타트업 현황과 실태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기준 부산지역 창업률은 전국 17개 시도 중 15위에 머물렀다. 창업률은 신생 기업수에서 총 활동 기업수를 나눈 수치. 특히 최근 5년간 부산에서 창업한 기업 중 기술 기반 기업은 14.52%로, 이는 전국 평균인 16.03%보다 낮다. 보고서는 “기술 기반 창업이 감소하는 대신 고용 창출 능력이 떨어지는 도매 및 소매업, 부동산업 창업이 크게 증가하는 건 지역 경제의 활력을 떨어뜨리는 현상”이라고 분석했다.
부산시는 이에 따라 신성장 동력을 만들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박형준 시장은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시간이 촉박하고 많은 어려움이 있지만 부산은 재도약할 수 있는 희망이 충분한 도시”라고 말했다. 그는 동아시아 해양물류 거점 등 지정학적 위치와 가덕신공항 건설로 인한 교통 인프라 강화, 에코델타시티 및 제2센텀 부지 등 첨단산업 유치를 위한 인프라 확충 등을 ‘부산 재도약 가능성’으로 제시했다.
부산시는 혁신성장을 위해 산학협력 총괄 플랫폼인 지·산·학 협력센터 설립과 연간 3000여 명의 정보통신기술(ICT) 전문인력과 200여 명의 청년 창업가 양성 등을 단기 시정 목표로 내걸었다.
강성명 기자 smka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