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졸음운전 교통사고 사망률, 음주의 2배”

입력 | 2021-08-20 03:00:00

[속도에서 생명으로]〈9〉음주운전보다 무서운 졸음운전



현대모비스 연구원들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뇌파 측정 기반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엠브레인’ 을 시험하고 있다. 현대모비스 제공


2016년 7월 17일 영동고속도로 상행선 봉평터널 입구. 대형 관광버스 한 대가 시속 약 90km로 달려오다 1차로에 멈춰있던 차량을 돌진하듯 들이받았다. 이 사고로 20대 여성 4명이 숨졌고, 버스 승객 등 38명이 다쳤다. 운전사의 졸음운전이 사고 원인이었다. 질주하던 버스가 멈춰 선 승용차를 그대로 들이받는 블랙박스 영상은 국민들에게 충격을 줬다. 졸음운전의 경각심을 갖게 하는 대표적인 사고로 남게 됐지만 이후에도 비슷한 사고는 계속됐다. 2017년 5월에도 봉평터널 인근에서 졸음운전 버스가 차량을 들이받아 4명이 사망했고, 같은 해 7월 경부고속도로에서도 광역버스가 비슷한 사고를 내 2명이 숨졌다.

○ 졸음운전, 만취 상태로 운전하는 것과 같아
정부는 졸음운전 사고 방지를 위해 여러 대책을 냈다. 우선 버스 및 화물차 기사들의 운전 시간 제한 및 휴식시간을 확대하고, 길이 9m 이상 차량에 대한 전방충돌경고 기능 및 차로이탈경고장치 장착을 의무화했다. 또 ‘졸음 쉼터’ 운영 확대, 안전장치 장착 보조금 지원 등 각종 대책이 나왔다.

하지만 이들 정책에 한계가 있었다. 모든 차량에 첨단 안전장치를 다는 것이 쉽지 않았다. 졸음운전을 막는 기술적 보완이 이뤄진다고 해도 운전자의 졸음 자체를 원천 차단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통계를 봐도 졸음운전 사고는 줄지 않고 있다.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졸음운전으로 인한 사고는 2000건이 넘게 발생했다. 사망자 수도 60명이 넘었다. 정부의 대대적인 졸음운전 예방책이 마련된 직후인 2018년에 교통사고 사망자가 50명대로 줄었지만, 2019년 다시 100명이 넘는 졸음운전 사고 사망자가 발생했다.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2014∼2019년 도로공사가 관리하는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사망자는 총 1079명이었다. 이 중 졸음 및 주시 태만으로 인한 사망자가 729명(67.6%)으로 가장 많았다. 장기간 운전을 해야 하는 승합차와 화물차 등의 졸음운전 사고도 지난 3년간 1500건 가까이 발생했다. 경찰청 통계(2017년)에 따르면 졸음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사망률은 4.51%로 음주운전 사망률(2.58%)보다 1.75배 높다.

졸음운전은 혈중 알코올 농도 0.17%의 만취 상태로 운전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한다. 고속도로에서 시속 100km로 달리던 운전자가 3초를 졸면 사실상 운전자가 없는 상태로 85m가량 주행하는 것과 같다는 연구도 있다. 한 대형트럭 운전자는 “완전 자율주행 차량이 아닌 이상, 첨단기술이 있다고 해도 졸음운전 자체를 막지 못하면 사고는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 “졸음 이기려 하지 말고 무조건 쉬어야”
자동차 업계에서는 운전자의 졸음운전 자체를 막아 사고를 예방하는 기술 개발에 나서고 있다. 차량이 운전자의 몸 상태를 분석해 졸음운전 여부 및 이상 징후를 파악하고, 적절한 경고를 보내 졸음운전을 방지하겠다는 것이다.

최근 현대모비스는 이어셋 형태의 센서를 귀에 착용하면, 귀 주변에 흐르는 뇌파를 감지해 운전자 몸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운전자가 졸거나 주의력이 떨어진다고 판단하면, 좌석 및 핸들 진동, 스피커 음향 등을 통해 경고를 준다. 일본 도요타자동차와 혼다, 스바루, 미국 제너럴모터스(GM), 독일 다임러 그룹 등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도 운전자의 심박이나 동공 상태 등을 측정해 졸음운전 모니터링을 하거나, 운전자의 신체변화를 분석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기술 등을 선보이고 있다.

하지만 운전자의 생체 신호를 사전에 파악해 안전 운전을 돕는 이른바 ‘차량용 헬스케어’ 기술은 상용화를 위한 시험 단계거나, 차량 구매 시 추가 사양(옵션)으로 제공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승환 현대모비스 선행연구센터장은 “북미 등 선진 자동차 시장에서는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장착을 법제화하려는 분위기”라며 “기술 개발과 상용화 협업이 축적되면 부주의 운전과 졸음사고 예방 기술이 정착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졸음운전 예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올바른 운전 습관이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조재성 한국도로공사 교통기계팀 차장은 “졸음을 이기려고 해선 안 된다. 2시간 운전 뒤 15분 휴식 원칙을 지키고, 졸리면 졸음 쉼터와 휴게소에서 반드시 쉬어가야 한다”고 했다. 또 “쉼터가 근처에 없다면 차량 환기를 시켜 이산화탄소 농도를 줄이거나, 치아 및 입안 온도를 낮출 수 있는 음료를 마시는 것도 졸음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특별취재팀 ▽ 팀장 박창규 사회부 기자 kyu@donga.com

▽ 변종국(산업1부) 신지환(경제부) 정순구(산업2부) 이소정(사회부) 신아형(국제부) 기자


공동 기획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경찰청 한국교통안전공단
손해보험협회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공단
한국교통연구원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교통문화를 개선하기 위해 독자 여러분의 제보와 의견을 e메일(lifedriving@donga.com)로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