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동아플래시100]일제가 들여온 자기네 ‘최고신’, 신들의 전쟁 불 지펴

입력 | 2021-08-20 11:40:00




플래시백

1925년 10월 12일 경성 정동에 있는 이화학당에서 비밀회의가 열렸습니다. 기독교계 학교를 운영하는 외국인 선교사들이 주로 모였죠. 이들은 조선총독부가 요청한 13일 ‘영대봉영식(靈代奉迎式)’에 학생들을 보내지 않겠다고 결의했습니다. 영대봉영식은 ‘영대’를 받들어 맞아들이는 의식이고 ‘영대’는 거울이었죠. 일본 신(神)이 깃들었다고 합니다. 많은 선교사들이 영대봉영식에 참석한다면 ‘나 이외에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는 계율을 어기는 셈이라고 판단했죠. 참석하자는 의견도 일부 있었지만 원칙론이 이겼습니다. 나아가 15일 참배행사에도 가지 않겠다고 못을 박았죠. 연희전문 세브란스의전 배재학교 경신학교 이화학교 정신여학교 배화학교가 행동을 통일했습니다.

① 남산 중턱에 자리 잡은 조선신궁 항공사진 ②조선신궁을 동쪽에서 바라본 사진. 경성 어디서나 쳐다보이는 위치였다. 이상 출처 서울역사박물관 ③조선신궁 진좌제(준공식)를 기념하기 위해 일장기를 들고 신궁 계단을 오르는 학생들 ④1925년 12월 황손 명명식을 축하하기 위해 조선신궁을 단체 참배하는 여학생들. 이상 출처 매일신보

비밀회의 이틀 뒤에는 ‘진좌제(鎭座祭)’가 예정돼 있었습니다. 이미 경성 남산 중턱에는 거대한 조선신궁(朝鮮神宮)이 자리 잡은 상태였죠. 진좌제는 조선신궁의 준공식 행사입니다. 일제가 국가신도의 우산을 한민족 위에 들씌우겠다는 의식이었죠. 일본 곳곳에 있는 신사(神社)에는 일본인 저마다의 조상신이 모셔져 있다고 합니다. 1868년 메이지유신으로 국가신도가 등장하면서 종교와 정치가 하나가 되는 제정일치(祭政一致)체제가 성립했죠. 이후 각지의 신사들은 피라미드식으로 서열이 정해집니다. 또 일제는 식민지마다 대표 신사를 세웠죠. 홋카이도에는 삿포로신사를, 청일전쟁 전리품으로 얻은 대만에는 대만신사를 지었죠. 러일전쟁에서 확보한 사할린에는 화태신사를 세웠습니다. 이제 조선에도 들어선 겁니다.

조선신궁으로 가는 진입로와 아래 광장에 세워진 대도리이 그리고 384개의 계단. 대도리이는 높이 약 11.3m, 가로 약 15.6m의 철근콘크리트 문으로 당시 일본에서도 찾기 힘들 정도의 크기였다고 한다. 출처 서울역사박물관

조선 대표 신사가 세워진 남산은 그맘때 일본 거류민들의 뒷동산이나 마찬가지였습니다. 갑신정변으로 맺은 1885년 한성조약 이후 일본인들이 몰려오면서 청계천 남쪽인 ‘남촌’에 밀집해 살았거든요. 실제로 남산에는 일본인들을 위한 공원이 조성돼 있었죠. 일본인들과 떼려야 뗄 수 없는 신사도 생겼습니다. 1898년 남산대신궁이었죠. 거창한 이름과는 달리 일본인들이 자발적으로 세웠습니다. 1925년 말이 되면 크고 작은 신사가 모두 150개에 이르렀다죠. 조선 대표 신사는 일제가 나라를 빼앗은 뒤부터 지으려고 했습니다. 마침내 1920년 남산 북사면 42만여㎡에 착공했죠. 5년 뒤 경성 어디서나 쳐다보이는 남산 중턱에 384개의 돌계단을 올라가면 닿는 거대한 신사가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1920년대 후반에 제작된 여행안내용 경성 지도. 서울 4대문 안과 용산 등 신시가지 모습을 조감도로 그렸고 그 안에 전차노선과 총독부 경성부 조선신궁 등을 표시했다. 조선신궁과 경성신사 부근을 확대해 붙였다. 출처 서울역사박물관

일제는 이 신사에 일본 최고신인 아마테라스오미카미(天照大神)와 조선에 문명을 가져왔다는 메이지천황을 두었습니다. 이름도 최고 신사답게 조선신궁이라고 고쳤죠. 기존 남산대신궁은 경성신사로 바꿨고요. 진좌제가 열린 10월 15일을 임시공휴일로 했고 다이쇼천황이 칙사도 파견했습니다. 총독 등 고관들이 두 신이 영원히 조선반도를 지켜준다는 진좌제에 참석했죠. 남대문과 주요 건물들은 전등으로 장식했고 꽃단장한 전차와 자동차들이 오갔습니다. 3만2000명이 넘는 학생들은 낮에는 일장기를, 밤에는 등불을 들고 행진했죠. 남대문정거장에서 새롭게 재탄생한 경성역에 제일착으로 들어온 기차에 위에서 말한 영대가 실렸습니다. 경성부립대운동장이 때맞춰 개장하고 각종 축하행사를 했죠.

왼쪽은 조선신궁 건립을 기념해 1925년 10월 16일 열린 경성부립대운동장 개장식. 이곳은 이후 동대문운동장이 된다. 작은 사진은 테이프를 자르는 사이토 마코토 총독. 출처 매일신보. 오른쪽은 1922년 공사를 시작해 1925년 10월 마친 경성역 외관. 새 경성역에 처음 들어온 기차는 조선신궁에 둘 영대를 실어왔다.

앞서 충남 강경보통학교 교사가 학생들에게 지역 신사에 참배하라고 해 문제가 됐습니다. 동아일보는 ‘강제참배문제’ 상, 하 사설에서 ‘순진한 아동들에게 강제하여 숭배심을 일으키려는 것은 교육인가, 폭행인가’라고 따졌죠. 이번에도 ‘신앙은 자유’ 사설에서 ‘신사는 일종의 신앙임이 분명하므로 타인이 간섭하거나 바꿀 수가 없다’며 기독교계 학교들의 신앙의 자유를 존중하라고 촉구했습니다. 하지만 사직단 제사를 없애고 종교까지 공인대상으로 삼은데다 조선신궁 위에 있던 국사당까지 쫓아낸 일제는 개의치 않았죠. 조선신궁을 통해 한국인을 신도체제에 동화시켜 나갔고 노골적인 참배를 강요해 ‘종교전쟁’을 불렀습니다.

원문


信(신) 仰(앙) 은 自(자) 由(유)
當局(당국)의 注意(주의)를 要(요)한다

一(1)
宗敎生活(종교생활)의 可否(가부)와 合理(합리) 不合理(불합리)는 別問題(별문제)로 할지라도 現代(현대) 人類界(인류계)에 多數(다수)가 種類(종류)는 不一(불일)하나 信仰(신앙)의 生活(생활)을 繼續(계속)하는 以上(이상) 信仰(신앙)이라는 것이 只今(지금)까지의 人類(인류)에게는 重大(중대)한 問題(문제)로 보지 아니할 수가 업다. 그럼오로 宗敎(종교) 非宗敎(비종교)를 勿論(물론)하고 信仰(신앙)에 關(관)한 生活(생활)에 等閑視(등한시)하기에는 너머나 信仰的(신앙적) 生活人(생활인)이 多大(다대)한 것과 信仰(신앙)이 個人生活(개인생활)이나 團體生活(단체생활)에 주는 影響(영향)이 夥多(과다)하다. 그럼으로 最近(최근) 日本(일본)서 尊重(존중)되는 神社(신사)가 朝鮮(조선)에 와서 信仰上(신앙상) 意義(의의)가 엇더할가 함에 對(대)하야는 매우 議論(의논)이 紛紛(분분)한 貌樣(모양)인대 神社(신사)가 宗敎(종교)이냐 아니냐 하는 點(점)에 이르러서도 學者間(학자간)의 議論(의논)이 不一(불일)할 뿐 아니라 京城(경성)에 新設(신설)된 朝鮮神宮(조선신궁)에 對(대)하야도 耶蘇敎徒側(야소교도측)에서 參拜(참배)를 避(피)하는 事實(사실)로 因(인)하야 相當(상당)히 論議(논의)가 되어 잇는 터이니 神社(신사)가 宗敎(종교)의 對像物(대상물)이거나 아니거나 信仰(신앙)의 對像(대상)인 以上(이상) 一方(일방)에 信仰(신앙)의 對像(대상)을 別(별)로 가지고 잇는 耶蘇敎徒間(야소교도간)에 問題(문제)가 되는 것은 그대지 怪異(괴이)히 생각할 바가 아니오 오히려 잇기 쉬운 일로 보지 아니할 수가 업다.

二(2)
今番(금번) 朝鮮神宮(조선신궁) 參拜(참배)를 避(피)한 耶蘇敎學校(야소교학교)에 對(대)한 當局(당국)의 意見(의견)도 昨紙(작지)에 報道(보도)한 바와 如(여)히 生田(생전) 內務局長(내무국장)은 神宮(신궁)은 宗敎(종교)가 아닌대 宗敎(종교)로 아는 것이 誤解(오해)라 하야 그 誤解(오해)를 가지지 아니하게 하는 것이 順序(순서)라는 意味(의미)로 말을 하엿고 李(이) 學務局長(학무국장)은 매우 問題視(문제시)하는 뜻을 表示(표시)하엿스니 엇더한 것이 總督府當局(총독부당국)의 意見(의견)인지는 알 수 업스나 如何間(여하간) 神社(신사)가 宗敎的(종교적) 對像(대상)이 아니라고 할지라도 道德(도덕)의 權威(권위)로 精神上(정신상) 感化(감화)를 意味(의미)하는 것임은 分明(분명)하니 一種(일종)의 信仰(신앙)인 것은 分明(분명)하다. 그럼으로 信仰(신앙)인 以上(이상) 信仰(신앙)이라고 하는 것은 個人(개인) 心靈(심령)의 直接(직접) 內證(내증) 卽(즉) 自己獨得(자기독득)한 經驗(경험)이 相連(상련)되여야 할 것이다. 그럼으로 自己(자기)가 自進(자진)하야 取(취)할 바오 他人(타인)이 此(차)에 干涉(간섭) 又(우)는 變更(변경)할 수가 업는 것이다. 精神上(정신상)으로 自己(자기)의 尊嚴(존엄)을 自覺(자각)하는 同時(동시)에 大靈(대령)의 權威(권위)를 仰望(앙망)하는 態度(태도)가 아니면 아니될 것이다. 이리하여 비로소 對像體(대상체)에 對(대)한 尊敬(존경)하는 本意(본의)가 發揚(발양)될 것이다. 自己(자기)의 生命(생명)을 愛護(애호) 發揚(발양)하는 同時(동시)에 大宇宙(대우주)의 生命(생명)에 參與(참여)하는 信仰的(신앙적) 立塲(입장)이라야 비로소 道德的(도덕적) 生活(생활)과 尊敬(존경)의 目的物間(목적물간)에 連聯(연련)이 잇슬 것이다.

三(3)
그럼으로 耶蘇敎學校側(야소교학교측)의 今番(금번)에 取(취)한 態度(태도)에 對(대)하야서도 當局者(당국자)가 萬一(만일) 이것을 狹量(협량)으로만 對(대)한다 하면 이것은 極(극)히 拙(졸)한 일이라고 아니할 수 업스니 적어도 歷史上(역사상)으로 보아서 現代(현대) 文明國(문명국)에서는 信仰(신앙)의 自由(자유)를 認定(인정)하지 아니할 스 업는 由來(유래)와 理由(이유)를 沒却(몰각)하는 行動(행동)이라고 아니할 수 업다. 그럼으로 誤解(오해)로 認定(인정)할 點(점)이 잇스면 그 誤解(오해)는 가지지 아니하도록 說解(설해)은 하는 것이 다 可(가)할 것이나 信仰(신앙)에 關(관)하야는 어대까지던지 自由(자유)를 尊重(존중)하는 原理(원리)에 準從(준종)하지 아니하여서는 아니된다는 것을 注意(주의)하야둔다.


현대


신앙은 자유
당국의 주의를 요구한다


1
종교생활의 가부와 합리 불합리는 별문제로 하더라도 현대 인류사회의 다수가 종류는 다르지만 신앙생활을 계속하는 이상 신앙이라는 것이 지금까지의 인류에게는 중대한 문제라고 보지 않을 수 없다. 그러므로 종교 비종교를 물론하고 신앙에 관한 생활에 등한시하기에는 너무나 신앙적인 생활인이 많은 점과 신앙이 개인생활이나 단체생활에 주는 영향이 퍽 많다. 따라서 최근 일본에서 존중되는 신사가 조선에 와서 신앙상의 의의가 어떠할까 하는 점에 대해서는 매우 의논이 분분한 모양이다. 신사가 종교냐 아니냐 하는 점에 이르러서도 학자 간에 의논이 다를 뿐 아니라 경성에 신설된 조선신궁에 대해서도 예수교 측에서 참배를 피하는 사실로 인하여 상당히 논의가 되고 있는 터이다. 신사가 종교의 대상물이거나 아니거나 신앙의 대상인 이상 한쪽에 신앙의 대상으로 별도로 가지고 있는 예수교도 간에 문제가 되는 것은 그다지 이상하게 생각할 것이 아니고 오히려 있기 쉬운 일로 보지 않을 수 없다.

2
이번 조선신궁 참배를 피한 예수교학교에 대한 당국의 의견도 어제 지면에 보도한 바와 같이 이쿠타 내무국장은 신궁은 종교가 아닌데 종교로 아는 것이 오해라고 하여 그 오해를 갖지 않게 하는 것이 순서라는 의미로 말을 하였고 이 학무국장은 매우 문제시 하는 뜻을 표시하였으니 어느 쪽이 총독부당국의 의견인지는 알 수 없다. 하여간 신사가 종교적 대상이 아니라고 할지라도 도덕의 권위로 정신상 감화를 의미하는 것임은 분명하니 일종의 신앙인 것은 분명하다. 그러므로 신앙인 이상 신앙이라고 하는 것은 개인 심령의 직접적이고 내적인 증명 즉 자기 홀로 얻은 경험이 서로 연관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자기가 자진하여 가질 것이지 다른 사람이 여기에 간섭하거나 변경할 수가 없는 것이다. 정신상으로 자기의 존엄을 자각하는 동시에 큰 영의 권위를 우러르는 태도가 아니면 안 될 것이다. 이리하여 비로소 대상체에 대한 존경하는 본뜻이 일어날 것이다. 자기의 생명을 애호하고 일으키는 동시에 대우주의 생명에 참여하는 신앙적 입장이라야 비로소 도덕적 생활과 존경의 목적물 간에 연관이 있을 것이다.

3
그러므로 예수교학교 측이 이번에 보인 태도에 대해서도 당국자가 만일 이것을 좁게만 대한다고 하면 이는 극히 옹졸한 일이라고 아니할 수 없으니 적어도 역사상으로 보아서 현대 문명국에서는 신앙의 자유를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유래와 이유를 아주 없애버리는 행동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므로 오해락 인정할 점이 있으면 그 오해는 갖지 않도록 말로 푸는 것이 옳을 것이다. 그러나 신앙에 관해서는 어디까지나 자유를 존중하는 원리를 따르지 않으면 안 된다는 점을 주의하여 둔다.



이진 기자 leej@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