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여야 주자들 “대선후보 부동산도 전수 조사”… 검증판 커진다

입력 | 2021-08-27 03:00:00

권익위 野 투기의혹 조사 후폭풍



정홍원 국민의힘 선관위원장 첫 회의 국민의힘 정홍원 선거관리위원장(오른쪽)이 26일 국회에서 열린 당 선관위 임명장 수여식 및 첫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박근혜 정부 초대 국무총리 출신인 정 위원장은 이날 “어느 한 부분도 성한 데가 없는 경우 없는 나라가 됐다”고 했다. 왼쪽은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 사진공동취재단


국민권익위원회의 국회의원 부동산 투기 의혹 조사에 따른 국민의힘 내 후폭풍이 만만치 않은 모습이다. 당 지도부로부터 탈당을 요구받은 5명의 의원은 “지도부가 공정과 정의, 상식을 파괴했다”고 반발하며 ‘버티기’에 들어갔다. 정치권에선 “이번 기회에 여야 대선 주자의 부동산도 전수조사하자”는 요구가 나오고 있어 차기 대선 국면의 새로운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 버티기 들어간 의원들
국민의힘 강기윤 이철규 의원은 26일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자신들을 향해 내려진 탈당 요구 결정을 재고해 달라고 요청했다. 권익위에 따르면 강 의원은 본인 소유의 과수원 토지 보상금을 과다 지급받은 의혹, 이 의원은 딸에게 아파트를 편법 증여했다는 의혹을 각각 받고 있다.

이에 이준석 대표는 “가장 중요한 것은 대선 승리를 위해 모두가 합심하고 ‘선당후사’의 정신을 발휘하는 것”이라며 “지도부와 싸울 일은 뒤로하시고 권익위와 다투는 것을 첫 번째로 하시라”고 두 의원의 요청을 거부했다. 이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서도 “탈당 요구 조치에 대한 재논의 계획은 현재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 의원은 이날 오후 기자회견을 열어 “최고위가 권익위 결정을 부당하다고 비판하면서 탈당 요구를 받아들이라는 것은 자기모순”이라며 “지도부는 오늘 공정과 정의, 상식을 파괴했다”며 반발했다. 그는 당직과 윤석열 캠프 조직본부장직은 사퇴하면서도 “평의원으로 돌아가 최고위의 부당하고 잘못된 결정을 바로잡겠다”며 탈당 거부의 뜻은 분명히 했다. 강 의원 역시 탈당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을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두 의원 외에 이주환 정찬민 최춘식 의원은 특별한 입장을 내지 않았지만 당내에선 이들도 ‘버티기’에 들어갔다는 해석이 나온다. 최고위의 탈당 요구는 징계 처분이 아니라 강제성이 없기 때문이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최고위의 요구는 정치적 결정일 뿐”이라며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처럼 안 나가고 버틸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탈당 요구를 거부하는 의원들에 대한 윤리위원회 징계도 추진할 계획이다. 국민의힘 당규에 따르면 당원에 대한 징계는 제명, 탈당 권유 등으로 나뉘며 윤리위에서 내린다. 만약 탈당 권유 징계를 받은 당원이 열흘 내에 탈당신고서를 제출하지 않으면 바로 제명된다. 다만 당 일각에선 “의원들이 권익위 조사에 불만이 많은 상황이라 윤리위 구성 자체가 늦어질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 “대선 후보 부동산도 조사” 요구 확산
권익위의 조사를 계기로 대선 후보들에 대한 부동산 전수조사 요구도 본격화되고 있다.

국민의힘 대선 주자들은 전수조사에 일제히 응하겠다는 입장이다. 25일 CBS라디오에서 홍준표 의원이 “국회의원도 전수조사하는 판에 대통령을 하겠다는 분들은 본인뿐 아니라 가족도 전부 다 부동산 검증을 받아야 한다”고 제안하자 윤석열 전 검찰총장은 “뭐 얼마든지, 불응할 이유가 전혀 없다”고 했다. 유승민 전 의원은 한발 더 나아가 “왜 부동산만 하느냐”며 예금과 주식도 검증하자고 했다.

여권 주자들도 동의하고 나섰다. 민주당 이낙연 전 대표는 26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선 주자도) 당연히 검증 대상이 돼야 한다”며 “방법이 뭐든 (대선 주자들은) 검증 대상”이라고 했다. 정세균 전 국무총리도 이날 “나중에 후보가 된 뒤 불거지면 국민도 참 난감하다”며 “(부동산 전수조사에) 응하는 게 후보들의 바른 태도”라고 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는 이날 당 회의에서 여야 대선 주자 및 청와대, 국회의원, 지방자치단체장에 대한 부동산 투기 전수조사를 제안하며 “권익위는 수사권이 없어 조사에 한계가 있다. 정부합동특별수사본부 차원의 일괄 조사가 필요하다”고 했다.



유성열 기자 ryu@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