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인욱 경희대 사학과 교수
《개만큼 복잡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동물은 없을 것이다. 인간과 가장 가까운 동물이지만 욕설을 비롯해 나쁜 것에 대한 은유로도 널리 쓰인다. 마당 한편에서 집을 지키며 남은 음식을 먹고 자라다 복날 단백질 보충원으로 쓰인 기억이 그리 오래된 게 아니다. 최근 몇 년 사이 개는 가족의 일원이자 코로나19로 지친 사람들에게 위로를 주는 소중한 존재로 부각되고 있다. 구석기시대 얼어붙은 들판을 헤매며 인간을 해치기도 했던 무서운 늑대가 인간의 친구가 되기까지 그 수만 년의 역사를 살펴보자.》
5만 년이 넘은 동반자
인류는 역사 속에서 수많은 동물과 함께했다. 왜 유독 개가 인간 사회에서 이렇게 특별한 대접을 받게 됐을까. 최근 고양이도 반려동물로 많은 인기를 끌고 있지만 고양이가 인간과 함께한 것은 도시 발달 이후로, 6000년 남짓 된다. 왜 개가 반려동물로 선택됐는가에 대해서는 많은 논쟁이 있지만, 적어도 한 가지는 분명하다. 개는 인간의 사냥감으로 적절하지 않다는 것이다. 육식동물인 늑대에서 분화했으니 인간에게 아주 위험한 동물이었다. 반면 말이나 소처럼 고기가 많은 것도 아니요, 양이나 염소처럼 그 털이 좋은 것도 아니니 굳이 사냥할 필요가 없었다.
하지만 개에게는 특별한 장점이 있으니, 사냥에 유리한 후각과 민첩성이 그것이다. 게다가 인간과 사냥감을 공유했기 때문에 함께 사냥에 나설 수 있었다. 지역마다 차이는 있지만 사냥개를 데리고 다니면 사냥 효율이 대략 50% 정도 증가한다고 한다. 그들은 ‘동업자’가 돼 혹독한 빙하기에 함께 살아남을 수 있었다. 개만 가지고 있는 장점은 또 있다. 바로 감수성이다. 후기 구석기시대, 추운 빙하기 시절 사람들은 흩어져 살면서 언제 죽을지 모르는 공포 속에서 사냥으로 연명했다. 그 끔찍한 고립감을 달래준 게 개였다. 인간을 제외한 동물 중 지능은 침팬지가 높지만 EQ, 감성지수는 개가 더 높다. 특히 사람처럼 서로 눈을 마주치는 습성이 있는 늑대는 인간의 감성을 위로해 줄 수 있었다. 그야말로 늑대의 치명적인 유혹이 인간의 역사를 바꾼 것이다.
생존을 위한 늑대의 선택
2018년 러시아 사하공화국 야쿠츠크 동토지대에서 발견된 1만8000년 전 동물 미라. 2개월 된 새끼로 추정되는 이 미라는 유전적 차이가 없어 개인지 늑대인지 밝혀지지 않았다. 사진 출처 러시아과학원 제공
벨랴예프의 연구는 말이나 소처럼 인간이 개를 길들였다기보다는 늑대가 스스로 인간의 친구가 됐을 가능성이 더 높다는 걸 보여주는 사례로 흔히 인용된다. 만일 사람이 늑대를 길들이는 것이라면 수천 년의 시간이 걸렸을 것이다. 하지만 늑대 유전자에는 다양한 요소가 내재돼 있고 그것이 인간을 만나면서 발현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비유하자면 마치 옷장에 여름옷과 겨울옷을 다 구비하고 있다가 날씨가 추워지면 겨울옷을 꺼내 입는 것과 같은 원리다. 이제까지 인간은 막연하게 자기들이 개를 만들었다고 생각했다. 실상은 그 반대였다. 늑대가 살아남기 위해 인간에게 본격적으로 친숙함을 보인 것이다.
여성과 개가 함께 묻혀 있는 모습으로 발견된 이스라엘의 1만3000년 전 무덤.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제사를 위해 희생된 개도 있다. 강원 강릉시 강문동에서는 2000년 전 사람들이 제사를 지내던 저습지가 발굴됐다. 특이하게도 가마니 같은 것에 싸여 버려진 개의 흔적이 발견됐다. 중세 서양에서도 사람이 지은 죄를 돼지에게 덮어씌우고 그 돼지를 물에 던지는 풍습이 있었다. 말 그대로 ‘희생양’처럼 개가 사람을 대신해 희생하는 풍습이 당시 동해안 지역에 있었던 것 같다. 수많은 민족과 그들의 문화에서 개는 인간의 삶과 함께해 왔다.
개와 늑대의 시간
2000년 전 쓰인 것으로 추정되는 중국의 개 모양 그릇. 사진 출처 강인욱 교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