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1 DB
코로나19 위기로부터 경제가 속속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무거운 장바구니 물가와 사회보험료 등 생계비 가중으로 인해 서민 생활은 여전히 팍팍하다.
매달 1조원씩 지출한 실업급여로 인해 내년 고용보험료는 근로자 한 명당 평균 3만5000원씩 오를 예정이다. 이듬해 건강보험료도 올라 직장인 평균 약 3만원씩 부담이 늘어난다.
6일 정부에 따르면 고용노동부는 지난 1일 고용보험위원회를 열고 고용보험료율을 현재 1.6%에서 내년 7월부터 1.8%로 올리는 방안을 확정했다. 문재인 정부는 2019년 10월에도 1.3%였던 고용보험료율을 0.3%포인트 올린 바 있다. 이보다 앞선 고용보험료 인상은 2013년, 2011년, 1999년에 있었다.
박화진 고용부 차관은 이 방안을 발표하면서 “해외에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고용보험료 등을 인상한 사례는 파악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확산 이래 실업급여 재정 악화로 보험료를 올린 나라는 우리가 유일하다는 뜻이다.
이번 고용보험료율 인상으로 월 급여 288만원(근로자 평균)을 받는 근로자는 매달 2886원씩, 연간 3만4632원의 보험료를 더 내야 한다. 월 300만원을 받는 직장인은 한 달에 3000원씩, 1년에 3만6000원을 더 내게 된다.
© News1
이 같은 건강보험료와 고용보험료 인상을 합치면, 내년에 우리나라 평균 직장인들은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한 해 6만5000원의 지출을 추가로 감내해야 한다.
이런 사회보험료 인상은 1년 단위가 쌓이고 쌓여 가계 비용을 점증시킨다. 연간 단위로는 인상 폭이 작게 느껴질 수 있지만, 합치면 얘기가 달라진다.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지난 16일 최근 10년간 정부 통계를 분석한 결과, 기업이 지급한 임금에서 공제되는 근로소득세와 사회보험료는 2010년 92만원에서 2020년 140만원으로 52.1%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임금 인상률인 21.8%(357만→435만원)를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다.
가계가 지출을 좀체 줄이기 힘든 ‘식품’ 물가도 문제다.
2021.9.3/뉴스1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기업이 지급하는 임금의 연평균 증가율은 2.5%로 물가상승률 1.5%보다 약 1.7배 높지만 근로소득세 및 사회보험료 부담이 더 크게 늘다 보니 근로자의 체감소득이 별로 늘지 않았다”며 “물가연동세제, 사회보험료 개혁으로 근로자 실소득을 늘려야 근로자 생활안정 및 내수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