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1 DB
경기도의 한 물놀이 카페 수영장에서 6살 아이가 숨지는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사고 당시 상황과 책임 소재를 둘러싸고 유족과 해당 카페 측이 입장 차를 보이고 있다.
지난달 30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수영장 카페에서 6세 아이가 억울하게 아까운 목숨을 잃었습니다’라는 제목으로 청원글이 올라왔다. 해당 청원은 1일 오전 8시 기준 1만6600명 이상이 동의한 상태다.
청원인은 “9월 12일 수영장 카페에서 6세 아이가 배수구에 팔이 끼여서 물 밖으로 나오지 못했다”면서 “안타깝고 어처구니없는 일이 벌어졌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남자 직원 둘이 아이의 가슴을 압박하면서 심폐소생술에 대해 실랑이를 벌였고 입으로 산소 공급을 하지 않는 등 그 누구도 구조에 대한 기본 지식을 숙지하고 있는 사람이 없었다”며 “그러나 수영장 측은 심폐소생술을 했다고 주장하고 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그러면서 “수영장 안에 그런 위험한 물 순환 또는 물 빠짐 배수구가 있다면 카페 측이 사전에 무조건 위험하다는 경고를 보호자에게 해줘야 했는데 그런 위험성에 대한 사전 경고가 전혀 없어 보호자들이 대비할 수 없게 했다”며 “위험 시설에 대한 안전 감시 CCTV와 이를 볼 수 있는 스크린도 없어서 실내의 부모들이 창을 통해 맨눈으로 볼 수밖에 없어서 사고에 빠른 대응을 할 수밖에 없었다”고 카페의 책임 소재를 물었다.
끝으로 청원인은 “무엇보다 카페 측은 돈을 받고 물놀이 시설을 운영하면서도 시설 내에 아이들에 대한 안전 담당 직원이 배치돼 있지 않아 구조 및 구호가 현장에서 이뤄지지 못하게 돼 어린아이가 안타깝게 생명을 잃었다”며 “아이 잃은 부모가 지옥을 경험하고 있는 지금도 수영장 카페 측은 버젓이 영업하고 본인들 허점 가리기에 여념이 없다. 적반하장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벌을 제대로 받을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덧붙였다.
해당 수영장 카페에 걸린 안전수칙. (온라인 커뮤니티 ‘보배드림’ 갈무리) © 뉴스1
이어 “구급차 도착 직전에 아이를 건졌다는 거짓말은 너무하다. 아이는 결국 숨이 붙었으나 이후 사망한 거로 경찰 관계자에게 들었는데 심폐소생술 탓을 하시는 것은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토로했다. 그는 수영장에 붙은 안전 수칙을 언급하며 “영유아와 노약자는 보호자 없이 들어갈 수 없으며, 안전요원은 부모님이라고도 쓰여 있다”면서 “수영장 한 곳에 아이들만 몰아놓고 다른 수영장 방갈로에서 술과 음식을 먹고 계시지 않았느냐”고 반문했다.
끝으로 A씨는 “저희가 구조도, 구급 조치도 다 했는데 우리로 인해 아이가 사망한 것처럼 주장하셔서 많이 괴롭다”면서 “아이 부모 측에 연락을 취하려 해도 귀 닫고 차단하셨다.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카페 측에서 부검하자고 했다’는 말도 안 되는 글을 올리고 있다. 너무 힘들다”고 호소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