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서울 종로구 동아일보 10층 회의실에서 열린 좌담회에서 참석자들이 플랫폼 기업의 상생 방안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왼쪽부터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의원, 이영 국민의힘 의원, 김민호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최경진 가천대 법학과 교수, 박성호 한국인터넷기업협회장, 이성원 한국중소상인자영업자총연합회 사무총장. 원대연 기자 yeon72@donga.com
한국 플랫폼 기업이 중대 기로에 섰다. 비대면 시대를 맞아 외형은 급성장했지만 갑질 횡포로 거센 비판을 받고 있다. 자사 상품이 먼저 검색되도록 설계해 소비자를 기만하고, 돈이 되면 골목상권도 쥐고 흔드는 게 플랫폼의 민낯이다. 이런 편법과 불공정 행위는 국정감사의 주요 이슈가 될 정도로 위험 수위를 넘어섰다.
김범수 카카오 의장은 지난주 국감에 출석해 “해야 할 일과 안 해야 할 일에 대해 구분을 해야 한다는 책임감이 커졌다”고 했다. 그동안 해야 할 혁신을 소홀히 하고, 안 해야 할 일들을 했다는 반성이다. 카카오는 5년 새 계열사를 73개나 늘리며 골목상권에 무분별하게 뛰어들었다. 여론에 떠밀려 상생 방안을 내놓았지만 국민 공감을 얻을지는 의문이다.
플랫폼의 가장 큰 위험성은 검색 알고리즘 조작이다. 특정 제품이 눈에 띄도록 얼마든지 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네이버 쿠팡 등은 자기 브랜드나 자사 오픈마켓 입점업체 제품이 잘 보이도록 알고리즘을 조작한 혐의로 과징금 처분을 받거나 조사를 받고 있다. 소비자의 눈을 현혹해 이익을 챙긴 것인데 소비자 기만에 가깝다. 플랫폼 경영진은 국감장에서 상생을 얘기하면서도 알고리즘 문제는 외면했다. 이런 왜곡을 중단하지 않고는 갑질 논란에서 벗어나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