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탈헬스코리아 ‘아픔 경험 전문가’ 7명의 우울증 탈출기 지난해 10대 자살률 9.4% 급증, 청소년 정신건강 ‘빨간불’ 벼랑 끝 몰린 아이들, ‘가면’ 속에서 상처는 더 깊어져 “아픔을 장점으로” 피해자 낙인 대신, 정신건강 회복 리더로
12일 서울 마포구의 출판사에서 만난 최연우 멘탈헬스코리아 대표(왼쪽부터)와 피어 스페셜리스트 우가은, 강지오 양이 1년 6개월 간 써 내려간 책의 출간을 축하하고 있다. 아픔을 치유하면서 꿈도 생겼다. 우 양은 “대학에서 작곡과 심리학을 공부하고 싶다”고 말했다. 강 양은 간호사가 되는 게 꿈이다. 홍진환 기자 jean@donga.com
지난달 말 통계청의 ‘2020년 사망원인 통계’ 발표는 충격적이었다. 지난해 10대 자살률(인구 10만 명당 자살자)이 전년보다 9.4% 급증했다는 소식이었다. 10대 남성의 증가율(18.8%)이 특히 높았다. 2년째 이어진 팬데믹이 사회적 단절에 취약한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을 악화시켰다는 분석이 뒤따랐다.
그 즈음 비슷한 경험이 있는 10대의 이야기를 담은 책 ‘우리의 상처는 솔직하다’가 출간됐다. ‘아픔을 딛고 일어선 청소년들의 살고 싶다는 고백’이라는 표지 글이 눈에 띄었다. 저자는 정신질환 인식 개선 및 동료지원가 양성을 위해 설립된 비영리기관 ‘멘탈헬스코리아’에서 만난 7명의 ‘피어 스페셜리스트(Peer Specialist·동료지원가)’ 들이다.
지난달 말 출간된 ‘우리의 상처는 솔직하다’는 정신건강 문제를 겪은 10대 7인의 고백을 담았다. 자신의 정신건강 문제를 고백하는 책은 많지만 10대의 이야기를 다룬 책은 드물다. 마음의 숲 제공
이들은 스스로를 ‘아픔 경험 전문가’라고 불렀다. 학교 폭력과 따돌림, 이로 인한 자해와 자살 시도까지. 터놓기 쉽지 않은 상처와 치유 과정을 담담하게 써내려갔다. 각자 쓴 분량은 20페이지 남짓이지만 책이 나오는 데는 1년 반이 걸렸다. 간신히 봉합한 상처를 다시 꺼내 보는 과정이 쉽지 않았다. 저자들은 “같은 아픔을 겪는 이들에게 살아갈 용기를 주고 싶었다”고 했다.
“네가 태어났으면 안 됐어.”
우 양은 6살 무렵 친할머니에게 들은 이 말을 아직도 잊지 못한다. 할머니는 원했던 손자 대신 손녀가 태어난 게 마뜩치 않았다. 그 때부터 우 양은 조금씩 위축되기 시작했다. 초등학교 4학년 때 학교폭력을 겪으며 벼랑 끝까지 몰렸다. 괴롭힘은 온라인 공간에서도 이어져 우 양을 버틸 수 없게 만들었다. 그는 “가해자와 한 공간에 있는 게 지옥 같았다. 자살까지 생각했다”고 말했다.
저자들은 책을 쓴 이유에 대해 “같은 고민을 하는 친구들이 덜 힘들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홍진환 기자 jean@donga.com
아이들은 누구도 예상치 못한 이유로 무너지기도 한다. 문강 양(18)이 그랬다. 문 양은 2019년 뇌종양으로 아버지를 여읜 아픔을 딛고 씩씩하게 학교를 다녔다. 겉만 멀쩡했을 뿐 안에선 서서히 균열이 생기는 걸 몰랐다. 어느 날 늦잠을 자는 바람에 등교 시간이 다 돼 눈을 떴다. 그 때부터 두 달간 등교도 거부하고 은둔생활이 이어졌다. 문 양은 “아빠가 없으니 더 잘해야 한다는 강박에 스스로를 몰아붙였던 것 같다. 그러다 갑자기 마음 속 불이 ‘탁’ 하고 꺼져버렸다. 번아웃(burnout·소진)이 왔다”고 말했다.
가면 속에서 상처는 더 곪는다. 장예진 씨(21·여)는 초등학교 시절 당한 따돌림을 “같은 시간, 같은 공간에서도 철저히 배제 당하는 ‘유인도 표류기’였다”고 썼다. 잘난 척 하는 게 꼴 보기 싫다는 아이들에게 잘 보이기 위해 못하는 척 연기도 했다. 장 씨는 “광대 같은 내 모습이 경멸스러워 집에 오면 더 우울해지고 스트레스성 폭식으로 몸도 마음도 망가졌다”고 했다.
우가은 양(왼쪽)은 “바쁘게 스스로를 몰아치다가 지칠 때가 있다. 내 상황이 어떤지 객관적으로 보는 태도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강지오 양은 “단 한 문장이라도 감정일기를 쓰는 게 마음을 안정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고 했다. 홍진환 기자 jean@donga.com
어른들의 미숙한 대처는 상황을 더 악화시켰다. 중학교 진학 후 심리검사에서 자살위험군 진단을 받은 강 양은 상담 내용이 그대로 학교와 부모님에게 전달되는 것을 알고 큰 배신감을 느꼈다. 부모 손에 이끌려 간 병원에서 만난 의사도 강 양의 마음을 보듬지 못했다. 의사는 자해 상처를 보고는 “다른 아이들보다는 덜 심하다”며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 강 양은 “겉으로 드러난 상처보다 마음 속 상처를 헤아려주는 어른이 간절했다”고 말했다.
상담소나 쉼터에서 듣는 “집으로 돌아가라”는 말은 크게 와 닿지 않는다. 강 양은 “집에선 1분 1초도 버틸 수 없어 탈출한 건데 쉼터에선 신체적 학대가 없으면 무조건 집으로 돌아가라고 한다. 가정에서 상처받은 아이들에게 부모님의 소중함을 각인시키는 건 의미가 없다”고 했다.
멘탈헬스코리아는 카이스트 사회적기업가 MBA 출신들이 주축이 돼 설립됐다. 정신건강 문제 앞에서 누구든 홀로 싸우지 않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 목표다. 멘탈헬스코리아 제공
“반드시 뜨겁게 타오를 필요는 없는 것 같아요. 잔잔한 모닥불도, 작은 양초도 괜찮아요. 중요한 건 불씨가 살아 있다는 사실이니까요.”
강 양에겐 온라인에서 만난 키다리 아저씨가 있었다.
“40대 아저씨였는데 ‘누구나 아플 수 있다. 그건 네 잘 못이 아니다’라고 한결같이 내 편이 돼 줬어요. 알고 보니 그 분도 힘들었던 순간 손을 잡아준 사람이 있었고, 받았던 위로를 나눠주고 싶었대요.”
초등학교 시절 지속된 따돌림으로 힘든 시간을 보낸 김도희 양(18)은 틈틈이 정신건강과 심리학 관련 공부를 한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되는 게 꿈이다. 그는 “우울증이나 조울증을 감기처럼 쉽게 털어놓을 수 있길 바란다”며 “학교폭력의 상처는 우리를 무기력하게 하고 흉터가 될 수도 있지만, 잘 극복하면 날개가 될 수 있다”고 했다.
피어 스페셜리스트로 강연 중인 우가은 양. 멘탈헬스코리아 제공
저자들은 “바닥을 찍고 수면 위로 올라왔지만 언제든 다시 깊은 바다로 가라앉을 수 있다”는 걸 잊지 않는다. 우 양은 그럴 때마다 “추락은 두렵지만 착륙은 두렵지 않다”는 방탄소년단 멤버 슈가의 말을 되새긴다. 우 양은 “비행 중 난기류를 만나 흔들릴 때도, 착륙할 때도 있지만 더 멀리 날기 위한 과도기일 뿐 실패가 아니라는 걸 알게 됐다”며 웃었다.
강 양은 글씨가 저절로 지워지는 ‘기화펜’으로 감정일기를 쓴다. 힘든 순간이나 감정도 글씨처럼 곧 사라질 것이란 생각을 하면 마음이 다소 안정된다. 강 양은 “가장 힘들 때 내 옆에 10m 높이의 벽이 있었다면 지금은 4m쯤 남은 것 같다. 그래도 벽은 언젠간 허물어진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회원국의 청소년(10~24세) 자살률. 한국 청소년의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은 10.4명으로 OECD 평균 5.9명의 거의 두 배에 이른다.
당사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건 그래서 더 중요하다. 멘탈헬스코리아가 2018년부터 최근까지 양성한 피어 스페셜리트는 약 130명. 지난해엔 국립정신건강센터의 요청으로 ‘청소년 자해 예방단’으로 활동했다. 장은하 멘탈헬스코리아 부대표는 “자해 횟수를 줄이는 것에만 초점을 맞추면 목표를 못 이룬 아이들이 더 큰 자기혐오에 빠질 수 있다”며 “언젠가 끊을 수 있다고 믿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피어 스페셜리스트는 아픔도 장점이 될 수 있다는 걸 배우는 과정이다. 상처가 있는 아이들을 모집한다고 했을 때 주위에선 “애들이 사고 치면 어떡하느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 최연우 멘탈헬스코리아 대표는 “청소년 정신건강 문제는 개인의 문제가 아닌 가정과 사회의 문제다. 피해자나 환자라는 낙인을 지우고 사회의 리더로 성장하도록 돕고 싶다”고 말했다.
박성민 기자 mi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