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쌍용차 새 주인 20일쯤 윤곽… 매각돼도 험난한 미래

입력 | 2021-10-17 14:18:00

법원, 20일쯤 쌍용차 매각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신차 개발·전기차 전환 등에 막대한 자금 소요 관건



경기 평택 쌍용자동차 본사. 동아일보 DB


새 투자자를 물색 중인 쌍용자동차의 운명이 이르면 20일쯤 윤곽을 드러낼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새 투자자를 맞이하더라도 쌍용차의 앞날에는 여전히 과제가 산적해 있어 완전한 경영 정상화까지는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17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쌍용차 인수합병(M&A)을 주관하고 있는 서울회생법원은 이달 20일을 전후로 우선협상대상자와 예비협상대상자를 각 1곳씩 정할 예정이다. 지난달 15일 인수제안서를 제출한 에디슨모터스 컨소시엄, 이엘비앤티 컨소시엄 중 한 곳으로 쌍용차의 새 주인이 정해지는 것이다. 이들과 함께 쌍용차 인수 의사를 표명했던 미국 전기차업체 인디EV가 중도 포기하며 쌍용차 인수전은 2파전으로 좁혀졌다.

당초 서울회생법원은 쌍용차 M&A의 우선협상대상자를 지난달 말 결정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두 컨소시엄이 제출한 투자자금 동원 및 경영 정상화 계획이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해 보다 구체적인 계획을 내놓을 것을 요구했다. 이마저도 지난달 30일이 기한이었지만 법원이 한 차례 더 연장해 이달 15일에서야 보완된 입찰 서류가 제출됐다. 법원은 매각 주간사인 EY한영회계법인이 검토를 바탕으로 쌍용차 M&A에 우선협상대상자를 지정할지, M&A를 중단시킬지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관건은 쌍용차 인수 의지를 밝힌 두 컨소시엄 누구도 쌍용차 정상화에 필요한 압도적인 자금력을 증빙하기 어려운 점이다. 경영난 장기화로 임직원에게 지급되지 못한 급여 등을 포함해 쌍용차가 짊어지고 있는 공익채권과 부채는 7000여억 원에 이른다. 이엘비앤티 컨소시엄은 5000억 원대, 에디슨모터스 컨소시엄은 2000억 원대의 입찰가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부채 탕감 후 쌍용차 정상화를 위해 신차 개발, 판촉 강화 등에 쏟아부어야하는 몫까지 더하면 필요한 향후 3년 간 1조5000억~2조 원 가량이 필요한 상황이다.

두 컨소시엄을 주도하고 있는 이엘비앤티와 에디슨모터스는 지난해 매출이 각각 1억 원, 897억 원. 반면 쌍용차는 지난해 2조9297억 원, 올해 상반기(1~6월)까지 1조1482억 원의 매출을 냈다. 크게 차이 나는 기업규모로 불거진 시장의 의구심에 대해 이엘비앤티는 미국 자동차 유통업체 HAAH가 쌍용차 인수를 위해 설립한 ‘카디널 원 모터스’, 사모펀드 운용사 파빌리온PE를 비롯해 유럽 투자사로부터의 자금까지 더해 쌍용차를 인수한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에디슨모터스는 사모펀드 KCGI 및 키스톤프라이빗에쿼티를 우군(友軍)으로 확보했다. 대신 에디슨모터스는 인수자금으로 쌍용차의 재무상황을 개선하는 것에 발맞춰 KDB산업은행의 추가 대출을 요구하고 있다.

EY한영회계법인은 올해 6월 쌍용차의 청산가치가 존속가치보다 크다는 평가를 법원에 제출했다. 하지만 쌍용차를 인수하려는 두 컨소시엄의 의지가 명확해 법원이 사회 및 경제적 파장, 고용안정 등을 고려해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하고 쌍용차 M&A를 추진할 가능성이 더 크게 점쳐진다.

쌍용차가 새 주인을 찾더라도 완전한 정상화까지는 험난한 과제들이 남아있다. 신차 개발과 출시에는 수천억 원이 필요하고, 당분간 적자 경영을 감수해야하기 때문이다. 인수전에 참여한 두 컨소시엄 모두 전기차 제조경험이 있고 이엘비앤티는 미국 판매를, 에디슨모터스는 내년 10종, 2025년 20종, 2030년 30종의 새 전기차를 만들어 판다는 계획을 앞세우고 있지만 외부 수혈, 차량 판매 확대 등으로 지속적인 자금을 확보하는 게 관건이다.

서형석 기자 skytree08@donga.com